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버드]⑩ '에코 롱롱 큐브 김천'에서 만난 친환경 에너지와 우주 복합소재 작성일 08-25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ZyEIJBWL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191b4ce60ff0b95e96f48b6f79997a90f32f169ebb9e5db4b5a742bb68a2e1a" dmcf-pid="f5WDCibYR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ㅇ1 어린이 우주 기자단이 에코 롱롱 큐브 김천에서 친환경 에너지 체험을 하고 있다. 스튜디오51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dongascience/20250825060142839bvli.jpg" data-org-width="680" dmcf-mid="9Qd72HDxJ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dongascience/20250825060142839bvl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ㅇ1 어린이 우주 기자단이 에코 롱롱 큐브 김천에서 친환경 에너지 체험을 하고 있다. 스튜디오51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6421d145392e20333d7ce754f4e747be928632b781f6d268a24ee05db802460" dmcf-pid="41YwhnKGJ2" dmcf-ptype="general"><span>[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는 대한민국 미래 우주인을 발굴하고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2024년부터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주최합니다. 2024년 1656명의 초등학생이 50여 건의 우주 미션을 수행했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으로 선발된 2명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다녀왔습니다. 국내 주요 우주 기관과 기업을 탐방하며 미래 우주 인재로 성장하고 있는 우주새싹(space bud), 어린이 우주 기자단의 생생한 활동기를 연재로 소개합니다.</span></p> <p contents-hash="c54ebee24a8f0a57abaf38c7edd3e39d5005f3c6764e85646958353868b418d5" dmcf-pid="8tGrlL9HJ9" dmcf-ptype="general">지난 7월 24일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코오롱인더스트리(주) 김천1공장 상생허브에 위치한 ‘에코 롱롱 큐브 김천’을 찾았다.</p> <p contents-hash="938452617d333c2a59f7e6b1d9fb9690db53c385c6e7c78bd072aeaa36207dab" dmcf-pid="6bUy5wRudK" dmcf-ptype="general"> 코오롱 김천1공장 상생허브는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상생 플랫폼이다. 2022년 코오롱 계열사 간 상생의 길을 열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지역민과 상생을 도모하는 복합시설로 조성됐다. 약 4000㎡ 면적에 3층 규모로 내부에는 카페와 피트니스센터, 풋살장 등 스포츠 시설과 친환경 에너지 체험전시관인 에코 롱롱 큐브 김천이 있다.</p> <p contents-hash="871bb15c4cd439211eb3704e41183155a0a06aae7c257031278fdfd05829cff7" dmcf-pid="PKuW1re7Mb" dmcf-ptype="general"> 에코 롱롱 큐브 김천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지역사회를 위해 공간을 제공하고 코오롱그룹이 설립한 재단법인 꽃과어린왕자에서 운영하는 교육 시설이다.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블록이 적절한 곳에 들어가도록 협동하는 게임 부스, 리듬에 맞춰 패널을 밟아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에너지 체험 부스 등의 체험물이 있다. 방문한 어린이들은 주제별 교육 체험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가 무엇인지 배우고 미래 에너지 도시를 상상할 수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5df245526556c7800c56925d8a051d2022294a10878a868f462e80ee7d2c91c" dmcf-pid="Q97YtmdzL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에코 롱롱 큐브 김천 내부의 수소에너지 체험물. 스튜디오51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dongascience/20250825060144091sthx.jpg" data-org-width="680" dmcf-mid="2d40ByA8M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dongascience/20250825060144091sth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에코 롱롱 큐브 김천 내부의 수소에너지 체험물. 스튜디오51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a749e349dc872dacc599f4b7de18987b9b37febd30d12e69a796533b8861d13" dmcf-pid="x2zGFsJqdq" dmcf-ptype="general">이날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태양열, 풍력, 지열, 수소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체험했다. 