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시·군 리더의 힘]“기업이 모이고 인재가 자란다”…조용익 시장, 부천의 미래지도 그리다 작성일 08-18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대장 첨단산단·부천과학고로 산업·교육 동반성장<br>항공·에너지·로보틱스 연계한 자족도시 청사진<br>글로벌 기업 유치·R&D 클러스터로 일자리 창출<br>생활밀착 행정·교통혁신으로 정주환경 업그레이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FAFPsJqwP"> <p contents-hash="cc203190128b45c9d9511b8d9d4dd1f63e805aacae8f312de1c882e82df3b971" dmcf-pid="z3c3QOiBs6" dmcf-ptype="general">━<br>“부천은 첨단산업과 교육 혁신을 양대 축으로 기업과 사람이 함께 성장하는 자족도시로 도약하겠습니다.” 민선8기 3주년을 맞은 조용익 부천시장의 말이다.<br>부천의 미래 전략을 상징하는 핵심 프로젝트는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다. 대한항공, SK이노베이션, DN솔루션즈가 참여해 도심항공교통(UAM), 친환경 에너지, 인공지능(AI)·자동화 연구를 추진하며 수도권 서부의 대표 첨단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시는 기업 유치와 함께 정주 인프라 확충, 고급 인재 유입, 일자리 창출 등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br>교육 혁신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7년 개교 예정인 부천과학고는 AI 로보틱스 트랙과 국제 바칼로레아 과정까지 도입해 세계 수준의 인재를 키우겠다는 목표다. 지역 기업·연구소와 연계해 배운 인재가 다시 부천에서 역량을 발휘하는 선순환 구조도 그린다.<br>행정체제 개편 역시 성과로 꼽힌다. 지난해 3개 구와 37개 일반동 체계로 전환한 이후 행정 만족도가 92%를 기록하며 생활밀착형 행정이 강화됐다는 평가다.<br>조 시장은 “산업과 교육, 행정이 조화를 이루는 자족도시 부천을 실현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09cc1d0e332ddc105657063685f6747c0630e982d11ac01a1fec777a8a82380" dmcf-pid="q0k0xInbI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용익 부천시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39121wepx.jpg" data-org-width="700" dmcf-mid="01yWbj8tI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39121wep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용익 부천시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8f74f08e65bb5ccb4a939510a30dadfade0f4113c9935b92f11205f213b7208" dmcf-pid="BpEpMCLKr4" dmcf-ptype="general"><strong>취임 3주년을 맞아, 임기 동안 가장 큰 성과로 꼽는 사업은 무엇인가.<br></strong><br>가장 의미 있는 성과는 단연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대기업 유치다. 대한항공, SK이노베이션, DN솔루션즈 등과 협약을 체결해 항공기술, 정밀기계, 친환경에너지 등 다양한 미래 산업이 집적될 기반을 마련했다.</p> <p contents-hash="23b73b6556f321d3d5c03f178f3f22fb6dfcd44e6c86f0e241dfbd7f0dac4b2e" dmcf-pid="bUDURho9mf" dmcf-ptype="general">이들 앵커기업의 입주는 기술 융합, 연구개발(R&D) 협력 네트워크 형성, 고급 인재 유입,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부천 산업 구조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p> <p contents-hash="331b8cc168c7d7600751af67246e133231f060edb1dd271e1fdf2a5e45c958e4" dmcf-pid="Kuwuelg2sV" dmcf-ptype="general">특히 UAM 연구단지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운항훈련센터, 친환경 에너지 연구개발(R&D) 단지가 조성되면 부천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도시로 발돋움할 것이다.</p> <p contents-hash="ddaed62edbd2774e97be7d1f6d9766c6459b2f407ae61d2bf6057b311146039d" dmcf-pid="97r7dSaVr2" dmcf-ptype="general">두 번째 성과는 부천과학고 설립 확정이다. 2023년부터 추진해온 과학고 설립은 시민들의 지지 속에 단기간에 결실을 맺었다. 2027년 개교 예정인 과학고는 AI 로보틱스 전공 트랙과 창의·융합 교육과정을 통해 세계적 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3d6e3381ab29eb9f3e634425d67f32fad67ad4dfab2cd3d348b17f309ad3f02" dmcf-pid="2vRvzgVZs9"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행정체제 개편을 꼽을 수 있다. 지난해 1월 3개 구와 37개 일반동 체제로 전면 개편해 시민 불편을 해소했다. 이후 만족도가 92%에 달하며, 생활밀착형 행정이 정착되고 있다.