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AI컴퓨팅센터 새 공모지침, 국가AI전략위원회서 확정한다 작성일 08-19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i1AjXwMs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01742dcbfacc52132a4dd6965b3236fa285732a1ae8bd3442c7b7af2a13c93" dmcf-pid="POfyT9XDD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70241558qewq.jpg" data-org-width="700" dmcf-mid="8youUibYE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70241558qew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8d888bc27e0afea4285037592b89aa11340bc3339b9a53ddf948e08daba467" dmcf-pid="QI4Wy2ZwIP" dmcf-ptype="general">국가 인공지능(AI) 산업 발전 인프라 확보를 위한 '국가AI컴퓨팅센터' 새 공모지침이 국가AI전략위원회(현재 국가AI위원회)에서 확정된다.</p> <p contents-hash="579489d41d37974b0350eb2f620fe156c6aef4b86be220f44c78b0232d50579f" dmcf-pid="xC8YWV5rs6" dmcf-ptype="general">19일 정부·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두 차례 유찰된 국가AI컴퓨팅센터 새 공모지침을 마련해 국가AI전략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7efe9cadb0fd06745ae5fb5d8ee5ec35d14902b358d9b6519ea066b50e04e77f" dmcf-pid="yflRMInbO8" dmcf-ptype="general">앞서 거듭된 유찰의 원인으로 지목된 정부 지분율과 매수청구권(바이백) 조항,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비중 등 사업 수익성을 헤치는 지침들이 대거 수정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c629a0c93fee4aa21a11673c57e00a8d7aa7320e71ee18ceee18d2f598a98fad" dmcf-pid="W4SeRCLKO4" dmcf-ptype="general">특히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 조건인 정부 지분 51%는 조정될 예정이다. 정부가 지분 51%를 확보한 특수목적법인(SPC)의 경우 국회 국정감사 대상이 되는 등 공공기관 수준의 의무를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p> <p contents-hash="632ce3700107d98a36b96e6eef361d858ef75fedac255ef989ebfa8ff473de86" dmcf-pid="Y8vdeho9Ef" dmcf-ptype="general">국가AI컴퓨팅센터 SPC의 핵심 사업은 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등 클라우드 또는 상면임대 서비스다. 데이터센터 구축과 막대한 GPU 인프라 확보를 위해 대규모 예산 투입이 불가피, 사업 초기 이익을 달성하기 쉽지 않다. 국정감사 대상이 될 경우 질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p> <p contents-hash="4e91318971193e02fbc43553c659b054421370e3dc350fcaeac2d126199be708" dmcf-pid="G6TJdlg2DV" dmcf-ptype="general">이에 공공기관 지정을 피할 수 있도록 민간 지분이 최소 50%를 초과할 것으로 점쳐진다. 2조원 규모 막대한 정부 예산이 투입될 상황을 고려해 민간 51%, 정부 49%의 지분으로 조정 가능성이 제기된다.</p> <p contents-hash="b8ace841a3b4f4a504ed84bbb4f61e5fe2d8629edb9cda84607eb97b1f814165" dmcf-pid="HPyiJSaVw2" dmcf-ptype="general">지난 6월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삼성SDS, 네이버, 카카오 등을 대상으로 공모지침 관련 의견을 수렴했다. 기업들은 과도한 부담 해소, 수익성 보장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23e9150503f1aff71d82c4f097cdda9b34f28914d50f7edc72d9b0dac8a89b9f" dmcf-pid="XQWnivNfm9" dmcf-ptype="general">복수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센터 유치를 희망하는 만큼 기존 1개 권역에서 복수 권역으로 센터 거점이 늘어날지 관심이다. 충분한 전력 수급이나 데이터센터 입지 주변의 AI 컴퓨팅 수요 등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p> <p contents-hash="767e0ce5fb0554c2eff8148b5a6b66e4d36b0bbd203724897ca082fbc465f62e" dmcf-pid="ZxYLnTj4rK" dmcf-ptype="general">업계는 사업 수익성만 담보되면 적극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다. 데이터센터 사업을 영위하는 삼성SDS, LG CNS 또는 LG유플러스, KT 또는 KT클라우드와 네이버 또는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SK텔레콤 또는 SK브로드밴드 등이 잠재 후보군이다.</p> <p contents-hash="5afac7bd9fce1fe1e22e2c24568e2cfa75b28aa64fb898a97b62e009c9a1d24f" dmcf-pid="5MGoLyA8Db" dmcf-ptype="general">새 공모지침은 이르면 이달 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국가AI위원회를 국가AI전략위원회로 개편하기 위한 법제처 입법예고가 전날 완료된 만큼 위원회는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내달 초 공식 출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AI컴퓨팅센터가 위원회 첫 안건이 될 가능성이 높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성사를 위해 추가적인 업계 의견수렴을 검토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9d7e36d619d1e53f5d0fff01a7154bb44c518e4052089c8a4a008492b3a38e3" dmcf-pid="1RHgoWc6rB"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막판까지 고심한 삼성SDS가 최종 응찰을 하지 않은 이유도 결국 수익성”이라며 “대기업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공모지침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2084976180062647630c7868934c257c28ed41d2ca1839a7e5f22077fdb9889" dmcf-pid="teXagYkPEq"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무원, 원하는 AI 마음껏 쓴다…공공 AX 가속 08-19 다음 보안업계, “유지관리비 '제값받기'로 정보보호산업 키워야”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