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인텔 지분 10% 인수 검토"...사실상 국영화? 작성일 08-19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지난 주 트럼프-립부 탄 회동 후 직접 투자설 부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5t1O4tsak"> <p contents-hash="e1f257bdda795981ebed2c7a10ac8d9ec6a147f12431974aa317b94a1232002b" dmcf-pid="u1FtI8FONc"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종합반도체기업(IDM) 인텔 지분 중 10%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직접 투자를 계획중이다. 18일(이하 미국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핵심 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p> <p contents-hash="aca4461c490eeed4623c769c05e31fa0072a2ffb0de1896502c7e0bf63f6f557" dmcf-pid="7t3FC63IAA" dmcf-ptype="general"><span>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함께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와 백악관에서 만났다고 밝히면서 "립부 탄 CEO와 내각 관료들이 논의해 다음 주 제안을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d8c39376aef36aa58831dad4b485f7bc5ca023d42e959c749f27335873800c" dmcf-pid="zF03hP0Ck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소재 인텔 본사, 로버트 노이스 빌딩.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5618vtxo.jpg" data-org-width="640" dmcf-mid="pF2gfSaVa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5618vtx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소재 인텔 본사, 로버트 노이스 빌딩.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516ffd830d155a5ce99a0da0ee5dbfc1f56b983b75621fcabe4f81724fc94c" dmcf-pid="q3p0lQphgN" dmcf-ptype="general">미국 정부의 지분 투자가 끝나면 인텔 지분 중 9.37%를 확보해 블랙록(자산운용사)을 제치고 최대 주주로 올라선다. 인텔이 사실상 미국 국영 기업이나 공기업처럼 운영될 수 있다는 의미다.</p> <p contents-hash="a022f9fcd046dd1b406afc57dcb48f33a9d337a1cc5507ed369aaeb1bab2d9e6" dmcf-pid="B0UpSxUlga" dmcf-ptype="general"><strong>블룸버그 "美 정부, 인텔 지분 직접 투자 검토"</strong></p> <p contents-hash="e0cff5d5531a8e87c3bcba1b65682850c71536a9973144226527dcfe886a80e9" dmcf-pid="bpuUvMuSgg" dmcf-ptype="general">미국 상무부는 지난 해 11월 말 민간·군사용 반도체 생산을 전제로 인텔과 108억 달러(약 15조 843억원) 규모 보조금 지급에 최종 합의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1월 시점으로 총 22억 달러 가량을 지급받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c03b617c771ca8cae41cd8201075d26fec38f6c5a6da220e8d762171e11477" dmcf-pid="KU7uTR7vk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월 20일(미국 현지시간) 반도체 법 보조금 서명식에 참석한 팻 겔싱어 인텔 CEO(왼쪽),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 (사진=인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5979bwyy.jpg" data-org-width="640" dmcf-mid="uh6cQYkPN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5979bwy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월 20일(미국 현지시간) 반도체 법 보조금 서명식에 참석한 팻 겔싱어 인텔 CEO(왼쪽),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 (사진=인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f60c27e67ec0d4a60e2f0eaf9831fa1d5e67d225b16d8912760f63a87c34583" dmcf-pid="9uz7yezToL" dmcf-ptype="general">당시 상무부는 "반도체지원법 보조금은 생산시설 건설과 기술 개발, 제품 생산과 상업적 성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급될 것이며 각 수혜자의 보고에 따라 성과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5af28af6ce014f9f5d98b45027e949bfa838e39a3c4b8d622b38c3b943eb5eb" dmcf-pid="27qzWdqyk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인텔이 상무부에서 지급받는 보조금 규모. (자료=미국 상무부, 