</p> <p contents-hash="9eb85d6c46c9d202d465168cb66353151a61eb04f507f29235cd75c9111de257" dmcf-pid="VTeTqaf5sK" dmcf-ptype="general"><strong>대한항공 UAM 연구단지 조성이 부천에 미칠 효과는<br></strong><br>대한항공이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조성하는 연구단지는 총 1조2000억원 규모로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단순한 시설 유치가 아니라 UAM과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 전반을 망라하는 아시아 최대 수준의 혁신 거점이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ffb0ad530db5ebbb781f78d7ddd4bad0ea38690ff26b501dba482c1cdfd97770" dmcf-pid="fydyBN41mb" dmcf-ptype="general">이곳에는 항공안전 R&D센터,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 및 실증시설, 운항 플랫폼 구축, 시험·인증 장비 등이 집적된다. 특히 운항훈련센터는 매년 2만명 이상 조종사와 운영 인력을 양성할 수 있어 세계적 규모의 전문 인력 양성 허브가 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570573f14124f939d943a34975a879d3a9408b5185bffc4e8a7177938b67ed21" dmcf-pid="4WJWbj8tEB" dmcf-ptype="general">연구단지가 가동되면 직접 고용뿐 아니라 협력업체, 서비스 산업, 교육·문화 인프라까지 연쇄적 파급 효과가 이어진다. 항공안전 분야 글로벌 표준화 연구도 병행돼 부천이 국제 모빌리티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6f0c1048cc410847576498e49bda9ce8e271d1502dc8dad1f2594fec2fd14c" dmcf-pid="8YiYKA6Fs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용익 부천시장(왼쪽 두 번째)과 김동연 경기지사(가운데),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 등이 2023년 열린 'SK그린테크노캠퍼스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입주 및 투자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0393rvko.jpg" data-org-width="700" dmcf-mid="pOdJIzyjw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0393rvk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용익 부천시장(왼쪽 두 번째)과 김동연 경기지사(가운데),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 등이 2023년 열린 'SK그린테크노캠퍼스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입주 및 투자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4f6c893c0e88ef102a3fa546973bcf2243859a775c4fe5e9f4c2ffc022dadce" dmcf-pid="6GnG9cP3sz" dmcf-ptype="general"><strong>대기업 유치를 위해 중점을 둔 전략과 계획이 있다면.<br></strong><br>부천시는 기업 유치를 넘어 연구개발과 인재 양성까지 연계되는 산업 생태계 구축을 전략적 목표로 삼았다. 대한항공과 협의 과정에서 대장산단의 입지, 도심형 산단 특성, 친환경 요소를 강조했고, 연구·교육·제조 중심 전환을 제안했다.</p> <p contents-hash="e72af0e1ed83ffb6261438dfc3bf57b315610dd2a17f50fba82e2db8dcc5a567" dmcf-pid="PHLH2kQ0I7" dmcf-ptype="general">앞으로는 토지 매매와 입주 계약, 무인기·부품 연구개발, 항공산업 생태계 확장에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13c978421b43fea7ac9dc0f48fcdde827a52840f21b6e38e5303a73073f3e9ee" dmcf-pid="QXoXVExpsu" dmcf-ptype="general"><strong>부천대장 도시첨단산단 조성의 현재 상황과 향후 비전은.<br></strong><br>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첨단기술 연구개발 거점이자 주거·자연이 어우러진 시민 친화형 산단으로 조성한다.</p> <p contents-hash="60619dfa8b08b4c867b820d9216d38b158cf32f123ac3a40d2d89b6725dcf56a" dmcf-pid="xZgZfDMUrU" dmcf-ptype="general">지난 4월 관리기본계획 고시로 △구역 설정 △건축 기준 △입주 업종과 절차 등을 확정했고, 5월 변경 고시로 대한항공, SK이노베이션, DN솔루션즈 등 앵커 기업의 입주 기반을 마련했다.</p> <p contents-hash="76aef92aea439ced4f62d8755411d8f051f6b27c8f03d37f60a3fdb21491ec0b" dmcf-pid="yiFiCqWAwp" dmcf-ptype="general">현재 공사는 착공 이후 일정대로 진행 중이며, 시는 LH와 협력해 차질 없는 추진을 이어가고 있다.</p> <p contents-hash="055437036f4276d98ad2e88f92ac1f0ec43cda35f855f3ed2d5ff53020a41ea5" dmcf-pid="Wn3nhBYcw0" dmcf-ptype="general">부천시는 대장산업단지를 단순 산업 공간이 아닌 △자연이 스며드는 공간 △삶이 연결되는 공간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조성해 기업 활동과 정주 여건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형 단지로 완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실무협의체를 꾸려 경관·건축 기준안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입주기업에 지침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44231841a9a89f9ebcc3faaaf1b1e3753937a90dec2c5b51bcf88d1ac1edc45f" dmcf-pid="YL0LlbGkr3" dmcf-ptype="general">앞으로 대장산업단지는 첨단기술 혁신의 중심지이자 사람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53826598ba4205614960c4fc2f5df457ca131e0f9dca1d31458e3ed263ab95ae" dmcf-pid="GopoSKHEmF" dmcf-ptype="general"><strong>부천시가 주변 도시와 비교해 기업하기에 차별화된 강점은.