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 안전성·신뢰성 확보 ‘국제표준’ 선도 작성일 08-19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AI 잠재적 위험찾는 ‘레드팀 테스팅’·‘신뢰성 라벨’ISO 표준 착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hYc4vNfH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3ff57acc400885f9f1415f87e6950e983c3134a277b70e23a22b8688e3ef33" dmcf-pid="HdaVHnKGX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TRI 연구진이 레드팀을 통해 AI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위험과 시나리오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ET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090339981xobz.jpg" data-org-width="1280" dmcf-mid="WflobOiBt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090339981xob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TRI 연구진이 레드팀을 통해 AI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위험과 시나리오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ET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bb1e094328ab7f252cd3b9bc9dca9184e9b1a1a70a0ebde41cedc3d5bf20757" dmcf-pid="XJNfXL9HXO"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시스템의 위험을 미리 찾아내는 ‘AI 레드팀 테스팅’표준과 소비자가 AI의 신뢰 수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신뢰성 사실 라벨(TFL)’표준을 국제표준화기구(ISO/IEC)에 제안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73709c9a67ac9e3047dc4300c02668a63467ff3d664106fc05f186c14f82fad" dmcf-pid="Zij4Zo2X1s" dmcf-ptype="general">‘AI 레드팀 테스팅’은 AI 시스템이 얼마나 안전한지를 공격적으로 탐색하며 테스트하는 방법이다.</p> <p contents-hash="9cf618c0b49305cb593cb628ebf21a59d3730301afc2a89a11b61ea53d964155" dmcf-pid="5nA85gVZ1m"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생성형 AI가 잘못된 정보를 내놓거나, 사용자 보호장치를 피해 악용되는 상황을 미리 찾아내는 것이다.</p> <p contents-hash="ca7650f3f7bd7d01dfe9d1d6a83882b9db55d83ca406a157826b7d344d38a378" dmcf-pid="1Lc61af5Hr" dmcf-ptype="general">ETRI는 이 분야 국제표준인 ISO/IEC 42119-7의 에디터 역할을 맡아, 의료·금융·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국제 공통 시험 절차와 방법을 만들고 있다.</p> <p contents-hash="f804f5c4a48adcc0796e1d0b488c454a27a46c0774f7b6099f1a39865bad08a1" dmcf-pid="tokPtN41Hw" dmcf-ptype="general">또한 서울아산병원과 협력해 의료 전용 레드팀 평가 방법론도 함께 개발 중이며, 첨단 AI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한 레드팀 시험 체계도 만들고 실증 테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be8c5236356956e4df94d8afd610e920bff5c025d286d4c071345460da4dd760" dmcf-pid="FgEQFj8tZD" dmcf-ptype="general">STA·네이버·업스테이지·셀렉트스타·KT·LG AI연구원 등 주요 기업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AI 레드팀 국제표준화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e5ae4858f7e377e72f522cc37fb38a4c6f6524fba6e203a1937db63f673f2ad" dmcf-pid="3aDx3A6FZE" dmcf-ptype="general">또 하나의 핵심 표준은 바로‘신뢰성 사실 라벨(Trustworthiness Fact Labels, TFL)’이다.</p> <p contents-hash="4ccc83e4d55b784dd16d06bfe429e5ea071eceb6fe94824a3567c9c703de5a6b" dmcf-pid="0NwM0cP31k" dmcf-ptype="general">이 라벨은 AI 시스템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시각화해주는 것으로, 마치 식품의 영양성분표처럼 소비자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ae5696cecebb5f0e8e5111bf5c93d5c47dccfaa8edf79adf42f7a7964845c6" dmcf-pid="pEIizre71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TRI 연구진이 인공지능 테스트베드 서버를 점검하며 레드팀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ETR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090340262kikx.jpg" data-org-width="1280" dmcf-mid="YuHE6yA8G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090340262kik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TRI 연구진이 인공지능 테스트베드 서버를 점검하며 레드팀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ETR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6f0f65f67808a26fa834adae25f275b32537bcd1966807a6c526276463e82a" dmcf-pid="UDCnqmdz1A" dmcf-ptype="general">이 표준은 인공지능 활용 조직에 대한 국제 인증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AI 경영시스템 표준(ISO/IEC 42001)’과도 연계, 개발된 제품 및 서비스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 입증할 수 있는 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869d390c837cf10eb9f11c42f832cd8a5e7c82b8bff8add1290b262499eaea27" dmcf-pid="uwhLBsJqXj" dmcf-ptype="general">이번 두 표준은 정부가 추진하는 ‘소버린 AI(주권형 AI)’, ‘AI G3 도약’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p> <p contents-hash="c57a7e7a4532d264ff8acd5d3728d11d1f074ad2c8b1f87b9aaf8578062a6e8f" dmcf-pid="7rlobOiBXN" dmcf-ptype="general">단순한 기술력 확보를 넘어, 글로벌 AI 규칙을 만드는 주도권 경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사례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9d64e920d86da75e44441c479e432463fb175f1db83b9718a62bf70ed0278848" dmcf-pid="zmSgKInbXa" dmcf-ptype="general">김욱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PM은 “AI 안전과 신뢰성 제공은 모두가 AI를 사용하는 것에 쉽게 다가가도록 하며, 이번 국제표준 선도는 AI 규범을 선도하는 국가로 가는 분기점”이라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a038caf2470d779d53e30092e9cc39b621fa3b46fae6990dda8ce85c3d728a7e" dmcf-pid="qsva9CLK1g" dmcf-ptype="general">이승윤 ETRI 표준연구본부장도 “AI 레드팀 테스팅과 신뢰성 라벨은 미국, EU 등 각국 AI 규제정책에 포함된 핵심 기술 요소로, 이 국제 표준들은 전 세계 AI 시스템의 안전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공통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국전파진흥협회, 메타·업스테이지와 '메타 라마(Llama) 아카데미' 출범 08-19 다음 항우울제, 노인에 효과없는 이유는?…노화된 뇌 '넘비 단백질' 과발현이 주범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