조유경 어린이 기자는 “일반 과학 체험과 다르게 친환경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을 몸으로 체험하고 원리까지 알 수 있어서 인상 깊었다”며 “에코 롱롱 큐브에서 진행하는 ‘제로에너지 빌딩 만들기’, ‘수소 자동차 롱롱’ 등의 프로그램도 체험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3821d5c6f78f0e7e0a30122d72710db209b620657929ac1f7badd07e6be3e96" dmcf-pid="yOEeg9XDez" dmcf-ptype="general"> 에코 롱롱 큐브 김천에서의 체험을 마친 후,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송하율 코오롱스페이스웍스 연구위원의 ‘우주로의 여행’ 특별 강연을 들었다.</p> <p contents-hash="4f4c51993431ee78788f9dbc496bcfccee0a7ced785ca9a174eb0004428988cd" dmcf-pid="WIDda2Zwd7" dmcf-ptype="general">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우주항공 등 여러 분야에 쓰이는 첨단 복합소재를 연구하는 회사로 2024년 7월 출범했다. 전기차, 수소차, 우주, 항공, 방위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복합소재를 연구 및 개발한다. 이중 우주 분야에서는 발사체의 핵심 부품과 위성 구조용 복합재를 공급한다. </p> <p contents-hash="9bd1e88f267006b6106d751da725e45ee1d54eb2135dfa54404a421ff2df2d38" dmcf-pid="YCwJNV5rdu" dmcf-ptype="general"> 송 연구위원은 30년 동안 복합소재를 연구하며 수소 저장 용기, 우주발사체용 추진제 저장 고압용기 등을 만들어 온 소재 전문가다.</p> <p contents-hash="ea72875eb3c376a2e186c2025425ec0741ea6e8d69dddcae9d9dd97c6222cd73" dmcf-pid="Ghrijf1mMU" dmcf-ptype="general"> 소재 설명에 앞서 송 연구위원은 우주라는 공간의 특징과 다양한 소재의 필요성을 먼저 설명했다. 송 연구위원은 “현재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약 930억 광년”이라며 “우리가 추측한 것보다 더 넓은 우주 공간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우주 발사체와 위성, 우주 망원경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2d77bf746ea29231ef980954a6f6365927639fbff87b46e5940166a463ef82b" dmcf-pid="HlmnA4tsMp" dmcf-ptype="general"> 강연을 듣던 차하린 어린이 기자가 “우주에 나가기 위해 어떤 소재가 가장 필요하냐”고 묻자 송 연구위원은 “극저온과 극고온을 견디면서 가벼운 소재”라고 답했다. 이어 “발사체의 무게를 최대한 덜 수 있도록 가벼운 소재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초경량 복합소재 구조 부품이 개발되면 발사 비용과 운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p> <p contents-hash="ad6dffc416c20da8b603b8b4029b63ddd984cc1fd1a051a78acc9332b940d371" dmcf-pid="XFHmSo2Xi0" dmcf-ptype="general"> 강연이 끝난 뒤 조유경 어린이 기자는 “신재생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을 몸으로 체험하고 원리까지 알 수 있어서 인상깊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과학자가 되어 복합소재를 만들고 연구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e685c044b0726dea29283e477d192b14d5ea76b44cabdaf5f4825df2724c4625" dmcf-pid="Z3XsvgVZn3" dmcf-ptype="general"> 한편 제2회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는 코오롱과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항공청, 보령, 텔레픽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KAIST 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후원한다. 우수하게 미션을 수행한 최종 어린이 우주인은 오는 11월 NASA를 비롯한 미국 우주 기업 견학 및 취재 기회를 얻는다.</p> <p contents-hash="4c3f63077767fae59c357a6f0d51937e3add01dceee95775c2ad74314beb0876" dmcf-pid="50ZOTaf5JF" dmcf-ptype="general">'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다양한 우주 미션을 수행하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에 도전하세요!</p> <p contents-hash="1532e083d8a3936bd2fdbad8e7726e386a052c9a64dfc161d8f849b98638e45a" dmcf-pid="1p5IyN41Lt" dmcf-ptype="general"><strong>▼어린이 우주 기자단 신청하기 </strong></p> <p contents-hash="70dab6b6984d61217658414c6b2cbde9d50e5d43ed7f91198b82b161c8115dae" dmcf-pid="tU1CWj8tn1" dmcf-ptype="general">https://press.popcornplanet.co.kr/astronaut/intro</p> <p contents-hash="b3d3fc53828a5d4cdf595c4dc0023c169b3ad687b95162e1d602cdf78fa2663a" dmcf-pid="FuthYA6FM5" dmcf-ptype="general">[조현영 기자 4everyoung@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10㎏ 감량 빠니보틀, 위고비 끊었다 ‘냉부’서 세계 식재료 대방출→폭식[어제TV] 08-25 다음 월세 No, 출퇴근 스트레스도 No…"일할 맛 나는 회사 만들겠습니다"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