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속도감 있게 정책 추진해야…규제 걷어내면 인재 몰려들 것" 작성일 08-25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전문가 간담회<br>네이버 "한국형 AI 생태계 앞장"<br>LG "사회전반에 혁신 창출 주력"<br>SKT "통신에 특화된 서비스 준비"<br>업스테이지 "스타트업 신화 자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cJnBnKGl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b317fbd2fd679ac736580d4b5f4a6168fe1b4567ffcadb827a8f1ffb89e351e" dmcf-pid="7kiLbL9Hy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AI 전문가들이 정부가 주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전략 마련을 위한 특별 좌담회를 가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ked/20250825161240798lyof.jpg" data-org-width="1147" dmcf-mid="UtHZDZrRW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ked/20250825161240798lyo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AI 전문가들이 정부가 주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전략 마련을 위한 특별 좌담회를 가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29a6e1b24b77ce00d6b10ac936955a139ddf753df6b19adbc7b8a5663b84152" dmcf-pid="zEnoKo2XhC" dmcf-ptype="general"><br>“인공지능(AI)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습니다.”</p> <p contents-hash="7b7c395159773d2b566d5505383cd13fed4ee729931f9bd06eaa52a4e0ce7dc4" dmcf-pid="qDLg9gVZhI" dmcf-ptype="general">정부가 주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전략 마련을 위해 한 자리에 모인 국내 AI 전문가들은 이재명 정부가 강조한 글로벌 AI 3개 강국 달성을 위해선 정부와 민간이 원팀이 돼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한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p> <p contents-hash="04fdd082adaa24fc261215b6076b61a9567bdd8ccbce5f6746cf27b9f2ca8ad4" dmcf-pid="Bwoa2af5hO" dmcf-ptype="general">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정예팀으로 선발된 네이버클라우드, LG AI연구원, SK텔레콤, 업스테이지, NC AI는 최근 서울 모처에서 간담회를 갖고 의견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 참여한 김정훈 네이버클라우드 연구원은 “AI의 뿌리는 결국 데이터와 인프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최대의 클라우드 인프라와 방대한 한국어·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구나 활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AI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단순히 모델을 개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금융과 유통, 공공 등 산업 전반에 적용해 한국형 AI 생태계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4fe343a261f29daa4fb51d4105928faa169c8da4322cb007c9e9a01920a2e82" dmcf-pid="bIAk6kQ0Ws" dmcf-ptype="general">이진식 LG AI연구원 리더는 세계적 수준의 초거대 AI 역량을 실증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LG AI연구원은 이미 ‘EXAONE’을 통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역량을 입증했다”며 “개발 노하우를 ‘K-EXAONE’ 모델과 AI 서비스에 적용해 사회·산업·경제 전반에 혁신을 창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p> <p contents-hash="fd5808c8b8ab495e77cc3130d85f3976ea3569e4a4856ed91ed2046792cd7142" dmcf-pid="KCcEPExphm" dmcf-ptype="general">천성준 SK텔레콤 매니저는 통신·미디어에 최적화된 한국형 AI 서비스 선보일 것이라며 특화된 아이디어를 내놨다. 그는 “통신 네트워크 관리, 고객 상담, 콘텐츠 추천 등 SK텔레콤의 핵심 서비스에 독자 모델을 적용할 예정”이라며 “장기적으로는 한국형 AI 플랫폼을 구축해 기업 고객에게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수준의 AI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5ce2ab863b3fe8ca3288cf01d1ef67d5b48bf936a7e200d1b9ae0b02ad9e4d3" dmcf-pid="9hkDQDMUSr"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스타트업 신화를 쓰겠다고 했다. 이 회사의 이승윤 기술이사는 “업스테이지는 자체 모델 개발 경험을 통해 효율적인 학습·경량화·고도화된 전처리 기술 등에 강점을 가진 스타트업”이라며 “공공, 교육, 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모델을 만들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cded665409fa7e88e08ac2ee800145a78a34ae0a98c4b4897ea167191d2a023b" dmcf-pid="2lEwxwRuvw" dmcf-ptype="general">차영록 NC AI 연구원은 “산업 AX에 필요한 파운데이션 모델은 멀티모달리티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핵심”이라고 짚었다. 그는 “NC AI는 언어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뿐만 아니라 멀티모달 이해와 생성 분야에서도 강점을 쌓았다”며 “정부로부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지원을 받게 되면서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b0c79fab2385c39001c70af41bd7228eef6990bd068af29b96a3410107a8b14" dmcf-pid="VSDrMre7hD" dmcf-ptype="general">공통 과제로는 인재 확보 경쟁, 글로벌 규제를 꼽았다. 이들은 “정부가 규제를 걷어내고 민간과 협력한다면 인재들도 자연스레 몰려들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디지털 산업 전반의 도약을 이끌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p> <p contents-hash="b1019869bf77fb0dbb5b84065267731beee95256d99a54132b9c338d1848e6db" dmcf-pid="fvwmRmdzCE" dmcf-ptype="general">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마에스트로 포렌식, 제주 함덕에 '디지털포렌식 자격증 실무 교육장' 개소 08-25 다음 과기정통부, 독자 AI 모델 개발 힘 실어…'글로벌 3대 강국' 이끈다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