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개최 세계선수권 앞둔 서채현 "가른브렛·모리와 기량 차이 안 크다" 작성일 08-21 20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내달 20~28일 서울올림픽공원서 개최<br>60개국 1,000여명 참가<br>간판 서채현·이도현 메달 정조준<br>김자인 "마지막 세계선수권... 결선 무대 오르겠다"<br>박희용 감독 "모든 종목 입상 목표"</strong><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8/21/0000882791_001_20250821174907275.jpg" alt="" /><em class="img_desc">2025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파라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2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하트 포즈를 취하고 있다. 대한산악연맹 제공</em></span><br><br>한국 스포츠클라이밍 간판 서채현과 이도현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개최국의 자존심을 지키겠다는 각오를 다졌다.<br><br>서채현은 2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5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파라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미디어데이에서 "내가 출전하는 리드와 볼더링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겠다"며 "실수 없이 내가 가진 기량을 모두 펼치겠다"고 다짐했다. 이도현은 "리드와 볼더링에서 모두 결선에 오르는 게 1차 목표"라고 강조했다.<br><br>1991년 시작된 세계스포츠클라이밍세계선수권이 한국에서 개최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대회는 다음달 20~28일 서울 올림픽공원 KSPO돔과 한얼광장에서 60개국 1,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다. 이번 대회 총 24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한국은 스피드, 볼더링, 리드 세 종목에서 모두 입상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br><br>박희용 스포츠클라이밍 대표팀 감독은 "(스피드, 볼더링, 리드 세 종목) 입상은 물론, 금메달도 따서 애국가를 울려 퍼지게 하고 싶다"며 "우리 선수들의 기량이 출중하고 월드컵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만큼 이번 세계선수권에서도 성과를 거두겠다"고 포부를 밝혔다<br><br>입상이 기대되는 선수는 역시 간판 서채현과 이도현이다. 리드 세계랭킹 3위인 서채현은 2021년 모스크바 세계선수권 리드 금메달, 2023년 베른 대회 리드 동메달을 딴 바 있다. 볼더링 2위·리드 4위인 이도현 역시 2023년 베른 대회에서 볼더링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8/21/0000882791_002_20250821174907309.jpg" alt="" /><em class="img_desc">한국 스포츠클라이밍 간판 이도현(왼쪽 첫 번째)과 서채현(가운데)이 2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5 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파라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미디어데이에서 각오를 밝히고 있다. 대한산악연맹 제공</em></span><br><br>서채현은 "야냐 가른브렛(슬로베니아), 모리 아이(일본) 등 라이벌과 기량 차이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다른 선수들을 신경 쓰지 않고 완등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도현은 "대회마다 우승자가 계속 바뀔만큼 리드와 볼더링에는 기량이 뛰어난 선수들이 많다"며 "라이벌은 딱히 없다. 내 앞에 높인 문제 풀이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br><br>'암벽 황제' 김자인은 자신의 마지막 세계선수권대회에서 7번째 메달 사냥에 나선다. 그는 2012년 파리 대회에서 콤바인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스포츠클라이밍 최초로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목에 건 '살아있는 전설'이다. 김자인은 이를 포함해 세계선수권에서만 금메달 2개·은메달 3개·동메달 1개를 수확했다.<br><br>그는 "이번 대회는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데다 나의 마지막 세계선수권"이라며 "결선 무대에 올라 등반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어 "내일 당장 은퇴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37세)"라고 웃은 뒤 "(후배들에게) 내 나이까지 현역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8/21/0000882791_003_20250821174907331.jpg" alt="" /><em class="img_desc">한국 암벽의 '살아있는 전설' 김자인이 2025 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파라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미디어데이에서 자신의 마지막 세계선수권 출전 각오를 전하고 있다. 대한산악연맹 제공</em></span><br><br>그렇다고 이번 세계선수권이 그의 현역 마지막 대회는 아니다. 김자인은 생애 첫 올림픽 출전의 꿈도 포기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그는 "도쿄 올림픽을 끝으로 은퇴하려던 계획이 (출전 불발로) 틀어졌다. 올림픽 무대에 서고 싶다는 꿈을 접지 못해 여기까지 달려왔고, 계속 도전하고 싶은 열망도 커졌다"고 강조했다. 다만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도전 의사를 밝히기엔 아직 이르다"며 "지금은 경기를 뛰는 것만으로도 즐겁고 행복하다"고 이번 대회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br><br>리드, 볼더링과 비교해 국제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스피드 종목엔 정지민과 성한아름이 출사표를 던졌다. 이들은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이기 때문에 더 잘하고 싶다"며 "남은 기간 열심히 훈련해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입을 모았다.<br><br>서종국 감독이 이끄는 파라(장애인) 스포츠클라이밍대표팀도 이번 대회를 통해 국제무대에 첫 선을 보인다. 파라트라이애슬론 선수 출신이자 왼쪽 다리 장애가 있는 조해성은 "대표팀의 첫 국제대회 출전에 함께해 영광"이라며 "나이도 많고 경험은 없지만, 포기하지 않고 꼭 완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br><br>한국은 역대 세계선수권 성 금메달 3개, 은메달 5개, 동메달 4개를 수확했다.<br><br> 관련자료 이전 동계올림픽 6개월 앞둔 쇼트트랙 대표팀, 지도자 교체 08-21 다음 아시아태권도연맹 본부, 무주 태권도원으로 이전 확정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