인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7262ybvx.jpg" data-org-width="640" dmcf-mid="7am1O4tsa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7262ybv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인텔이 상무부에서 지급받는 보조금 규모. (자료=미국 상무부, 인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bc1d2fbc50a8344bb8d4d45b17e09927913a5d2669eebf7845b96904f3b3aab" dmcf-pid="VzBqYJBWgi" dmcf-ptype="general">블룸버그는 11일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정부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확정한 반도체과학법(CHIPS Act) 보조금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인텔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a2ee1a7fcd51efd59ea6b8cd3096df0a997414155763257a20c17cd3db88b64" dmcf-pid="feJdBsJqaJ" dmcf-ptype="general"><strong>美 정부, 블랙록 제치고 1대 주주로 올라서나</strong></p> <p contents-hash="9cfa9fefe8f05c966b7e603c5fdf528b286422f948e32cd9f169cdadfb5f279e" dmcf-pid="4diJbOiBgd" dmcf-ptype="general">18일 현재 인텔의 총 발행 주식은 약 43억 7천900만 주 가량, 시가 총액은 1천37억 달러(약 1천438조)다. 미국 정부가 이 중 10%인 103억 7천만 달러(약 144조원)를 투자하려면 18일 종가(23.65달러) 기준 4억 3천900만 주를 새로 발행해야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d351916af2bed3779d08b579845130f46db56feae6e66e69b3fa6b0824ebf4" dmcf-pid="8JniKInbc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정부의 인텔 투자 성사시를 가정한 주요 주주 지분율 변화 예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8497yzzh.jpg" data-org-width="640" dmcf-mid="FvNTAzyjA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8497yzz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정부의 인텔 투자 성사시를 가정한 주요 주주 지분율 변화 예상.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d527c48f846fb1a9b5a6451c085fcae4d758a290705875a81e37843797f9295" dmcf-pid="6iLn9CLKgR" dmcf-ptype="general">투자가 끝나면 1대 주주는 지분 9.1%를 확보한 미국 정부가 된다. 현재 최대 주주인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지분율은 8.92%에서 8.10%로 내려간다. 인텔이 사실상 미국 국영 기업이 되는 셈이다.</p> <p contents-hash="4a7b78851dfd685e33dc6ef79c94811c2ddf439334be583a006c85b44b161195" dmcf-pid="PnoL2ho9AM" dmcf-ptype="general">블룸버그는 관계자를 인용해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물론 백악관이 이 계획을 진행할 지도 여전히 유동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f549d19618a485ca52b540f5853cdc954266795c910a8e67b6d27b7a7802296" dmcf-pid="QLgoVlg2cx" dmcf-ptype="general"><strong>파운드리 생존 추진 중인 립부 탄 입지 강화</strong></p> <p contents-hash="fc870d348a3ad06602c2c91a73c2a3fde9b15ebe4d923970c1b962ae45d348c6" dmcf-pid="xoagfSaVaQ" dmcf-ptype="general">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일 '이해충돌'을 이유로 립부 탄 인텔 CEO의 사임을 요구한 바 있다(관련기사 참조).</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a82e7db9ab1e6e9de6f8086cb8f854b18734304ae3c6196e6cfb68060e0ba40" dmcf-pid="yt3FC63Ij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9일 오전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커넥트 2025 기조연설을 진행하는 립부 탄 CEO. (사진=인텔 파운드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8700onty.jpg" data-org-width="640" dmcf-mid="38hpSxUlj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18700ont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9일 오전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커넥트 2025 기조연설을 진행하는 립부 탄 CEO. (사진=인텔 파운드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a5d764020ffaa7090cffbd1d0f0a9e644e14b027f1b8f7cbc1b8159c64778bb" dmcf-pid="WF03hP0CA6" dmcf-ptype="general">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텔 파운드리 사업 지속 추진을 요구하는 립부 탄 CEO와 분리·매각을 요구하는 인텔 이사회 사이 불화설이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910655fee87c68a5039c1242a37cc3521c20082aa69f6a966f827cb752cee58" dmcf-pid="Y3p0lQpha8" dmcf-ptype="general">당시 립부 탄 CEO는 "이사회는 회사 변혁, 고객 혁신, 원칙에 기반한 실행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반박했다.