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MIT와 ‘피지컬 AI’ 글로벌 연구허브 세운다 작성일 08-19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30년까지 6년간 77억원 투입 <br> “사람·기계 협력하는 ‘인간중심 AI’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CyXr2Zwk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69a4984b63d6898f10ab6bc7ffd408bc34a3b62258257d7cc868e6e3f6889f1" dmcf-pid="xhWZmV5ra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오른쪽부터 김승준, 김경중, 홍진혁 GIST 교수. 해외연구책임자 MIT 다니엘라 루스 교수(왼쪽 상단)./G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chosunbiz/20250819093145281sxcr.jpg" data-org-width="700" dmcf-mid="9geHw9XDc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chosunbiz/20250819093145281sxc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오른쪽부터 김승준, 김경중, 홍진혁 GIST 교수. 해외연구책임자 MIT 다니엘라 루스 교수(왼쪽 상단)./GIST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a535b152898e5a010833cfa859956226cb6dfe0308f08162c6fd32bd04be4a" dmcf-pid="y4MiKInbo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chosunbiz/20250819093145612tkwd.png" data-org-width="1800" dmcf-mid="2zNpSxUlj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chosunbiz/20250819093145612tkwd.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d2b4568b9d2d22ed84cea96aa63c71d5152c6b13eacde1bf3b39753db0b7dc09" dmcf-pid="W8Rn9CLKcy" dmcf-ptype="general">광주과학기술원(GIST)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와 함께 ‘피지컬(Physical) AI(인공지능)’ 연구에 본격 나선다. 피지컬 AI는 현실의 물리적 세계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차세대 AI 기술이다.</p> <p contents-hash="94fb90da06caf88e0d8be4008ccabbdc41953ee88cdecc273bb183fb808984fd" dmcf-pid="Y6eL2ho9kT" dmcf-ptype="general">GIST는 김승준 AI융합학과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 구축사업’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 연구기관이 이미 구축한 해외 네트워크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국제협력으로 우수 성과를 이어가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p> <p contents-hash="a9963738a004255e1c996bb00e305ccea6a678113bf7d6266a32b55709c731c5" dmcf-pid="GPdoVlg2ov" dmcf-ptype="general">피지컬 AI는 센서, 로봇, 자율주행차, 스마트 제조 설비 등과 결합해 사람과 기계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자율주행차·스마트 팩토리 등 첨단 기술과 융합될 수 있고, 의료·교육·산업·서비스 전반으로 확산이 가능해 미래 혁신 기술로 꼽힌다.</p> <p contents-hash="82dac89d6fd2acc5f7ad2c4da2c6ccdbd866b7ada0365d473fcf030b37e00091" dmcf-pid="HQJgfSaVkS"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2025~2030년 6년간 총 77억원을 지원받아 ‘GIST-MIT 인간중심 피지컬 AI 상호작용 연구센터’를 세워 운영할 계획이다. 해외 연구책임자로는 세계적인 로봇공학 권위자인 다니엘라 루스(Daniela Rus)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 소장이 참여한다.</p> <p contents-hash="b7351288827880dbbdf545dccbdc92a41bcf9aa1b3adcd5939f9cec7d31f7a1e" dmcf-pid="Xxia4vNfgl" dmcf-ptype="general">국내에서는 김승준 교수를 중심으로 홍진혁 GIST 교수(로봇·접근성), 김경중 GIST 교수(강화학습·촉각 로봇), 송영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광전자·피지컬 AI 센서), 이경택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엣지 컴퓨팅·실감 미디어)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합류한다.</p> <p contents-hash="6d14448c31cf80435ab68fc749c21d21933613cacc06185a4d6b092caf7be0f1" dmcf-pid="Z4MiKInbah" dmcf-ptype="general">GIST와 MIT는 새 연구센터에서 ‘인간중심 AI’를 목표로, 실감 상호작용과 포용성, 이해 가능성을 갖춘 피지컬 AI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과 확장현실(XR) 기술을 공동 연구하며, MIT CSAIL과의 협력 확대, 다자간 연구 네트워크 구축, 인력 교류, 국제 워크숍 개최, 산학 협력 기반 기술 실용화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ec41a073c08bb5e7c05e320776754761a93d36a73064e676fe120d1c9dbf2dc3" dmcf-pid="58Rn9CLKNC" dmcf-ptype="general">특히 광주 AI 집적단지와 연계해 글로벌 연구 거점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연구자를 MIT에 파견하고, MIT 연구진을 GIST로 초청하는 등 실질적인 교류를 강화한다.</p> <p contents-hash="a60827f6ec39bee6b0969f9799c1c80646e0ad23c81d4e9ac43ccf3d218b2437" dmcf-pid="16eL2ho9NI" dmcf-ptype="general">김승준 교수는 “지난 5년간 GIST-MIT 공동연구로 쌓아온 국제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내겠다”며 “차세대 글로벌 AI 인재 양성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ea4eb1980297413fedc89feaef50c0d110f1d073e67085b50b0e9171c74353a" dmcf-pid="tPdoVlg2kO"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차세대 냉각기술 액침냉각 상용화는 왜 늦어지나 08-19 다음 이르면 9월 국내 저궤도 위성 서비스…美·유럽 기업 절차 마무리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