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은 손에 있는 이온, 감전을 부른다 작성일 08-16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9KIFhe7d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fc36c13ddc8eae2c95d60c40f62296473ef01f4eb2a6f926c536c03fa7b0a9e" dmcf-pid="QLnF80rRd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기 감전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dongascience/20250816080135666oehu.jpg" data-org-width="680" dmcf-mid="8XBs1IMUi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dongascience/20250816080135666oeh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기 감전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92a9bd45b47669f533210c8d14e7865eb4607da137790b4dbefa4563c27e9f5" dmcf-pid="xoL36pmee0" dmcf-ptype="general">손을 씻거나 샤워를 하고 젖은 손으로 전자기기를 만지면 감전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감전은 몸에 전류가 흘러 충격을 받는 것입니다. 감전이 일어나려면 전기의 위치 에너지 차이인 전위차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닫힌 회로가 필요합니다.</p> <p contents-hash="eb35ff32241d1af8d4c7160c8f6fb65c2877ef82e59d81b85b93e67a0a9367fe" dmcf-pid="yt1aSjKGL3" dmcf-ptype="general">전하를 띤 입자인 전자나 이온이 전기장을 따라 이동하면 전류가 생깁니다. 물이나 땀에는 이온이 들어 있어 우리 손이 전류가 흐르기 쉬운 환경이 되도록 도와줍니다.</p> <p contents-hash="e985abe875e68f218ccdb7485960a5ed1ec7aa48768e456432c63c8d34b406d7" dmcf-pid="WFtNvA9HRF" dmcf-ptype="general"> 그런데 순수한 물은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습니다. 수소(H) 원자 2개와 산소(O) 원자 1개가 결합해 만든 물 분자(H₂O)로만 구성돼 있기 때문입니다. 수소와 헬륨(He)을 제외한 원자는 가장 바깥 궤도의 전자가 8개일 때 가장 안정합니다. </p> <p contents-hash="af7d9bcc350ce1027c1b5f94f016a55259e666797e77e60234ce803c2e3609ca" dmcf-pid="Y3FjTc2Xet" dmcf-ptype="general"> 가장 바깥 궤도에 전자가 6개인 산소 원자는 두 수소 원자로부터 전자 1개씩을 받아와서 안정됩니다. 이렇게 원자들이 서로 전자쌍을 나눠 가지며 결합하는 것이 공유 결합입니다. </p> <p contents-hash="b71f7342da741b6ca0bddcf37f0ace30243b61a3b1f046f8797ef5329c370364" dmcf-pid="G03AykVZd1" dmcf-ptype="general"> 반면 수돗물이나 땀에는 염화나트륨(NaCl) 같은 이온 결합 물질과 칼륨 이온(K⁺) 등이 들어 있습니다. 염화나트륨은 물에 녹아 나트륨 이온(Na⁺)과 염화이온(Cl⁻)으로 존재합니다. 이온 결합 물질은 전자를 잃은 양이온과 전자를 얻은 음이온이 서로 끌어당기는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된 것입니다. </p> <p contents-hash="f0e5372f4a0392af9085197591a478880b5f8c6ed971df4de2b9c2d33032bd45" dmcf-pid="Hp0cWEf5R5" dmcf-ptype="general"> 나트륨 원자는 가장 바깥 궤도의 전자 1개를 염소 원자에 주어 양이온이 됩니다. 염소 원자는 가장 바깥 궤도에 전자 8개를 채워서 음이온인 염화이온이 됩니다. </p> <p contents-hash="23deb6c40f93d3fbbc7750fa4bd8d07a11cb3b1af21d9cab625b7971c0bd9e9c" dmcf-pid="XUpkYD41dZ" dmcf-ptype="general">이온 결합 물질이 녹은 물은 전기가 잘 통하는데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전기장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p> <p contents-hash="a2be9297b774b576d1ae2ff6958c00a841c5ecf7f80d61164cb402438e95d089" dmcf-pid="ZuUEGw8tdX" dmcf-ptype="general"> 젖은 손으로 전자기기를 만지면 전자기기와 몸 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전기장이 작용합니다. 손에 묻은 물 속 음이온은 전기장의 +극 방향, 양이온은 -극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물과 손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손에 묻은 이온뿐만 아니라 체액 속 이온들도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p> <p contents-hash="7405573deb5f0b511e5cb392c27fcac0e47f50cd8968c0179a61e69359e9a47e" dmcf-pid="5MxGbXj4nH" dmcf-ptype="general">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 전기는 +극과 -극이 초당 수십 번 바뀌기 때문에 이온들은 방향을 바꾸며 앞뒤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해서 몸에 전류가 흐르면 감전이 됩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9ca30a09092f8886e8b2946afd6118fff9b3123e81ea3870069fc6f11684053" dmcf-pid="1RMHKZA8i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근육재생.