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야끼니꾸 드래곤' 공연 작성일 08-25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영화 '기생충' 연극 각색·연출 정의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U6fKYkPu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137b501ad203515ea9b9cda9ebcfbee3e810ad35c232ae78706d30e743b212e" dmcf-pid="7uP49GEQu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0497ubjr.jpg" data-org-width="559" dmcf-mid="tiW01re73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0497ubjr.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bf02e3b02f55dcbe368d9c229765608402e28308fe69506f6bdf82c10bc0aa43" dmcf-pid="z7Q82HDx3K" dmcf-ptype="general"> <br> 14년 만에 의미있는 귀환을 알린다. </div> <p contents-hash="4027b8cbf844bf7c363a484af8a1a31f1f9e567431c344611e26b1e590f18a46" dmcf-pid="qzx6VXwM3b" dmcf-ptype="general">예술의전당이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일본 신국립극장과 공동으로 기획·제작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정의신 작·연출·이하 '야끼니꾸 드래곤')을 오는 11월 14일부터 23일까지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선보인다. </p> <p contents-hash="c027a36fdce741a8cc931954dc7dcc40f4c4f2e6426b2c46c9827b70afd9e302" dmcf-pid="BqMPfZrR7B" dmcf-ptype="general">이번 공연은 2008년 예술의전당 개관 20주년과 일본 신국립극장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양국이 공동제작한 작품으로, 당시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유수의 연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p> <p contents-hash="5ce235fcf75ec475e1e6891f74fc8a290cc2b70185b8a2686bb4a9991897792c" dmcf-pid="bwYThnKG3q" dmcf-ptype="general">2011년 재공연 이후 14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르는 '야끼니꾸 드래곤'은 초연 당시 연출을 맡았던 재일 한국인 2.5세 정의신이 다시 연출에 나서 한층 더 깊어진 메시지와 완성도로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88142df3bd49c4b3778ceb5d016867dd62d6103cad7d992270dbd2f43ae1ed4a" dmcf-pid="KrGylL9H7z" dmcf-ptype="general">정의신 연출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연극으로 각색·연출해 2023년 5월 일본 도쿄 신주쿠 무대에 올려 전석 매진을 기록한 바 있다. 연극에 담아낼 수 있는 삶의 무게와 감동의 깊이, 서사의 힘과 예술성을 다시 한번 증명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70ef98f789403a765d71e61c5ffc2c027e320ff560a832086d9189e9e202123" dmcf-pid="9mHWSo2XF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1811wjjs.jpg" data-org-width="559" dmcf-mid="FRzLd7TNu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1811wjjs.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4b30513d3673483a71fe41abe696d854c26b9e776c4b5b486a48ab04124fbc4" dmcf-pid="2sXYvgVZ3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3242xoan.jpg" data-org-width="559" dmcf-mid="3aVca2Zw0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3242xoan.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dddc12a7f36a36cdbc1a57663b1f7bd5be9a0160b054607eaee002b2c8bd1fcf" dmcf-pid="VOZGTaf5FU" dmcf-ptype="general"> 예술의전당은 지난 2024년 일본 신국립극장과 문화예술 교류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공연예술 분야의 실질적 협력 기반을 다져왔다. 