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찾아낸 장내 미생물... 자폐증 치료 길 열다 작성일 08-18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OSTECH·(주)이뮤노바이옴, 유전적 요인 넘어 장-면역-뇌 축 연결 고리 밝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5cIVgVZAK"> <p contents-hash="685091f13c9ec15a39c7327fc08f5fea2bc7a9d49a230e3458ca861eafe0492d" dmcf-pid="81kCfaf5gb"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국내 연구진과 스타트업이 자폐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장내 미생물에서 찾았다.</span></p> <p contents-hash="c55c240a54069530ad8f2c4be0487e0d18520bf76796b431bfe33c3984be91f9" dmcf-pid="6tEh4N41jB" dmcf-ptype="general">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은 통상 유전적 요인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엔 장내 미생물과 면역 반응이 뇌 기능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장-뇌 축’ 이론이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eea8b131fdd7598c56c054fa3e91ddb4203e27c09b160981f82008bb6ba64f80" dmcf-pid="PFDl8j8tNq" dmcf-ptype="general">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은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임신혁, 김태경 교수, 생명과학과 박철훈 박사 연구팀이 ASD 발병에 관여하는 장내 미생물과 면역 반응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24431cde3313a8632fc79ecc5892f461a2ebe4d492d5a25c62d8e609afa971" dmcf-pid="Q3wS6A6FA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자폐증 해결 방안을 장내 세균에서 찾은 POSTECH 임신혁 교수(왼쪽)와 박철훈 박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ZDNetKorea/20250818184628456komg.jpg" data-org-width="638" dmcf-mid="Vg3brZrRA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ZDNetKorea/20250818184628456kom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자폐증 해결 방안을 장내 세균에서 찾은 POSTECH 임신혁 교수(왼쪽)와 박철훈 박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4d8681c11531dfa77ba64ddd88142f541996d1a2de10f5bb76a7e3844493374" dmcf-pid="x0rvPcP3o7"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의 출발점은 ASD 환자가 일반인과 다른 장내 미생물 구성을 가진 경우가 많다는 것. 특히 환자의 약 90%는 위장관 질환을 함께 겪고 있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1d47e4257a86ee102e2ca77ff807f5457412c7eeff415f19d845aa54ae497678" dmcf-pid="yEfeGbGkcu"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에 세계 최초로 무균 상태에서 자란 유전자 변형 ASD 동물(쥐) 모델을 제작했다.</p> <p contents-hash="1f835d19b76fc28256edf0653a752b8d3f54a2cdf052ee518f67381d2c3b1f73" dmcf-pid="WD4dHKHENU" dmcf-ptype="general">임신혁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교수는 "실험 데이터 분석 결과, 장내 미생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는 ASD 특유 행동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며 "이를 통해 장내 미생물이 자폐증 증상 발현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7f02fc43f738c2b5fb6490ea11ab8c1666eb5ab4f99424da85e4f1d3665b210" dmcf-pid="Yw8JX9XDap"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또 장내 미생물이 뇌 속 면역세포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특정 염증성 T세포가 자폐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밝혀냈다.</p> <p contents-hash="a29b5110e76a46a010a5a380a46db220b199d5de7a7d19212971305399d7e57b" dmcf-pid="Gr6iZ2Zwa0" dmcf-ptype="general">임 교수는 "이 염증성 면역 경로를 차단하자 신경 염증이 줄고 행동 이상이 완화됐다"며 "장-면역-뇌를 잇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찾은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60864bf52c5a9e726bfb4f59b8bd221db87d13fb1b0f25c7ba0e47fac13fab15" dmcf-pid="HmPn5V5rc3" dmcf-ptype="general">정밀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장내 미생물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가바(GABA)’의 