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목숨 건 스타트업 집결…한국어 성능, 글로벌 모델 추월" 작성일 08-21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가대표 AI' 정예팀 집중분석<br>(4)업스테이지 컨소시엄<br>GPU 효율화·데이터 전처리 등<br>국내 AI 생태계 구축에 기여<br>의료·국방 등 전문기업도 합류<br>"자본 뛰어넘는 기술력 선보일 것"</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5IFxployj"> <p contents-hash="1ce8db2b9aefe4325ca3bc88abd2791f64ecb60c47d39ae2df45e86989ca52d7" dmcf-pid="01C3MUSgWN" dmcf-ptype="general">국가대표 인공지능(AI) 정예 팀 중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유일한 스타트업 팀이다. 주관사인 업스테이지부터 래블업(그래픽처리장치(GPU) 효율화), 노타(AI 경량화), 플리토(데이터 전처리) 등 ‘AI 네이티브’ 기업 중심으로 팀을 꾸렸다. 권순일 업스테이지 부사장(사진)은 21일 “AI에 목숨을 건 스타트업을 모았다”며 “AI 하나만 보고 절실하게 집중하는 곳들”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c80657b499cb524009396d0dc21c4081d49b0e826d812798dc06acab3d93db5" dmcf-pid="pth0RuvaS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ked/20250821175837712hekl.jpg" data-org-width="300" dmcf-mid="tXSUdzyjW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ked/20250821175837712hek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7ef6752f3c7400bd452f086434d48d0dd0702986db4436205e58b2388d5ecbb" dmcf-pid="UFlpe7TNlg"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가 모델 개발을 총괄하고 래블업은 GPU 가상화 기술로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맡았다. 노타는 모델 학습 경량화를, 플리토는 데이터 전처리와 평가를 수행한다. 권 부사장은 “스타트업 얼라이언스(연합)로 꾸린 것이 생태계 기여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며 “모델을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모델이 지속되려면 국내 AI 생태계부터 잘 구축돼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3d6417e88755591761ac7200c5ee5178a28e60978451d2b2f7a2a5d270abf4f" dmcf-pid="u3SUdzyjTo" dmcf-ptype="general">산업별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배포할 수 있는 스타트업들도 모았다. 뷰노(의료), 마키나락스(제조 국방), 로앤컴퍼니(법률), 오케스트로(공공) 등이다. 각 영역에 최적화된 데이터 수집부터 검증, 평가까지 전 과정을 함께 진행한다. 권 부사장은 “산업계에서 벤치마크 점수는 좋은데 실제 현장에 적용해보면 그 정도 성능은 나오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오는 사례가 많다”며 “현장에서 쓰여야 유의미한 피드백이 들어오고, 그래야 글로벌 경쟁력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각 도메인에 맞는 평가 데이터 세트를 만들어 공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6d6865bf6c5ec5759354ff3cda26d8ae6285873565be40d69f9e0044a86e918" dmcf-pid="70vuJqWAC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ked/20250821175838924hujw.jpg" data-org-width="234" dmcf-mid="Fu2oTN41l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ked/20250821175838924hujw.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1f260c9c4c37dc4b0382a5464b2aa7f57b0a50c103d9cb637a3b30820673e68" dmcf-pid="zpT7iBYcTn"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챗GPT 모멘트 이전부터 자연어처리(NLP), 자연어이해(NLU) 분야 기술과 인력을 보유하고 AI 모델을 개발해왔다. 자본 투입에 대해서도 권 부사장은 “AI 모델 개발이 자본 투입과 비례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거짓말이다. 하지만 새로운 개발 방법론이 등장하고 기술이 성숙하면서 ‘정비례’ 관계는 아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caf485c598fc763981d2f0ab827e3c5bc24f77757d8ecdc971b3385c2a85db6" dmcf-pid="qUyznbGkSi"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국가대표 AI 프로젝트를 위한 새 모델 ‘솔라 월드베스트LLM’(WBL)을 개발할 계획이다. 기존 솔라 시리즈의 성공 방정식을 계승하되 범용성을 극대화해 처음부터 새롭게 구축한다. 프로젝트 1차인 연말까지 1000억(100B) 파라미터 규모 모델을 개발하고 이후 2~3차 단계에서 2000억~3000억 파라미터까지 확장한다. 권 부사장은 “최신 글로벌 모델 대비 95% 성능을 6개월 안에 달성하고, 이후 97%, 99%, 100%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어 성능은 105% 이상을 목표로 설정했다.</p> <p contents-hash="3e5b49d7583b181a4e2f81e9d64b3ccc1f888f7f32a757e30f0e1f6ab31ed579" dmcf-pid="BuWqLKHETJ" dmcf-ptype="general">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100도 이하에서도 시작 08-21 다음 푸른나무재단, 한국 최초 로마 바티칸 교황청 신학학술원 국제세미나 연사 초청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