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35.3조원···AI·전략기술 투자 확대 작성일 08-22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의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TI3jqWAm7"> <p contents-hash="4d170f5a1999353340b445a6cdc9a3aeed6ddb940349903aab11a7b9eff650c7" dmcf-pid="uyC0ABYcwu"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윤석열 정부의 연구개발(R&D) 삭감 여파를 딛고 이재명 정부가 역대 최대 R&D 예산을 편성했다. 분야별로는 인공지능(AI), 전략기술 등에 집중 투자한다.</p> <p contents-hash="031501b378439325fe06796ca8cc00b4f6ac6de1b40f70fa25647834e27d7117" dmcf-pid="7WhpcbGkOU"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2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22일 밝혔다.</p> <p contents-hash="da9eb85a5b4db345ae5125982e4774e83d7ec43fc8fb70bd65f6fbbffac17bb4" dmcf-pid="zYlUkKHEIp" dmcf-ptype="general">내년도 정부 R&D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35.3조원 규모로 마련됐다. 이 중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하는 주요R&D는 30.1조원 규모이며, 이 예산안은 정부 예산안 편성 과정을 거쳐 일반R&D와 함께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900d65ad2227c9d0727fcdab2c21710e6f5dae94aaef5c6c0239511146f88d3" dmcf-pid="qGSuE9XDE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6년 정부 R&D 투자 자료.(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Edaily/20250822120152766cjdi.jpg" data-org-width="670" dmcf-mid="0KQlPGEQE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Edaily/20250822120152766cjd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6년 정부 R&D 투자 자료.(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2feae7e19d782f66c40787a7784f177ab9cd52be45ae7530254bdb267f13f76" dmcf-pid="BTJOfTj4m3" dmcf-ptype="general"> 내년도 예산은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양대 축을 중심으로 수립됐다. ‘기술주도 성장’의 핵심 주축인 R&D에 확실하게 투자해 생산성 대도약, 미래전략 산업 육성과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 연구현장은 복원하고, 지속가능한 연구생태계로 전환해나갈 계획이다. </div> <p contents-hash="a4e60ba58a9b8895be378f55e7be3d8f7dc56af9a758857c133bba1c9ddf1986" dmcf-pid="byiI4yA8IF" dmcf-ptype="general">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AI 분야는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산발적인 기술 개발을 지양하고, AI 생태계 전반에 걸친 독자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풀스택 연구개발에 집중한다.</p> <p contents-hash="f19e1e8e53c7f8ce369f30c394eb3a0d33b809de4003617234098e1ab9797636" dmcf-pid="KWnC8Wc6Dt" dmcf-ptype="general">글로벌 경쟁을 이끌 ‘독자적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범용인공지능(AGI), 경량·저전력AI 등 차세대 AI 기술에 집중 투자한다. AI를 실제 세계에서 구현하는 피지컬AI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해 원천기술과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 실증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c44a31517508915f68acbaad1f0c847bc7138c8dac8b9f3d7cef34f77654fb7f" dmcf-pid="9YLh6YkPO1" dmcf-ptype="general">AI 기술의 자립 기반 구축을 통해 연구개발부터 AI 서비스 활용까지 AI 인프라 생태계를 강화한다. 대형·중소 데이터센터 간 고성능 네트워크 연동 기술개발을 통해 ‘AI 고속도로’를 실현하고, ‘GPU 자원의 집적·공동활용 체계’를 통해 급증하는 고성능 GPU를 활용한 연구 수요에 대응한다. GPU 자원의 효율적인 공유·관리를 위한 AI 반도체(NPU, PIM) 기반 클라우드 핵심기술의 국산화도 지원한다. </p> <p contents-hash="1814370ab7ed078cbc401a21c9f38d1b36f05c14346f7f0c291fddec2f5a2046" dmcf-pid="2GolPGEQw5" dmcf-ptype="general">또 연구·산업·공공 등 모든 분야에 AI를 연결·융합해 생산성을 높이고, 온 국민이 AI를 안정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연구분야별 특화 AI모델 개발, 산업 전반의 AI 내재화, AI의 행정·보건·국방 등 공공 영역으로의 도입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c33c2fe557c0db2781add36b84e89b36c7174a0d80e1831d62c6bcc28e1ee06" dmcf-pid="VHgSQHDxO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내년도 투자 규모와 주요 R&D 10대 핵심 투자분야.(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Edaily/20250822120154178pryp.jpg" data-org-width="670" dmcf-mid="ppOFNzyjI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Edaily/20250822120154178pry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내년도 투자 규모와 주요 R&D 10대 핵심 투자분야.(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c7522ee8cae1bebfa9f6640bf9550364c262dd375eaa457f347774ea4aa81413" dmcf-pid="fXavxXwMOX" dmcf-ptype="general"> AI와 함께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5년 내 핵심기술의 자립화를 목표로, 전략기술이 ‘기술주도 성장’을 주도하도록 할 계획이다. </div> <p contents-hash="73bfaac5141fc923f548d452515cf1094a5c5d5878d3eefaed93697869b5966d" dmcf-pid="4ZNTMZrRmH" dmcf-ptype="general">우선 미래 시장과 산업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새로운 파급력을 가져올 양자컴퓨팅·합성생물학 등의 원천기술 선점을 지원한다. 또한,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고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AI반도체, 양자 내성암호 등 공급망·안보에 필수적인 핵심기술도 내재화한다. 기술성숙도와 민간 수요가 높은 자율주행 기술과 휴머노이드 로봇 등의 분야는 단기간 내 상용화할 수 있는 실증기술 개발을 통해 빠른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도록 지원한다.</p> <p contents-hash="5f32aff5ab143f35559f008e0575cfed8eddbc124d7b63c65be6032eef6bf52a" dmcf-pid="8GolPGEQmG" dmcf-ptype="general">이 밖에 정부출연연구기관 혁신, 기초연구,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동맥 구축 관련 예산 등을 증액해 편성했다.</p> <p contents-hash="c6d93d9185aa6a0d8a3dbd7b660578fee768650cc621bfa00fa914d2b9da5321" dmcf-pid="6HgSQHDxsY"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중점 투자분야 외 투자 효과성 강화를 위해 부처의 역할분담에 따른 성과 연계를 통해 유사·중복을 제거하고 협업 시너지를 확대할 방침이다. 소규모 사업의 통합·대형화를 통한 성과관리를 강화하고, 예산 편성 이후에도 집행점검과 신규사업 컨설팅 등을 통해 기획이나 보완이 필요한 사업 중심으로 민간전문가(전문위원회)와 함께 점검·관리도 강화한다.</p> <p contents-hash="bcd2b8043453d9e6adafea337e746687257c3cb4eb22c2cfd3f5c0c3558f7a5b" dmcf-pid="PXavxXwMOW"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예산안은 역대 최대 규모로서 연구생태계 회복을 넘어 완전한 복원과 진짜 성장 실현을 위해 파격적으로 확대했다”라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R&D 투자시스템을 통해 과학기술계와 함께 지속 가능한 연구생태계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3296a5463eebe8fd34b758069fda5f152d410fcefa5a9c46a3264a179b9006b" dmcf-pid="QZNTMZrRIy"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사이클 최태호, 한국 최초로 세계 주니어 경륜 금메달 08-22 다음 송하윤 학폭 폭로자, 무고죄 정면돌파 "韓 입국해 맞고소할 것"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