균형을 변화시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p> <p contents-hash="8247194f3cd11acb89f31a5f85896e2fa9a7f1350f4e0c7f2db8f35a802a8f3a" dmcf-pid="XsQL1f1mAF" dmcf-ptype="general">임 교수는 "이 균형은 뇌의 흥분과 억제 신호 조화에 필수적"이라며 "균형이 깨지면 행동 및 인지 기능 이상이 나타난다"고 부연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ef9a1cdc85917d15d7d94dec751e6de28e65351305e43d4934840ce9dddd98b" dmcf-pid="ZOxot4tsat"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프로바이오틱스 후보 유전체를 분석해 대사산물 생성 및 흡수 능력을 예측하는 AI 기반 대사산물 예측 모델을 개발, 글루타메이트를 흡수하고 가바를 생성하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L. reuteri IMB015)을 발굴했다.</p> <p contents-hash="f93216015f541a07524f675897d1bacf1e46174a1c5d29a7cff82f845497c656" dmcf-pid="5IMgF8FOg1"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IMB015 투여 결과, 대사 균형이 회복되고 신경 염증이 감소했으며, ASD 관련 행동 이상이 예방되는 효과를 확인했다.</p> <p contents-hash="675c92557fa97e50688e0fe8feedb297fb23045e18d3cf161c8d9af9baf2f1db" dmcf-pid="1CRa363Ia5" dmcf-ptype="general">임신혁 교수는 “자폐증을 단순한 유전 질환이 아니라, 장내 미생물 조절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면역-신경계 질환으로 바라보게 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라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29b53877294ae8cff4f9f8d9a72e36252cc78b93b0719ff42c1dee1a8d8e3ed" dmcf-pid="theN0P0Cj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자폐증상 완화 기능을 지닌 장내세균/프로바이오틱스의 작동 기작. 연구팀이 장내 세균 → 면역 반응 → 뇌 염증 → 행동 변화로 이어지는 ‘장-면역-뇌 축’이 자폐증의 핵심 경로임을 규명했다.(그림=POSTECH)"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ZDNetKorea/20250818184629698ardw.jpg" data-org-width="638" dmcf-mid="fUdjpQphj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ZDNetKorea/20250818184629698ard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자폐증상 완화 기능을 지닌 장내세균/프로바이오틱스의 작동 기작. 연구팀이 장내 세균 → 면역 반응 → 뇌 염증 → 행동 변화로 이어지는 ‘장-면역-뇌 축’이 자폐증의 핵심 경로임을 규명했다.(그림=POSTECH)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eedc773ed199875cc55639004736b26a46b002e36f08d2e8adf938ff5c01d8e" dmcf-pid="FldjpQphcX" dmcf-ptype="general">임 교수는 또 "상용화도 눈에 보이지만, 현재는 펀딩 받는 문제와 시간이 당면 현안"이라며 "ASD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군집에 대해 연세대학교와 중국 연구팀 등과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8eb399866befb8286649cead0e126d8a2fbc3a7ea3fb602faf64ae3c726cbe66" dmcf-pid="3SJAUxUlcH" dmcf-ptype="general">연구는 POSTECH 연구진과 임신혁 교수가 대표로 있는 ㈜이뮤노바이옴 간 긴밀한 산학협력을 통해 이뤄졌다.</p> <p contents-hash="bcf6362fa88db04f3d6c0e08396fc67954dd98b6bffe884831dd86043aefc519" dmcf-pid="0vicuMuSkG" dmcf-ptype="general">(주)이뮤노바이옴은 난치성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박테리아 등 생균 기반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p> <p contents-hash="e128bb5ddec41039fa76ea49d230d33069e0bc7fdb9b7e531050d826bd13a24d" dmcf-pid="pMtqDHDxgY"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향후 임상 독성시험과 임상 연구를 통해 자폐증 증상 개선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생균제 치료제 개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aebb6a1bd404d3bd921195aebd400b5e76b2a18f79af5521e24a8d8b22e64704" dmcf-pid="URFBwXwMcW" dmcf-ptype="general">한편, 연구는 ㈜이뮤노바이옴,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유형2)사업 및 기초과학연구소의 지원으로 수행됐다.</p> <p contents-hash="2a53016758ae8877811e0697e73d5d2686389ec2ee4099b657ff4575b0eefad7" dmcf-pid="ue3brZrRky"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케데헌’이 장악한 한국 음악 시장, 음원 소비량도 늘었다 08-18 다음 팀 코리아, 청두월드게임 역대 최다 메달 타이… 金5 종합 17위로 마감 08-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