이번 공동제작은 그 첫 결실로 '야끼니꾸 드래곤'은 단순한 재공연을 넘어 새로운 시선과 시대적 감각을 담은 연극으로 재탄생한다. </div> <p contents-hash="03ac7f54ac019ef8b7d793eaf8297baed55caff722a89cd399f7bc73c8e4607c" dmcf-pid="fI5HyN41up" dmcf-ptype="general">예술의전당 측은 "2025년 10월 도쿄 신국립극장 공연을 시작으로, 11월 서울 예술의전당까지 이어질 이번 투어는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양국간 문화예술 교류의 상징적 무대로 기대를 모은다"고 전했다. </p> <p contents-hash="2bd1441f07bd771dc4c5d5cd8a47766f137a6ecddab4ce20af3fe9f37ae3d17a" dmcf-pid="4C1XWj8tz0" dmcf-ptype="general">'야끼니꾸 드래곤'은 1970년대 일본 간사이 지방의 재일 한국인 가족이 운영하는 곱창집을 배경으로,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살아가는 가족의 이야기를 유쾌하면서도 진지하게 그린다. </p> <p contents-hash="eb1c4756f23edb43907acd9435c528aba9bb243500fd664e8c339f9ee4a271e8" dmcf-pid="8htZYA6F33" dmcf-ptype="general">한국어와 일본어(간사이 사투리)가 자연스럽게 섞인 대사(한국어 자막 제공)와, 실제 곱창집을 옮겨놓은 듯한 사실적인 무대 연출을 통한 연극적 구성, 절망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한일 양국 관객 모두의 몰입감을 높이며 감동을 선사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2f18ce0417cf776d2333a5e68a464cad6202c0f64d919bfb96ac1f21fa3b61c" dmcf-pid="6lF5GcP3z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4666zbnk.jpg" data-org-width="559" dmcf-mid="0oSBulg23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4666zbnk.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b9c5807b4ecb7e11f99a9603b20bff6b27459fb1a27b4a14d3d1a62d992cd51" dmcf-pid="PS31HkQ0u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6031mfnd.jpg" data-org-width="559" dmcf-mid="pKndx0hLz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6031mfnd.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fda19301754f1a0641fbfb48289c048a94632a0e963131a9116fd499ad6cccc5" dmcf-pid="QuP49GEQ71" dmcf-ptype="general"> 이번 공연에는 초연을 함께 한 배우들은 물론, 새로운 실력파 배우들도 대거 합류했다. 한국 출연진으로는 곱창집을 운영하는 아버지 용길 역 이영석, 어머니 영순 역 고수희, 셋째 딸 미카 역 정수연, 윤대수 역 박수영, 오일백 역에 김문식이 출연한다. 고수희는 초연 당시에도 어머니 역을 맡아 일본 제16회 요미우리연극대상 여자우수연기상을 받았다. </div> <p contents-hash="df07351fc414548b70b79ad6e3e0edeb5555b9d899ab73c2c52241f484286dee" dmcf-pid="x7Q82HDx75" dmcf-ptype="general">일본 출연진으로는 초연 멤버이자 일본의 국민배우로 불리는 치바 테츠야가 테츠오 역으로 참여하며, 첫째 딸 시즈카 역 무라카와 에리, 둘째 딸 리카 역 지순, 막내아들 토키오 역 키타노 히데키 등 일본 연극계를 대표하는 배우들이 총출동해 무대를 채운다. 이 외에도 마츠나가 레이코, 사쿠라이 아키요시, 박승철, 최재철, 이시하라 유우 등이 국경을 넘은 감정의 하모니를 만들어낼 전망이다. </p> <p contents-hash="bc948393bbb9b136e6ddf5bf48b230adaf1b7d255f1d2753ec7e499e79747931" dmcf-pid="ykTlOdqy0Z" dmcf-ptype="general">'야끼니꾸 드래곤'은 2008년 초연 당시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한국연극협회 2008 공연 베스트 7에 선정됐으며, 일본에서도 아사히 무대예술상 대상, 요미우리연극대상 대상, 최우수작품상 등 일본 양대 연극상을 포함한 다양한 시상식에서 트로피를 품에 안으며 예술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4년 만에 재연되는 공연은 어떤 반응을 이끌지 주목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939aaa266b4c7372f02bf679a4f35abe3673ade2bbd6bf626c0c1abd87c7ef6" dmcf-pid="WEySIJBWu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7523updq.jpg" data-org-width="560" dmcf-mid="UlcNLbGku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JTBC/20250825050027523updq.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47af70ce90fb83f032d5d86474c93993ee7784c67ba91952d3b308d28952e056" dmcf-pid="YDWvCibYpH" dmcf-ptype="general"> 조연경 엔터뉴스팀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콘텐트비즈니스본부)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호산·권율·김재욱·문유강 신선한 캐스팅 '아마데우스' 9월 개막 08-25 다음 김진웅, 아나운서가 말의 무게를 잊어서야..장윤정 분노한 '도경완 무시' [Oh!쎈 이슈]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