<br></strong><br>부천시는 수도권 중심 입지와 더불어 인천·김포공항 인접, 서울 도심 30분 내 접근이 가능한 교통 인프라를 갖췄다. GTX-B·D·E·F 노선과 대장~홍대선 등 철도망이 확충되면 기업 활동 편의성과 인재 유입 여건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d9e5c8dae4aee542722fc87befba0db1dcf135c34b9d7aac54d06acad7c6484d" dmcf-pid="HgUgv9XDwt" dmcf-ptype="general">또 2027년 개교 예정인 부천과학고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직접 양성하고, 지역 기업과 산학 협력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미래를 함께 설계할 수 있는 인재 기반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d13d02cbf27c25d56d302463709e6dbe46b5d1e9f408edd6a6d7c15c7912b32e" dmcf-pid="XWJWbj8tw1" dmcf-ptype="general">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는 R&D, 제조, 교육이 결합된 융복합형 구조로 조성 중이다. 여기에 대한항공, SK이노베이션, DN솔루션즈 등 앵커 기업이 입주하면서 기업 간 기술 협업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p> <p contents-hash="73e81970afda4fed48959483e801dee419ebb9cfe8dadf2df8c42e4d7e0ee6bd" dmcf-pid="ZYiYKA6FE5" dmcf-ptype="general">부천시는 앞으로도 기업과 인재가 모이고 성장하는 도시,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닌 미래산업 중심지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be22efeb7b06e7a87e077d85db166d8cdaa9cba94c5aa2cacdb8d5adca6d12" dmcf-pid="5GnG9cP3w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용익 부천시장(가운데)이 지난 4월 부천아트센터에서 열린 대한항공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투자 및 입주협약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1625vciy.jpg" data-org-width="700" dmcf-mid="UZl2aHDxm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1625vci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용익 부천시장(가운데)이 지난 4월 부천아트센터에서 열린 대한항공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투자 및 입주협약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e35b8e3cc6419617ddea579d6d0d408dfe58c1e2b8ea35232e44c6ffcb89d81" dmcf-pid="1HLH2kQ0mX" dmcf-ptype="general"><strong>주요 기업 유치가 지역 경제·일자리에 미치는 효과는.<br></strong><br>대한항공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1000여명이 근무하는 연구단지를 조성한다. SK이노베이션은 1조원을 투입해 3000여명 연구인력이 상주하는 친환경 에너지 거점을, DN솔루션즈는 2400억원을 투자해 AI·자동화 연구소를 설립한다.</p> <p contents-hash="b093043243f6aa269abbae9891c3ad491d170597b35f5aa261b5fe455e798607" dmcf-pid="tXoXVExpDH" dmcf-ptype="general">이들 유치는 일자리 창출과 인재 유입, 세수 증대, 지역 상권 활성화 등 파급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p> <p contents-hash="c8a2f332e86cb9a3cec75ac6dbf9dcc6450d085d9a7af6c0a146c70050f0408d" dmcf-pid="FZgZfDMUEG" dmcf-ptype="general"><strong>부천R&D종합센터 등 혁신 인프라가 지역 산업에 주는 효과는.<br></strong><br>부천R&D종합센터는 스타트업 성장과 산업혁신을 지원하는 핵심 거점이다.</p> <p contents-hash="63b7e835a8a7251508aa035496a200a68dc0ca905dc3fa73ca596debed0c6286" dmcf-pid="35a54wRuOY" dmcf-ptype="general">창업기업 입주, 도시통합관제센터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키엘연구원이 'AI 기반 조명산업 실증사업'에 선정돼 입주를 앞두고 있다.</p> <p contents-hash="bc53d4303133dba9c634497857057b0c687494bd634f6e19285f2f77bd904fe9" dmcf-pid="01N18re7DW" dmcf-ptype="general">센터는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산업 구조 변화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다.</p> <p contents-hash="7058122917922b62bb0a5160ca810ee93f1370f3d88fb8cb8f712375e1eba223" dmcf-pid="ptjt6mdzOy" dmcf-ptype="general"><strong>첨단산업(로봇, 반도체 등) 육성을 위한 시의 구체적 지원책은.