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냉각기술 액침냉각 상용화는 왜 늦어지나 작성일 08-19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엔비디아 인증 부재·경제성 부족…GPU '루빈 울트라' 출시 내후년 이후 시장 개화 예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0T4Fj8tN5"> <p contents-hash="f3920ebb76218e5141615f66d73ccb0eecef2c037555f456a600a6df13937fd6" dmcf-pid="Gpy83A6FcZ"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전화평 기자)1970년대 초 IBM 등 컴퓨팅 기업은 대형 메인프레임과 슈퍼컴퓨터를 위해 액침냉각 개념을 시험했지만, 비용과 유지보수 문제로 상용화에는 실패했다. IT 산업에서 액침냉각 기술 개발이 시작된 지는 사실상 50년이 넘은 셈이다.</p> <p contents-hash="3bac3cb7f429b6cd1092312235ca754428d13872b95032db1f0573029c07ef49" dmcf-pid="HUW60cP3cX" dmcf-ptype="general"><span>기술이 시장의 관심을 다시 받게 된 계기는 2000년대 후반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 문제가 대두되면서다. 당시 비트코인 채굴기, 고성능 서버 등 발열이 심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가 확대되기 시작했다. </span><span>여기에 2010년대 중반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알리바바 등 대형 클라우드 기업이 냉각액이 기화하면서 열을 제거하는 ‘2상 액침냉각’을 실험하면서 상용화의 첫 단추를 끼웠다.</span></p> <p contents-hash="c913f402098fbe10e51a6781dd4ec14761041ad01febcc5cfec959b4efdd79de" dmcf-pid="XuYPpkQ0NH" dmcf-ptype="general"><span>그러나 오늘날 액침냉각 시장은 여전히 첫 단추만 끼워진 상황이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42b1ee931e8f9871c2a3c8015317e6aefddf10ee57f40ee15ad17d7539c253" dmcf-pid="Z7GQUExpN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액체냉각이 활용되는 엔비디아 블랙웰 GPU 기반 서버 시제품. (사진=엔비디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17585ohfn.jpg" data-org-width="640" dmcf-mid="FqAcQYkPj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17585ohf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액체냉각이 활용되는 엔비디아 블랙웰 GPU 기반 서버 시제품. (사진=엔비디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a4f6c875d9501bff986d3462344bd052546ffff43b0de4bdfe9eca970c4651" dmcf-pid="5zHxuDMUaY" dmcf-ptype="general"><strong>엔비디아, 액체냉각 기술 도입...늦어지는 액침냉각 방식</strong></p> <p contents-hash="762124e18ddd0c70c01ea78aa323306b51ece0eeb6ed515dc03e08b66d8dd10b" dmcf-pid="1lAFC63INW" dmcf-ptype="general">19일 업계에서는 액침냉각 도입 지연의 이유로 엔비디아를 지목한다. 엔비디아가 액체냉각 방식을 도입한 반면, 액침냉각에는 인증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8d87cf0928653e2884549fb2ab0ea7af19ed395bd3262b0d8f3aa4f4556e0e20" dmcf-pid="tSc3hP0Cky" dmcf-ptype="general"><span>LG전자 ES연구소 내부 관계자는 “엔비디아가 본인들 GPU(그래픽처리장치)에 대한 액침 수명 보증 인증을 주지 않는다”며 “장기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을 지 모르니까 아직 보증을 </span><span>못해주는 것 때문이 시장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것 같다”고 </span><span>밝혔다.</span></p> <p contents-hash="37ae3ead0210e2ab4dd16a2ac70da870cb4b3dbb9148f03c371396282e2b6643" dmcf-pid="Fvk0lQphgT" dmcf-ptype="general"><span>액침냉각 업계 관계자는 “액체냉각이 액침냉각보다 쿨링 용량이 좀 적은데, 엔비디아는 아직까지 액체냉각만으로 충분한 걸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90432075a173d2d1d5c9d99a5bd4c6c7c9c53290156c634c23b509829b60a7f0" dmcf-pid="3TEpSxUlav" dmcf-ptype="general"><span>아울러 경제적인 이유도 액체냉각 채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서버 전체를 용액에 담구는 액침냉각은 전용 인프라가 필요하다. 