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 리스크 초읽기…“경제계 목소리도 들어달라” 호소 작성일 08-19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OQ7nTj4m6"> <p contents-hash="f09bf488412830fea453f595d0e5baa5109b293655608451ca84eb60e21d8ae4" dmcf-pid="6IxzLyA8E8" dmcf-ptype="general">국회 본회의 통과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에 대한 각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p> <p contents-hash="6d5f6cf51301131de6f6d638f3d591b090addf61f059a69bee363df2090a0edd" dmcf-pid="PCMqoWc6r4" dmcf-ptype="general">더불어민주당이 강력한 입법 의지를 표하면서 사실상 경제계 요청이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어 입법 후폭풍도 우려된다.</p> <p contents-hash="6854e4de5abe22b2949d95aa9c2891a1c6bc08ffa0d1f753bf289768817efcd7" dmcf-pid="QhRBgYkPmf" dmcf-ptype="general">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제인협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의 경제6단체와 15개 지방경총, 산업별 주요 단체는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과 국회 본관 앞에서 노동조합법 개정을 반대하는 경제계 결의대회를 열었다.</p> <p contents-hash="6db6dac9ac5bd1645dc7cc77cfca7087ffe59a5fc97cae37f769c9481c6fca91" dmcf-pid="xvJ9jXwMIV" dmcf-ptype="general">경제계는 공동성명에서 “불법파업에 대한 손해배상이 근로자에게 부담이 된다는 노란봉투법 취지에 따라 손해배상액 상한을 시행령에서 별도로 정하고 급여도 압류하지 못하도록 대안을 제시했지만 국회가 경제계 요구는 무시하고 있다”고 호소했다.</p> <p contents-hash="2337472a38d7449600aebba859a9f52614c7e14d41e1a55eebe6e1e5e22c6471" dmcf-pid="yPXspJBWO2" dmcf-ptype="general">또 “사용자 범위 유지와 노동쟁의 대상의 '사업경영상 결정'만은 제외해달라고 수차례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사용자 범위가 무분별하게 확대되면 원·하청 간 산업 생태계가 붕괴되고 국내 산업 공동화가 현실화될 것”이라며 경제계 요구 수용을 요청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42f8efe4a42736fba5b12245193576218aec14646ff01719971e7caf902eda" dmcf-pid="WQZOUibYD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임스 김 주한 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이 19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를 만나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44638470jeol.jpg" data-org-width="700" dmcf-mid="fajfk1sdr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44638470jeo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임스 김 주한 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이 19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를 만나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40514811f9088396347f2bfac303c7cfceebb2710cd56087c994c34da44d7b6" dmcf-pid="Yx5IunKGDK" dmcf-ptype="general">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 겸 대표는 이날 국회를 방문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와 면담하고 노란봉투법에 대한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p> <p contents-hash="118ccae61589fa73233434cea38ad3f1cc628f50e3befbfc63ddd78dbff44eb9" dmcf-pid="GM1C7L9HEb" dmcf-ptype="general">김 회장은 “노란봉투법의 국회 통과가 아시아 지역 허브로서의 한국 위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b673f97521fb78b78f5d795f4e942d27778b30e448339764cd68a728fd4ea7e" dmcf-pid="HRthzo2XE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왼쪽 네번째)이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노조법 개정 관련 초청 간담회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왼족 다섯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44639743xjwo.jpg" data-org-width="700" dmcf-mid="4FmnvKHEI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44639743xjw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왼쪽 네번째)이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노조법 개정 관련 초청 간담회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왼족 다섯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556bf72fac6a62a34cf9195b587b77c4736ca6d19b882c90259b9f502156364" dmcf-pid="XeFlqgVZrq" dmcf-ptype="general">중소기업계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노란봉투법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p> <p contents-hash="5836be85588280e6bf7a12c4cd207ed0771a9d3622a267b1d4f7cf6893f3d394" dmcf-pid="Zd3SBaf5rz" dmcf-ptype="general">이재광 한국전기에너지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기업 우려를 해소할 만큼 명시적 대안이 없다”며 정부 대책을 촉구했다. 박평재 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원청 파업이 협력사 매출과 근로자 소득까지 직격탄이 된다”며 2·3차 협력업체 피해를 우려했다.</p> <p contents-hash="0d9cb21b2da5f699df261a12e9bc5d8a32f364d8e9aa0caca6710a6043b87421" dmcf-pid="5J0vbN41I7" dmcf-ptype="general">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협력사 노조의 교섭·파업이 허용되면 중소 제조기업의 거래 단절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최소 1년 이상 시간을 두고 노사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cbc8ff991332757cf5226d9d226edc2e8572427636b31e5c2566b16bca92ec5" dmcf-pid="1ipTKj8tOu" dmcf-ptype="general">한편,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민·기업인 1200여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란봉투법 시행으로 76.4%가 노사갈등이 '보다 심화될 것', 80.9%가 '파업 횟수와 기간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p> <p contents-hash="7d67022f4e6c240501fb66845c213e73aaecc7d4b25a23ed25ae40a1347d435c" dmcf-pid="tnUy9A6FIU" dmcf-ptype="general">노동쟁의 대상에 '사업경영상 결정'이 포함된 것에 공감하는 국민은 8.2%에 불과했다. 65.3%는 사회적 소통을 충분히 거치거나 9월 이후 정기국회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응답했다.</p> <p contents-hash="1a64b5dd6b06b5ddc9d7b55f23d88784bf619e064bef8bac6ae54110fc144df6" dmcf-pid="FLuW2cP3Op" dmcf-ptype="general">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4달만에 결론 나오나…SK텔레콤 과징금 '졸속처분' 우려도 08-19 다음 신네르, 1세트 도중 기권…알카라스, 신시내티오픈 ‘정상’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