<br></strong><br>부천시는 산업구조 전환의 중대한 시점으로 보고 부천대장 도시첨단산단을 중심으로 로봇·반도체·UAM·AI 등 첨단산업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 성과로 대한항공과 1조2000억원 규모 'UAM 및 항공안전 R&D센터' 협약을 통해 무인기 연구소, 운항훈련센터 등을 유치하며 미래항공산업 기반을 마련했다.</p> <p contents-hash="e698339225b7ac3ac45c57e32e02388cc8ffd8fc2f8d4aae0ea0bc9d87e52977" dmcf-pid="UFAFPsJqET" dmcf-ptype="general">또 SK이노베이션, DN솔루션즈 등 대기업이 속속 입주해 반도체·정밀기계·친환경에너지 분야 협력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ca2f6ba3b9c9e7fd2bf0db2030de01f29ed528a1c149af97fcc366d64230c48" dmcf-pid="u3c3QOiBEv" dmcf-ptype="general">로봇산업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와 전주기 기술지원 체계로 성장 중이며, AI 분야에서는 '경기 AI 혁신클러스터' 유치와 'AI 기반 조명산업 실증사업'을 통해 제조업 융합과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1d410cfd2ac9b1a077ddb628d888f6ba1cbc10679171e2bbbf2125a26111747" dmcf-pid="70k0xInbm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조감도 및 기업위치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2965ustc.jpg" data-org-width="700" dmcf-mid="uva54wRuw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etimesi/20250818160242965ust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조감도 및 기업위치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54452f79ad607fe8fc424ad50852a61434d3f2452f15db09e483220402258ff" dmcf-pid="zpEpMCLKrl" dmcf-ptype="general"><strong>과학고 설립을 포함한 인재·스타트업 정책 방향은.<br></strong><br>부천과학고는 AI 로보틱스 전공 트랙, 창의·융합 교육과정, 국제 바칼로레아 과정 도입 등을 통해 세계 수준 인재를 양성한다. 부천문화재단, 경기예고 등과 협력해 인문·예술적 감각을 접목한 교육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41ff212281f285f527cd7f0631c682f13339711c952de51018a3d5cd84d1fabe" dmcf-pid="qUDURho9Dh" dmcf-ptype="general">일반 학교에도 교과특성화 과정과 문화예술 교육을 확대하고, 온라인 학습지원 사업을 강화해 모든 학생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한다.</p> <p contents-hash="34b95d35c7f722decbdfaa64bb3a580a9e6fc62c2e2fe62e8942e5fd5432a3d5" dmcf-pid="BGnG9cP3EC" dmcf-ptype="general">스타트업 지원으로는 창업도약패키지, 부천창업리그, 창업혁신공간 운영 등을 통해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단계별 성장을 돕고 있다.</p> <p contents-hash="656345a03a3adb94abc9a9c833c89e52c896c2e212cc024058ee49dbb02bd6cc" dmcf-pid="bHLH2kQ0OI" dmcf-ptype="general"><strong>남은 임기 핵심 사업과 부천의 미래 전략은 무엇인가.<br></strong><br>임기 마지막까지 '부천 3·4·5 프로젝트'를 반드시 완수할 계획이다. 소사역 KTX 정차, 경인선 지하화, 대장역 첨단산업 집적지 조성, 종합운동장역 도시혁신구역 개발이 핵심 과제다. 대장역은 4중 역세권의 장점을 살려 대한항공 연구기지를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이 집약되는 거점으로 육성하고, 종합운동장역은 MICE 산업과 혁신산업이 어우러진 복합거점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제2경인선 옥길범박역 신설도 차질 없이 추진한다.</p> <p contents-hash="ae0327e176f34ea7666e27baa16328635c4fe724a3716d13f434b11c6f434dd9" dmcf-pid="KXoXVExpmO" dmcf-ptype="general">부천시가 수도권 첨단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시민·기업·행정이 함께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시는 산업 인프라 확충과 제도적 지원을 담당하고, 기업은 투자와 혁신을 이어가며, 시민은 열린 자세와 역량 강화를 통해 산업 생태계 전환에 동참해야 한다.</p> <p contents-hash="dc1f89286657120b462eb331a38789fbdc7bd8592f6e2ecaf66003d53e9d3bfd" dmcf-pid="9ZgZfDMUOs" dmcf-ptype="general">부천시는 앞으로 중소기업 상생, 기술지원, 인재양성 등으로 플랫폼 역할을 강화하면서, 미래 발전의 동력을 공동의 힘으로 만들어 나가겠다.</p> <p contents-hash="4889e3ddaf7954a42da305f403824db0813dd02841d3ab8c093e46bdf38ae312" dmcf-pid="25a54wRuIm" dmcf-ptype="general">부천=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통신칼럼] 아픈 지구 제대로 진단하기 08-18 다음 “화재 위험 막아라” 배터리 3사, 'CI 슬러리' 적용 확대 08-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