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 안전성·신뢰성 확보위한 '국제표준' 선도 작성일 08-19 4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yuUkre7m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523d50fb85974d81f8e83fe0d9058ebb9efb0e34e12a09c813dab06d5ca2aa" dmcf-pid="tW7uEmdzw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TRI 연구진이 레드팀을 통해 AI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위험과 시나리오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82139208crcp.jpg" data-org-width="700" dmcf-mid="5OSlPR7vs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etimesi/20250819182139208crc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TRI 연구진이 레드팀을 통해 AI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위험과 시나리오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8807c19d56bb0ba0965fdb3cd5954c83a4cf667ddc4eb7ea710b6276b06c493" dmcf-pid="FYz7DsJqDz"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안전성·신뢰성 확보가 전세계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두 개 핵심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하며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c6a637f61a1f04e1d919c0cea7a5c25b64d48690b512a6cd50c5cbd35d992687" dmcf-pid="3ahC8xUlE7"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시스템 위험을 미리 찾아내는 'AI 레드팀 테스팅' 표준, 소비자가 AI 신뢰 수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신뢰성 사실 라벨(TFL)' 표준을 국제표준화기구(ISO/IEC)에 제안하고, 본격 개발에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p> <p contents-hash="e5131538900fd7701edc17d3bbda1c37b67ffdc31c259c9bac0532a8a23d5413" dmcf-pid="0Nlh6MuSOu" dmcf-ptype="general">이로써 우리나라는 AI 시대 규칙을 만드는 '선도자(First Mover)'로서 위상을 높이게 됐다.</p> <p contents-hash="383f4e27a8300e14855f48e89b18439853369f299a0403bac3210ddf4dfa60be" dmcf-pid="pjSlPR7vrU" dmcf-ptype="general">AI 레드팀 테스팅은 AI 시스템이 얼마나 안전한지를 공격적으로 탐색하며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생성형 AI가 잘못된 정보를 내놓거나, 사용자 보호장치를 피해 악용되는 상황을 미리 찾아내는 것이다.</p> <p contents-hash="ffb868cbaf4d059a96ff309db360ae584ee5de98291de3edd38412179abf0c61" dmcf-pid="UAvSQezTwp" dmcf-ptype="general">ETRI는 이 분야 국제표준인 ISO/IEC 42119-7 에디터 역할을 맡아, 의료·금융·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국제 공통 시험 절차와 방법을 만들고 있다.</p> <p contents-hash="74b4d88cbf90fd1469ec477ae2ddc619298674aed4ae9b00e8266f2c57a9111c" dmcf-pid="ucTvxdqyI0"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 ETRI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오는 9월 4~5일, 노보텔 서울 동대문 호텔에서 국내 최초로 '첨단 AI 디지털의료제품 레드팀 챌린지 및 기술 워크숍'도 개최한다. 본 챌린지는 첨단 AI 의료기기 분야에 대해 아시아권 및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열리는 행사다. 오는 22일까지 신청을 받는다.</p> <p contents-hash="ac42051a5fb55eb970fdd78c80203738f711127f938b2d88c9ef1b07e6f74f88" dmcf-pid="7kyTMJBWm3" dmcf-ptype="general">또 서울아산병원과 협력해 의료 전용 레드팀 평가 방법론도 함께 개발 중이며, 첨단 AI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한 레드팀 시험 체계도 만들고 실증 테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STA·네이버·업스테이지·셀렉트스타·KT·LG AI연구원 등 주요 기업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AI 레드팀 국제표준화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a67583711ec32ba8b46b1c2ab28be17068661ecf0a64ad9b2f8686d73974a219" dmcf-pid="zEWyRibYEF" dmcf-ptype="general">또 하나 핵심 표준은 TFL이다. 