기존 데이터센터 공조 시스템인 공랭 인프라를 이용할 수 없는 이유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f6fc512ada357ec2529d5e829576f7560634b7a069fd29792577c5194595f7" dmcf-pid="0yDUvMuSc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달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데이터센터월드 2025'에서 모델들이 AI 데이터센터 액체 냉각 솔루션인 냉각수 분배 장치(CDU)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18905rvqg.jpg" data-org-width="638" dmcf-mid="0y1tI8FOa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18905rvq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달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데이터센터월드 2025'에서 모델들이 AI 데이터센터 액체 냉각 솔루션인 냉각수 분배 장치(CDU)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bee8674293b96a52d585f2325a5b499d1f1f9cc9ea98ab65eae4170c305d0d" dmcf-pid="pWwuTR7vjl" dmcf-ptype="general">반면 액체냉각은 기존 공랭 인프라에 콜드플레이트를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인프라를 처음부터 구축해야 하는 액침과 달리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셈이다.</p> <p contents-hash="f8143bd77bed063e3317e126c96872f6d835040027f22ab72cd4df554e40e70d" dmcf-pid="UYr7yezTjh" dmcf-ptype="general"><span>콜드플레이트는 고발열 부품의 열을 빠르게 흡수하고 액체(냉각수 등)을 이용해 외부로 방출하는 액체 냉각 방식의 열전달 장치다. 쉽게 말해 뜨거운 부품의 열을 금속판이 받아들이고, 그 열을 물 등 유체로 전달해 밖으로 빼낸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LG전자가 콜드플레이트를 연내 상용화할 계획이다.</span></p> <p contents-hash="74804b19af8253822c9db6c18dbfedb2b1b4272ad987382f3e7b1774f249ee2c" dmcf-pid="uGmzWdqyNC" dmcf-ptype="general"><span>LG전자 관계자는 “액체냉각은 공랭식과 함께 활용되는데 이 때 액체 냉각이 80%, 공랭식이 20% 정도 비중으로 열을 떨어뜨린다”며 “소비 전력은 50대 50 정도”라고 설명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8aaf1db7ae3bcb3b81300d82f3059830ed26eaa529131ff438190778a78d44" dmcf-pid="7HsqYJBWA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액침냉각설비에 담긴 냉각유와 서버를 테스트하고 있는 HD현대오일뱅크 직원들. (사진=HD현대오일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20280nfzw.png" data-org-width="640" dmcf-mid="WgOBGibYa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ZDNetKorea/20250819093120280nfz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액침냉각설비에 담긴 냉각유와 서버를 테스트하고 있는 HD현대오일뱅크 직원들. (사진=HD현대오일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0ca093e8f6e24e046e40c77fd77c7979e7bb38baf2ed8adb61006ea599404e" dmcf-pid="zXOBGibYkO" dmcf-ptype="general"><strong>“엔비디아, '루빈 울트라' 이후 액침 적용할 듯”</strong></p> <p contents-hash="9a2055785e63f8ed382dfb181f57a502e9eff67e1e30b2a673dedf17cf294668" dmcf-pid="qZIbHnKGas"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액침냉각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하는 시기를 오는 2027년에서 2028년 사이로 보고 있다. 엔비디아가 내후년 공개 예정인 GPU 진화 버전인 '루빈 울트라' 이후 액침냉각이 본격 도입된다는 예상이다.</p> <p contents-hash="206a124f4f39aff6f2b846f19bf7fd9a6cc666856eaded9b3ca47ac08961529b" dmcf-pid="B5CKXL9Hkm" dmcf-ptype="general"><span>액침냉각 업계 관계자는 “루빈 울트라 이후부터는 발열이 너무 심해서 액체냉각만으로는 칩을 식히는 게 불가능하다”며 “엔비디아 측에서도 액침냉각 관련된 엔지니어도 채용하고 있는 걸로 안다”고 </span><span>말했다.</span></p> <p contents-hash="d4030a9bb08e6d1de0b7284ec1e1d4192f9ff820c0398103215ba8cd967e30f4" dmcf-pid="b1h9Zo2Xgr" dmcf-ptype="general"><span>그러면서 “쿨링 용량에서도 액체냉각이 액침냉각보다 좀 적다”며 “현재는 충분할 지 몰라도 미래에는 액침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e8d536c3190c3baa049808c6f9e406595e5daa67d9c05b3443ea583bf3f2f7cc" dmcf-pid="Ktl25gVZaw" dmcf-ptype="general">전화평 기자(peace201@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파인 촌뜨기들’ 출연진 친필 메시지 공개 08-19 다음 GIST, MIT와 ‘피지컬 AI’ 글로벌 연구허브 세운다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