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레이먼 MS AI CEO "AI가 의식 가졌다 착각금물, 의인화 경계" 작성일 08-21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간이 되기 위한 AI 아닌 인간 위한 AI 만들어야"<br>"정신건강 취약 문제뿐 아닌 시민권·복지 논란으로 번질 것"</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iUpwaf5Z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4511ebc73e7ba051720cefd2ecebf46dcca5c28cef3d6b169c7c59b51b4d97" dmcf-pid="XnuUrN41H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무스타파 술레이먼 마이크로소프트 AI CEO"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185312787ortx.jpg" data-org-width="1400" dmcf-mid="YoMxZvNfX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185312787ort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무스타파 술레이먼 마이크로소프트 AI CEO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df1a43b0638f1223441769c49ef1959aafde2ab01368003bd906c928a804c44" dmcf-pid="ZL7umj8tXu"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p> <blockquote class="quote_frm" contents-hash="fa58622b84bc90d6862302fe3b90ced2323ef0341b8a6574f5e12fcdb7225972" dmcf-pid="5gqzOcP3HU" dmcf-ptype="blockquote1"> "최근 인공지능(AI) 정신병(psychosis)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인간이 되기 위한 AI가 아니라 인간을 위한 AI를 만들어야 합니다." </blockquote> <div contents-hash="908798e5486a482257501b9c4292863cf33fd8a347d0b9fd6a5f5a94891bb6f9" dmcf-pid="1aBqIkQ0Yp" dmcf-ptype="general"> 무스타파 술레이먼 마이크로소프트(MS) AI CEO가 최근 사회 문제로 떠오른 AI 정신병(챗GPT 정신병)에 우려를 표했다. </div> <p contents-hash="cc3e19523da9aae975e36254e6b0baf959a7edbe6ca2eaaf96ca4d4ef8fb02c4" dmcf-pid="tNbBCExp10" dmcf-ptype="general">술레이만은 '알파고'(AlphaGo)를 개발한 딥마인드의 공동 창업자로 2014년 딥마인드를 구글에 매각했다. 지난해 3월엔 독자 AI 모델 개발에 나선 MS에 영입돼 AI CEO를 맡고 있다.</p> <p contents-hash="c89ad4f70bbe35543c923eebfed63f7ce17566077fdfdc8493699dbaeac6e345" dmcf-pid="FjKbhDMUY3" dmcf-ptype="general">술레이먼은 19일(현지시간) 개인 블로그와 X(옛 트위터)를 통해 "겉보기에는 의식을 가진 AI(Seemingly Conscious AI)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AI가 점점 더 큰 오해를 부르고 있다"며 "정신 건강 취약 계층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p> <p contents-hash="e556dfba69d328c2b27ecc9e295cdaf15144afa25f3b2ca1a2e6aae6747cc1ad" dmcf-pid="3A9KlwRu1F" dmcf-ptype="general">이어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며 "사람들이 이를 오해한 채 환상을 믿는다면 머지않아 AI 권리·모델 복지·AI 시민권 같은 논란이 뒤따를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c73dc0948df3e331c8e206bb2c8ac350ed4afce43e111fff90d33c08b5f1e15c" dmcf-pid="0c29Sre7Ht" dmcf-ptype="general">또 "이런 흐름은 현실과 사람을 단절시키고 사회적 유대와 도덕적 우선순위를 왜곡할 위험이 있다"며 "2~3년 내 SCAI가 가시화될 것으로 피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환영할 만한 일은 아니다"고 언급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01bb74640895696f6b85b7bbf51ded0eba10e70803065d7e59298c9bde714e4" dmcf-pid="pkV2vmdzY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무스타파 술레이먼 마이크로소프트 AI CEO X(옛 트위터)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185314138rlkx.jpg" data-org-width="340" dmcf-mid="GCp0DgVZt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185314138rlk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무스타파 술레이먼 마이크로소프트 AI CEO X(옛 트위터)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838f62b85336344b121d7d49e82664833946d3f5397a4d15083ad2194dfadd4" dmcf-pid="UEfVTsJqH5" dmcf-ptype="general">술레이먼은 과거부터 "AI 챗봇이 컴패니언로 진화할 수 있지만, AI를 의인화하는 함정에 빠져서는 안 된다"며 "AI가 사람을 대신하는 존재가 아니라, 사람을 돕는 동반자로 자리매김하는 비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해왔다.</p> <p contents-hash="8bfaeddbb77b9de5489d55d97d7e1e38c48b52db56a3ba1f1cecfa1d3f03c549" dmcf-pid="uD4fyOiBXZ" dmcf-ptype="general">그의 우려는 미국 사회와 실리콘밸리에서 떠오른 AI 정신병 논란과 맞닿아 있다.</p> <p contents-hash="2ca1dc5e7120cb9fd7fb3b66a995907fd78a216b07988d96ecd4e52083e0d607" dmcf-pid="7w84WInbYX" dmcf-ptype="general">AI 챗봇 또는 AI 컴패니언(동반자)과 대화를 하다 현실감각을 잃고 병원에 입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178458da36a4a9bd8f4a68419d13dfe841f8b09bffa6acf8392225d0992bd27d" dmcf-pid="zoz7sA6FZH" dmcf-ptype="general">미국 주정부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AI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을 도입하고 있다. 뉴욕주와 유타주 경우 AI 동반자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자살 위험 감지 프로토콜을 의무적으로 도입하도록 했다.</p> <p contents-hash="50db1333f0ccf2cb7e05fa838337e967691c94d52ef7fbb8d7ca492f691ec225" dmcf-pid="qgqzOcP3XG"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SCAI<br>SCAI는 Superhuman-level Conversational AI(초인간 수준 대화형 AI) 또는 Sentient Conversational AI(지각 있는 대화형 AI)의 약어로 사용되는 용어다. 최신 AI·테크 전문가 담론에서 SCAI는 일반적으로 자연어로 인간처럼 소통하며 일부 판단·추론·의사결정을 초월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화형 AI를 의미한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골든, 우리도 따라 부를까?"…'케데헌', 싱어롱 특별 상영 08-21 다음 "가장 먼저 가장 높이" 안방서 열리는 '암벽 대전'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