나영석과 김태호 만남, 우리가 '무도'와 '1박2일'을 그리워하는 이유 [M-scope] 작성일 08-16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유튜브에 소환된 '국민 예능'의 추억, <br>K-예능의 황금기는 다시 올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8QTp0rRd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81f7f61dd9fb56ae156d669a9c5aef8567ac9d3992bbb0ad24e0b0e3e0186c0" data-idxno="555966" data-type="photo" dmcf-pid="HPMWuUsdi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5052vhzv.jpg" data-org-width="720" dmcf-mid="2JLxAjKGn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5052vhzv.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07bce4b0a556fce639062dd74413062b13669c77efd3b27d97e4d891d237b6c7" dmcf-pid="ZxeGz7IieW" dmcf-ptype="general">(MHN 홍동희 선임기자) "메시와 호날두가 한 팀에서 뛰는 걸 보는 기분", "K-예능의 역사가 한자리에". 어제, 나영석 PD의 유튜브 채널 '채널 십오야'에 김태호 PD가 등장하자, 온라인은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였다. 한때 대한민국 주말 저녁을 양분했던 두 거장의 만남은, 그 자체만으로도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댓글 창을 가득 메운 수많은 이야기의 진짜 주인공은 두 사람이 아니었다. 바로 '무한도전'과 '1박 2일',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보며 웃고 울었던 '우리'의 이야기였다. 숏폼과 OTT의 시대, 볼거리가 넘쳐나는 지금, 우리는 왜 10년도 더 지난 그 시절을 이토록 뜨겁게 그리워하는 것일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02d725335450771aaea16807346ed633b78fd201127aeac037fd0494b842c1" data-idxno="555968" data-type="photo" dmcf-pid="1RJXBqhLJ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6362ybhh.jpg" data-org-width="628" dmcf-mid="xTvmHGaVi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6362ybhh.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e04bd970e4894fed48e1136a6761bef20da907dab100672e481d4aba5b39e9e" dmcf-pid="Fdn5KbSgLS" dmcf-ptype="general"><strong>매주 쌓아 올린 '우리들의 서사'</strong></p> <p contents-hash="b81748cbc9722a72d9e7420e6ea93ebc1e695d8d2cd1438f2462771d5c52e619" dmcf-pid="3JL19KvaJl" dmcf-ptype="general">우리가 그리워하는 것은 단순히 재미있는 꽁트나 벌칙 게임이 아니다. 우리가 사랑했던 것은, 매주 토요일 저녁마다 어김없이 우리를 찾아왔던, 길고 긴 '서사'였다. 우리는 몇 년에 걸쳐 '무한도전' 멤버들이 성장하고 좌절하는 모습을 지켜봤고, '1박 2일' 멤버들과 함께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했다. 그들은 TV 속 연예인이기 이전에, 마치 오랜 시간 함께해 온 친구나 가족 같았다.</p> <p contents-hash="17f3efeb450efa5d7a40b63b00107039b4b20d45f577ab3b5d8d6998aabfc52d" dmcf-pid="0iot29TNJh" dmcf-ptype="general">일회성 게스트와 단발적인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는 지금의 예능 환경에서는 결코 쌓을 수 없는, 이 길고 끈끈한 '시간의 힘'이야말로 우리가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첫 번째 이유다. 우리는 캐릭터와 함께 나이 들었고, 그들의 서사는 곧 '우리들의 서사'가 되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1e1826401f13fa216f6b6ee87aab930283404827741e0c27c22732f8761564e" data-idxno="555969" data-type="photo" dmcf-pid="UB9sXHNfM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7593btvn.jpg" data-org-width="720" dmcf-mid="yc5nmr6Fn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7593btvn.