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세 공주" 챗GPT로 RPG 게임 직접 만들어 논다 작성일 08-20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중세·우주 다양한 세계관 속 역할 게임<br>텍스트+이미지 생성하며 몰입감↑<br>"AI, 도구 넘어 함께 창작하는 시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nZcbaf5mV"> <p contents-hash="ae5dea2bbc5db65ef080209cb8a03ed15193da49095ecb99529022378269df22" dmcf-pid="GL5kKN41w2"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 최근 온라인상에서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텍스트 기반 RPG(역할수행게임) 게임을 만드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단순 역할 놀이를 넘어 세계관을 만들고 이미지를 생성하며 게임에 몰입하는 모습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8fff8e4503693ad8d4ef75e554c7f4c332429274f306801bf37ba8feca4a8ce" dmcf-pid="Ho1E9j8tm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오픈 AI 챗GPT로 생성한 RPG 게임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0/Edaily/20250820160539463wvfe.jpg" data-org-width="670" dmcf-mid="yTtD2A6Fw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0/Edaily/20250820160539463wvf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오픈 AI 챗GPT로 생성한 RPG 게임 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6981a2ddcc2f4cec5217b2f187956cce14287b16ac81a15dfb32c8218f0cc00c" dmcf-pid="XgtD2A6FDK" dmcf-ptype="general"> 20일 챗GPT 스토어에 등록된 RPG 게임 LLM(거대언어모델) ‘Solo RPG Master Game’은 이용자 수 10만 명을 넘어섰다. 해당 LLM은 우주, 중세, 디스토피아 등 다양한 판타지 세상 속에서 탐험을 하며 미션을 해결해 나가는 텍스트 기반 어드벤처 RPG 게임이다. 각종 특화 LLM이 모여있는 챗GPT 스토어에는 이와 비슷한 RPG 게임 LLM 수십종이 모여있다. 한국어에 특화된 체험형 RPG LLM도 있다. </div> <p contents-hash="cd76b3f0e104a79c2ca3889378b7c35a7c1f3a3e7654c65e604ef9c30f6499fb" dmcf-pid="ZaFwVcP3mb" dmcf-ptype="general">이들 게임은 챗GPT와 대화를 통해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환상 속 세계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전투를 이어나가며 게임을 진행할 수록 경험치가 쌓이고 레벨이 쌓인다. 이용자가 직접 원하는 세계관과 캐릭터 성별, 종족은 물론 머리색, 눈색, 체형 등을 정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5f94c56d8274ffca09dff3cd4aa007ab02abdb5382e3ac744e57852076324c0f" dmcf-pid="5N3rfkQ0IB" dmcf-ptype="general">챗GPT는 게임을 하다가 게임 속 나(캐릭터)의 이미지를 생성해주며 몰입감을 높인다. 마치 그래픽과 사운드가 발전하기 이전 1980~1990년대에 유행했던 ‘미스터리 하우스’ 같은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을 떠올리게 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0f27226f56c4b52c8605e14b6e5f6dba78660dde729df2c29d815a76ad8d5c" dmcf-pid="1j0m4ExpD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챗GPT RPG 게임 화면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0/Edaily/20250820160540868rxai.jpg" data-org-width="670" dmcf-mid="WsmQH4tss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0/Edaily/20250820160540868rxa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챗GPT RPG 게임 화면 캡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2430d858d2160cf3d2e2517b1f4a9a37cbcef1ef5b01b631d66252469ce088e5" dmcf-pid="tBD8W2Zwmz" dmcf-ptype="general"> 온라인 상에는 온전히 내가 원하는 세계관을 만들어 챗GPT와 RPG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는 프롬프트도 최근 공유되고 있다. 챗GPT에게 일명 역할 놀이를 시키며 이용자가 직접 스토리와 이벤트를 만들며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다. 이용자의 실제 사진을 활용해 RPG 게임 세계관에 맞춰 그려달라는 프롬프트도 화제가 되고 있다. </div> <p contents-hash="36857d9f26160192b74f4248b8c9691ea8d307db573abad4ab3f370eab4ec0d2" dmcf-pid="Fbw6YV5rw7" dmcf-ptype="general">챗GPT는 단순 텍스트 게임을 넘어 이를 실제 게임으로 제작할 수 있는 코드를 제공한다. 이용자가 원하는 구현 방법(콘솔, 웹, 게임 엔진)에 따라 코드를 제공한다. 다만 코드 설계나 로직 초안을 제공하지만, 실제 구현은 이용자가 직접 해야한다고 안내한다.</p> <p contents-hash="75a9868f030bfa695939877f8c891c64432bef0bfcd1fb91e468e864210f92f1" dmcf-pid="3KrPGf1mOu"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인간과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가나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고 분석한다. ‘AI-인간 공동창작(AI-Human Co-Creation, AHCC)’이라는 개념이다. </p> <p contents-hash="ca35820d1194daf0f8033bec19e9023b6dcc6c875e673ffd3bc2e3f0423eae4e" dmcf-pid="09mQH4tsEU" dmcf-ptype="general">현대원 서강대 메타버스전문대학원 교수는 “인간이 AI를 이용해 창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AI가 인간과 동등한 역량을 갖게 되면서 인간과 함께 만드는 개념으로 나아가고 있다”면서 “AI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하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가질 수 있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로블록스의 ‘그로우 어 가든’(Grow a garden) 사례 등 AI 역량을 잘 이용만 한다면 굉장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가 이미 눈앞에 와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b9912211ef714958d5173ab8486193870089d3f8a9227a4cc80bcffc51eea7b4" dmcf-pid="p2sxX8FOmp" dmcf-ptype="general">안유리 (inglas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경력 과학기술인, 과학문화 대중화의 새 동력으로” 08-20 다음 정보전송자 680곳↑·전분야 확대…개보위, 본인전송요구권 설명나서 08-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