</p> <p contents-hash="6d52319c7b47282600160614602381ce9980ce419ab02f85be96760a74e23c4d" dmcf-pid="G0UpSxUlc4" dmcf-ptype="general">미국 정부의 인텔 직접 투자는 파운드리 사업 지속 투자를 추진하는 립부 탄 CEO를 뒷받침할 수 있다. 미국 정부 측 인사가 인텔 이사회에 들어와 사업 방향 조정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dd5823722562725ac4f4309359ef23ad11090d2f840edb18bee530089789fa6" dmcf-pid="HpuUvMuSA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텔이 미국 오하이오 주 뉴 앨버니에 건설중인 신규 반도체 생산 시설. (사진=인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20013kcge.jpg" data-org-width="640" dmcf-mid="0mCIL3Cna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20013kcg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 주 뉴 앨버니에 건설중인 신규 반도체 생산 시설. (사진=인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25a97b48a5730ef192474ad4ab48f19bf286409517f3637f175ab5a2632b3f4" dmcf-pid="XU7uTR7vkV" dmcf-ptype="general">립부 탄 CEO는 최근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반도체 후공정 거점 통합과 함께 오하이오 주에 건설중이던 반도체 생산시설 건립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정부는 지분 투자와 함께 오하이오 주 반도체 생산 시설 재개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1951598964409863f78b02d8a83c3f482fa9a2a3249703ff261857a110e4af82" dmcf-pid="Zuz7yezTa2" dmcf-ptype="general"><strong>현금 흐름 개선 효과...파운드리 투자 재원에 충분한 지는 의문</strong></p> <p contents-hash="a111678870cfd2d6eee0225875693750ea372ec55784c9d65016f11ae55b9df2" dmcf-pid="57qzWdqyo9" dmcf-ptype="general">현재 인텔은 6월 말 기준 총 96억 4천300만 달러(약 13조 3천700억원) 가량 현금성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100억 달러 규모 투자가 성사되면 현금 흐름을 개선하는 한편 파운드리 등 시설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7c9ef4a72e45752c088aafb2eb920fb3f4533a04eacbc527816582a793da00a" dmcf-pid="1RdeqmdzA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3-2025 인텔 파운드리 매출/영업이익 추이. (단위 : 1억 달러, 자료=인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21229icjf.jpg" data-org-width="640" dmcf-mid="prOsitOJN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321229icj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3-2025 인텔 파운드리 매출/영업이익 추이. (단위 : 1억 달러, 자료=인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709b4f8e2a7b57a8efb237b3861c5434115c477dc951c75467e19990052e90" dmcf-pid="teJdBsJqob" dmcf-ptype="general">그러나 인텔 파운드리는 2023년 이후 매출을 넘어서는 적자를 내고 있다. 지난 해부터는 매 분기 최소 20억 달러 가량 순손실을 기록 중이며 지난 2분기에도 32억 달러(약 4조 4천400억원) 적자를 냈다.</p> <p contents-hash="c03992bbae8097a55b327ee68c01634e874bebe423fde79c411d52fb564207a4" dmcf-pid="FdiJbOiBkB" dmcf-ptype="general"><span>미국 정부가 100억 달러 규모 신규 투자를 시행해도 현재 인텔이 계획중인 각종 시설투자와 인텔 18A 공정 생산 준비, 또 향후 공정인 인텔 14A(1.4나노급)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충분히 충당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span></p> <p contents-hash="d3c9943a732a3be43302d69648fdb01947c7381e9f1999960e9609bd707e8c02" dmcf-pid="3JniKInbgq" dmcf-ptype="general">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르면 9월 국내 저궤도 위성 서비스…美·유럽 기업 절차 마무리 08-19 다음 지구 종말의 새로운 복병 ‘나그네별’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