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dongascience/20250816080136892umct.jpg" data-org-width="680" dmcf-mid="6H9C3ldzn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dongascience/20250816080136892umc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근육재생.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d9db3c840fb12ab6423dae1a38373a3d0dbdcf7e19a124e72dfc4f2b40694ef" dmcf-pid="teRX95c6LY" dmcf-ptype="general"><strong>● 근육 재생, 이온이 돕는다</strong></p> <p contents-hash="9d5aee98a5ba0ab3d2a696f0e9e196739c898df94a062ccfc7108859d31a83f3" dmcf-pid="FdeZ21kPRW" dmcf-ptype="general"> 근육이 손상되면 근육 조직에서 활성산소가 생겨납니다. 활성산소는 세균이나 손상된 세포를 없애는 데 도움을 주지만 너무 많으면 근육 재생을 방해하고 염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7월 1일 국립한국교통대 등 공동 연구팀은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없애고 근육 재생을 돕는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045a12bb249eaa670f774b4af3a57b61923738d02427f44cc62f4737ed00eb70" dmcf-pid="3Jd5VtEQdy" dmcf-ptype="general"> 하이드로겔은 그물처럼 얽힌 고분자 사이에 물이 들어 있는 젤리 같은 물질입니다. 수분이 많은 피부나 근육 등에 잘 달라붙어서 약물 등을 넣어 치료제로 활용하기도 합니다.</p> <p contents-hash="93f9231171076a03ca160664699a4c231fd7165c38c1517becede3515f3222d9" dmcf-pid="0iJ1fFDxdT"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겔에는 망가니즈(Mn)와 산소(O)가 결합하여 만든 이산화망가니즈(MnO₂) 입자가 들어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0086767a970dec2a25d9b8c855c3d1428c8a25047b4537fbb19b1c110c35952e" dmcf-pid="pnit43wMnv" dmcf-ptype="general"> 이 하이드로겔을 손상된 근육에 주사로 넣으면 이산화망가니즈 속의 망가니즈 원자가 근육 속의 활성산소와 만나면서 망가니즈 이온(Mn²⁺)이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활성산소는 물(H₂O)과 산소(O₂)로 분해되어 사라집니다.</p> <p contents-hash="34617012a611f038320f2c953815338c8b527074cd9180f047a60ee9fad786ad" dmcf-pid="ULnF80rRdS" dmcf-ptype="general"> 이렇게 만들어진 망가니즈 이온은 +전하를 가진 양이온입니다. 이 이온은 하이드로겔의 고분자 속에 있는 이온들과 이온 결합을 하게 됩니다. 이온 결합을 할 때 +전하를 띤 양이온과 -전하를 띤 음이온은 서로 반대 전하가 끌어당기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해 결합합니다.</p> <p contents-hash="f3da98bbd45c74d0390e9dc06dfced490f445925409ea9277bc939365ef1b1b5" dmcf-pid="uoL36pmedl" dmcf-ptype="general">하이드로겔의 고분자 속에는 하이드록실기(-OH) 등 음전하를 띤 이온들이 있어서 망가니즈 이온과 전기적인 결합을 하게 되지요.</p> <p contents-hash="781af11633149c87c854f1dc090a6e5341380218c09cb006c4ad5ee5829306b3" dmcf-pid="7go0PUsdMh" dmcf-ptype="general"> 기존의 하이드로겔은 젤 상태가 잘 유지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겔에서는 망가니즈 이온과 고분자가 이온 결합으로 연결되면서 하이드로겔의 젤 상태를 오래 유지시켜 줍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근육 재생을 도울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3f66a206e33c047756f633e896df0881a933fba37f34e35bfa89bbc0a8abbd9" dmcf-pid="zagpQuOJMC"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손상된 근육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한 뒤 5일 후 근육이 재생된 정도를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겔을 주입한 쥐는 아무것도 주입하지 않은 쥐보다 근섬유의 면적이 더 크고 고르게 재생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p> <p contents-hash="df7c9acfecb2fcedf869078e9c2a6c86a057469d760256cc95bb46cac69b7e06" dmcf-pid="qNaUx7IinI"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앞으로 이 하이드로겔은 근육 재생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생체 재료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p> <p contents-hash="483cc8bcb0a304c67b0561f60ee1a6710a0e42a87ba3f3b4759c9583bed92aa8" dmcf-pid="BV2h0SJqMO" dmcf-ptype="general"><strong>※관련기사 </strong><br> 어린이과학동아 8월 15일, <strong>편집부와 미리보는 통합과학 젖은 손에 있는 이온, 감전을 부른다</strong></p> <p contents-hash="2b0dd9f80fae2c60b27c4453842b08d859b523956066014568ed85732a66b0c5" dmcf-pid="bfVlpviBJs" dmcf-ptype="general">[박수진 기자 sooz@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화면 너머 무감각한 살상 '드론전쟁'…로봇이 벌일 미래전쟁의 서막 08-16 다음 [표지로 읽는 과학] 10km 해저 광섬유 케이블로 파악한 '빙하붕괴' 역학 08-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