이 라벨은 AI 시스템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시각화해주는 것으로, 식품 영양성분표처럼 소비자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한다.</p> <p contents-hash="591f6d4a4b6422c73974257867a11cee0a3343545ee423021b967301d73d5536" dmcf-pid="qDYWenKGOt" dmcf-ptype="general">ETRI는 ISO/IEC 42117 시리즈 표준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 표준은 기업이 스스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3의 기관이 검증·인증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b25d7205fea85f40a1bd25d1570f99ac9dab08badb9ed00c616729a4eb820e8c" dmcf-pid="BwGYdL9Hr1" dmcf-ptype="general">향후에는 AI의 탄소배출량(탄소발자국) 같은 ESG 요소도 반영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p> <p contents-hash="4f68bab74d611ca1fbc101956ec82d3fcf7ff84e8f6c8a3bca8f0eff75590173" dmcf-pid="brHGJo2Xm5" dmcf-ptype="general">이 표준은 AI 활용 조직에 대한 국제 인증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AI 경영시스템 표준(ISO/IEC 42001)'과도 연계해, 개발된 제품 및 서비스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 입증할 수 있는 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fd1014bd88d45c4d02fdca8f969e512e9521e615d7cd04fee770ad8895f4a200" dmcf-pid="KmXHigVZwZ" dmcf-ptype="general">이번 두 표준은 정부가 추진하는 '소버린 AI(주권형 AI)' 'AI G3 도약'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단순한 기술력 확보를 넘어, 글로벌 AI 규칙을 만드는 주도권 경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사례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fe3355274d6c9896385a0e9b4813cf950039f4154cd9cbd2a3bec007db241fd7" dmcf-pid="9sZXnaf5DX" dmcf-ptype="general">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국가 AI 전략 실현을 위한 국내·국제 표준화를 뒷받침 하고 있듯이, ETRI도 AI 안전연구소 활동을 비롯해 AI 보안기술 개발, AI 안전 및 신뢰성 국제 표준화 선도 작업을 통해 국가 AI 전략 실현을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p> <p contents-hash="594483c5a4f151480f3ffcda70972d766bf1d046294e2f24b577e592315c9891" dmcf-pid="2O5ZLN41IH" dmcf-ptype="general">김욱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PM은 “AI 안전과 신뢰성 제공은 모두가 AI를 사용하는 것에 쉽게 다가가도록 하며, 이번 국제표준 선도는 AI 규범을 선도하는 국가로 가는 분기점”이라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a0bf6d2b4598ce9d1cb9234ec93d668518ce6d04c3d46251e5d0ae6f9759204a" dmcf-pid="VI15oj8trG" dmcf-ptype="general">이승윤 ETRI 표준연구본부장도 “AI 레드팀 테스팅과 신뢰성 라벨은 미국, EU 등 각국 AI 규제정책에 포함된 핵심 기술 요소로, 이 국제 표준들은 전 세계 AI 시스템의 안전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공통 기준이 될 것”이라며, “ETRI는 앞으로도 AI 안전과 신뢰성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대한민국이 소버린 AI뿐 아니라 소버린 AI 안전 기술을 이끄는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92267baa7c3106be6b425c43e6e5f1b309e5dd205621f8a381933fb183dd297" dmcf-pid="fvp0ADMUrY" dmcf-ptype="general">이번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ITP가 지원하는 '첨단 인공지능 안전 및 신뢰성 시험 평가 기술 표준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컨소시움 '생성형 AI 디지털의료제품 레드팀 시험 평가 기술 개발 및 실증' 과제를 통해 추진됐다.</p> <p contents-hash="a8fe997ccb3464f6fb9f7f370a3ad78e7d731623d42daad4a82e19ee9135202f" dmcf-pid="4TUpcwRuwW"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리뷰] 갤럭시 Z 폴드7, 15년차 아이폰 유저가 사용하면 어떨까 08-19 다음 ‘거친 산악을 넘어’ 용평에서 세우는 MTB 새 이정표···“아시아 최초로 한국서 UCI MTB 월드시리즈 개최”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