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b1b0c1c41cea7b528dce23b75f65b25302b395fee117c678a0cdfcda38bad37e" dmcf-pid="7KVI5ZA8ds" dmcf-ptype="general"><strong>주말 저녁의 약속, '공동체의 경험'</strong></p> <p contents-hash="37e134c541e150f37129e211e6b67b8a02425dcd74d2a379a5048b8ca3a5c77c" dmcf-pid="z9fC15c6Lm" dmcf-ptype="general">'무한도전'과 '1박 2일'이 방송되던 주말 저녁은 하나의 문화적 의식과도 같았다. 온 가족이 TV 앞에 모여 앉아 같은 프로그램을 보고 함께 웃었다. 그리고 다음 날이면, 학교와 직장에서 어제 본 예능 프로그램은 전 국민의 '공통 대화 주제'가 되었다. "어제 '무도' 봤어?"라는 한마디는, 세대와 지역을 넘어 우리를 하나로 묶어주는 가장 강력한 공감대였다.</p> <p contents-hash="635b697db1940206929ebce4f4aa3b8d616ba6be27a6f6bcd94e0eb507b2ef3e" dmcf-pid="q24ht1kPLr" dmcf-ptype="general">알고리즘이 추천해주는 영상에 각자 몰두하는 지금, 우리는 더 이상 같은 것을 보고 함께 이야기하는 '공동체의 경험'을 갖기 어려워졌다. 우리가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은, 어쩌면 TV를 보며 함께 웃던 그 시절의 '우리'를 그리워하는 것일지도 모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818d015cec4e043846ee05d2c0bef5f193d1bf91649237eca56d2156ee1a88" data-idxno="555970" data-type="photo" dmcf-pid="bf6S3FDxi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8831bjyn.jpg" data-org-width="720" dmcf-mid="WhtoOsQ0J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HockeyNewsKorea/20250816012918831bjyn.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268e725e121d48174ab88a1c80137ea971573bcd2f910adba42b5d3219e8e6d" dmcf-pid="98QTp0rRJk" dmcf-ptype="general"><strong>예측 불가능했던 '날것의 웃음'</strong></p> <p contents-hash="6da9dc13eb41bdfaf13a742648be663a26d2f0bf863d729ccfcd93c0d4f0b9ed" dmcf-pid="26xyUpmeec" dmcf-ptype="general">물론 두 프로그램의 가장 큰 미덕은 '재미'였다. 그리고 그 재미는, 정교한 기획 속에서도 언제 터질지 모르는 '날것의 순간'들에서 비롯됐다. '1박 2일'의 전설적인 '혹한기 캠프'나, '무한도전'의 예측 불가능한 추격전들은, 잘 짜인 대본이 아닌, 출연자들의 실제 반응과 리얼한 상황이 만들어낸 진짜 웃음이었다.</p> <p contents-hash="f0c996ba19c93b7f16167167c26b4c2145f235d236b3d971549e24157afceaf3" dmcf-pid="VPMWuUsdeA" dmcf-ptype="general">모든 것이 완벽하게 편집되고, 때로는 자극적으로 연출되는 지금의 콘텐츠들 속에서, 우리는 어딘가 허술하지만 그래서 더 인간적이었던 그 시절의 '날것의 웃음'을 그리워한다.</p> <p contents-hash="7de1764a710fef42c644b4798c7e9dfd177a9957615a4d5362111843fe435f90" dmcf-pid="fQRY7uOJej" dmcf-ptype="general">김태호와 나영석. 이제 방송국을 떠나 각자의 길을 걷고 있는 두 거장의 만남은, 우리에게 K-예능의 가장 빛났던 시대를 다시 한번 추억하게 만들었다. 그들이 지금 만들어가는 새로운 콘텐츠들도 물론 훌륭하지만, 온 국민이 같은 시간에 함께 웃고 떠들던 그 시절의 '국민 예능'이 안겨준 따뜻한 공동체의 기억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K-예능의 가장 빛나는 페이지로 남아있을 것이다.</p> <p contents-hash="4487cb6a31c6e1d138355959efe72624afb9b7e10a6801e47d7fe6d3da67272e" dmcf-pid="4xeGz7IinN" dmcf-ptype="general">사진=MHN DB, 유튜브 채널 십오야</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현무 60억 아파트 "권상우·손태영 부부 집, 드림하우스였다" (나혼산) [T-데이] 08-16 다음 '신입' 고강용 아나, 95년생인데 새치 가득..흑채 뿌릴 정도 "아버지 유전" 08-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