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충전 전력으로 '고순도' 이산화탄소 포집 성공 작성일 08-25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 MIT와 3V 전력으로 80초만에 분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0tTi2ZwDE"> <p contents-hash="aaffcecf9c33d2d5b72d878d4da135fe9e6d822da7f9c767e9abe31654cc6ae9" dmcf-pid="u7pGg8FOwk"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복잡한 설비 없이 스마트폰 충전 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의 고순도 이산화탄소 포집에 성공했다.</p> <p contents-hash="b9b34bfc48d6f581c15692202d8d7a4c6532ca5a630fc7062bbb9cc1f10d5c3e" dmcf-pid="7zUHa63Irc"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고동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앨런 해튼 MIT 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전도성 은나노 파이버 기반 ‘초고효율 전기 구동 직접공기포집(DAC)’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8b3fa31643015b06a8c2a89b93311fc1711220cd77bf25b90965bf6ead34c8b" dmcf-pid="zquXNP0CE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진 사진.(사진=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084548492dvra.jpg" data-org-width="670" dmcf-mid="0HaM1CLKr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084548492dvr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진 사진.(사진=KAIS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a9cc988e44291bfc5ceb3eda8a89286d519dd43aadaef314cd09777cd796449b" dmcf-pid="qB7ZjQphEj" dmcf-ptype="general"> 기존 DAC 공정은 흡수하거나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분리하는 과정에서 100도 이상의 고온 증기가 필요했다. 이 과정에서 전체 에너지의 70%가 소모되고, 열교환 시스템이 복잡해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div> <p contents-hash="703439fe3903c2490379ecfdfb66724c816c9fdd6b4d1b258efa839f1f2e78a2" dmcf-pid="Bbz5AxUlwN"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문제를 ‘전기로 스스로 뜨거워지는 파이버 (섬유)’로 해결했다. 전기장판처럼 섬유에 전기를 흘려 열을 발생시키는 ‘저항 가열’ 방식을 도입해 외부 열원 없이 필요한 곳만 정확하게 가열해 에너지 손실을 줄였다.</p> <p contents-hash="a8c2e11ecd5cdec173b1021f9b03b66fed1b6e52c3745e8e5b13cabaa9fc9198" dmcf-pid="bKq1cMuSEa" dmcf-ptype="general">이번 기술은 스마트폰 충전 수준인 단 3V의 낮은 전압만으로 80초만에 섬유를 110도까지 빠르게 가열한다. 저전력 환경에서도 흡착과 재생 사이클을 줄이고, 기존 기술 대비 불필요한 열 손실(감열)을 약 20%나 감소시킬 수 있다.</p> <p contents-hash="137450943dbcaf1818ff852b8844287e7b450e909d8e7b36aabd906bd5ab5cfe" dmcf-pid="K9BtkR7vEg"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대규모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성도 입증했다. 연구팀은 대기 환경에서 95% 이상의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회수했다.</p> <p contents-hash="fc6a7f1573ffe3a0455f2ccbf80499468ecf7db3a22d36eeaf39581ccc36044b" dmcf-pid="92bFEezTEo" dmcf-ptype="general">고동연 KAIST 교수는 “DAC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넘어 공기 자체를 정화하는 ‘음(陰)의 배출’을 가능케 하는 핵심 수단”이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산업 현장은 물론 도심형 시스템까지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97e7c7339f0328f93c7f9c84cb3d44fc62b568d0fdf9047c7af81e781eba8a4" dmcf-pid="2VK3DdqysL"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의 지난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83f6a5c8a9ae1d287d7e9c49a7f5e3bbaa84d8bd4ea36f5a77a95e3d1b6ad18" dmcf-pid="VrEnUyA8s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표지.(자료=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084549858lnix.jpg" data-org-width="670" dmcf-mid="pIuXNP0CD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084549858lni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표지.(자료=KA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4002dc1a356e69dbed6241e9d61fd6ee8a3ae8d1b5b12859ffb246588906cd1" dmcf-pid="fmDLuWc6Di"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에스콰이어’ 분당 최고 10% 뚫었다 08-25 다음 2025 KGMA, '아이린·남지현·나띠' MC 발탁..."새로운 시상식 상징"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