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중동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동남아선 중국에 밀려 3위 작성일 08-16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vtZ43wMl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1c5b4e16fc9466f302a9eedf0b6f3b849dd598695bfe991e3e58ed0b654003a" dmcf-pid="zTF580rRy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년 2분기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사진 = 카날리스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6/mk/20250816102106909raiz.jpg" data-org-width="370" dmcf-mid="uDDcHr6Fv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6/mk/20250816102106909rai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년 2분기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사진 = 카날리스 캡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c3f69529e009670aa05090128073a337d4cfc6f266256f22d7cdb6526766ad58" dmcf-pid="qFKqn2yjS4" dmcf-ptype="general">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중동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중국 제조업체들과의 경쟁 속에 3위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div> <p contents-hash="aa350f97e88acc1c461a9724c3a1b5c030a859289b610b62383aab700415c7bb" dmcf-pid="B39BLVWASf" dmcf-ptype="general">16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샤오미가 19%로 1위를 기록했고, 트랜션과 삼성전자가 각각 18%, 17%로 뒤를 이었다.</p> <p contents-hash="bcc01e1f7c4c0b7f4c5a81433714acf044cf3166281dc29a4b624288915c4deb" dmcf-pid="b02bofYcSV" dmcf-ptype="general">오포는 14%로 4위, 비보는 11%로 5위를 차지했다.</p> <p contents-hash="0091901ca6f0e9d5f139f8d029cd632370133b935947466c210ed7f021ff0c09" dmcf-pid="KpVKg4Gkl2" dmcf-ptype="general">트랜션은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에서 10만∼20만원대 저가 스마트폰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중국의 대표 제조업체다. 삼성을 제외하면 동남아 시장은 사실상 중국 업체들이 장악한 것으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505459b1d1d867469ce828dd11c5f88c54e99385f4935f86bb13e9e04757b9b3" dmcf-pid="9Uf9a8HEW9" dmcf-ptype="general">샤오미는 2021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1위를 탈환하며 470만대를 출하했다.</p> <p contents-hash="78fafe5a90289490b3a589824d062482d1c25cbbedb79b11d84d50a142c68cfd" dmcf-pid="2u42N6XDyK" dmcf-ptype="general">카날리스는 레드미 시리즈 판매 호조와 유통망 확장에 따른 성과로 분석했다.</p> <p contents-hash="0b6b8b4b59fc6ae4caed927d67ca3d08ad3302234986d9b1da77526c3a310a4b" dmcf-pid="V78VjPZwvb" dmcf-ptype="general">반면 중동 시장에서는 삼성이 34%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며 호실적을 거뒀다.</p> <p contents-hash="5e68489205491f74727729750c51812c712191d533b0eee82dd5d926ab51d2d8" dmcf-pid="fz6fAQ5rWB" dmcf-ptype="general">2위는 샤오미(17%), 3위는 트랜션(15%)이었다. 아너는 10%로 4위, 애플은 8%로 5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47baae6818155a231e388c51597748aad77874fd8d8ec819098498c6d2d61162" dmcf-pid="4qP4cx1mWq" dmcf-ptype="general">상위 3개 업체 순위는 지난해 2분기와 같지만, 아너가 애플을 제치고 4위에 올랐다.</p> <p contents-hash="9d5c61c81b067710189bf2cc4a09c24883f6f157fc445a088256e03802416163" dmcf-pid="8l5HVtEQvz" dmcf-ptype="general">삼성은 지난해 2분기 샤오미와의 점유율 격차가 8%포인트였으나, 올해는 이를 2배로 벌렸다.</p> <p contents-hash="c402f0936784256553b7203a961ace93d3793c0aae1cf9aa2ab912c42584aa8a" dmcf-pid="6S1XfFDxl7" dmcf-ptype="general">카날리스는 “삼성이 중저가 갤럭시 A 시리즈 모델을 전략적으로 투입해 지역 전반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갤럭시 S25 시리즈와 S24 FE의 시장 반응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안동 쿨트래디션 달군 트롯마마 정지민…"슈퍼마마로 무대 장악" 08-16 다음 '순정셰프' 김강우, 男女집안일 소신 "부부가 당연히 함께해야" ('편스토랑') 08-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