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한 PPL 광고도 AI로 매칭부터 기획·리포트까지" 작성일 08-25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PL 광고 플랫폼 '스텔라이즈', 즉시 광고 집행 가능한 크리에이터만 입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z91sFIiNd"> <p contents-hash="4dac37c43341551739fe9f7276f7db0b76af6728befea8fe053be5fb2d21c2fd" dmcf-pid="fq2tO3Cnce"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진성우 기자)"광고 산업이 오프라인에서 디지털로 이동하면서 여전히 ‘깜깜이 시장’으로 남아 있던 게 PPL입니다. 광고가 얼마에 집행되고 그에 따른 결과가 어떤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시장을 스텔라이즈를 통해 개선할 것입니다"</p> <p contents-hash="e4cb72640c0739998a4800c9af83f60f6e3216789badc57dec1b6d430bbe24e4" dmcf-pid="4BVFI0hLoR" dmcf-ptype="general">원정환 인크로스 경영지원본부장 겸 개발본부장은 기자와 만나<span> 불투명한 PPL 시장을 AI로 투명하게 바꾸겠다며, 회사가 개발한 PPL 광고 플랫폼 ‘스텔라이즈’를 이같이 소개했다.</span></p> <p contents-hash="eaaa3f2f55dfa4610b91b824279cf5ab033aa9bab6ec54fc5cb939b1f284e253" dmcf-pid="8bf3CplojM" dmcf-ptype="general">원 본부장은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채널들을 검토한 결과 크리에이터도 구독자와 트래픽을 가진 하나의 매체로 봤다”며 초기 개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b1dfb56d8ef212aeb15817d69dc98640b2a12bdb26c8b032eec07a9f0db2bd9" dmcf-pid="6K40hUSgcx" dmcf-ptype="general">스텔라이즈는 단순 매칭 서비스를 넘어 광고 집행 전·중·후 전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원 본부장은 "스텔라이즈는 단순 매칭 플랫폼에 그치지 않는다"며 "광고주가 원하는 크리에이터를 추천하고, 광고 집행 후 분석 리포트까지 제공하는 등 마케팅 서비스 전 과정에 AI를 적용한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7b136b8cca18781cb1ca192642a9bf1105eb95297e54b4f9cb7850af43da43" dmcf-pid="PnNP0xUla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원정환 경영지원본부장 겸 개발본부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18075orzj.jpg" data-org-width="500" dmcf-mid="BQZOiCLKg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18075orz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원정환 경영지원본부장 겸 개발본부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658fba14eb92c76a734d8b5f243b6bd43b6820d3b995b955af848c947cd37f0" dmcf-pid="QLjQpMuSNP" dmcf-ptype="general">스텔라이즈의 가장 큰 강점은 AI 역량을 접목한 차별화된 기능에 있다. </p> <p contents-hash="e9fe557fe9082b45e05c437eca1fc43907c0e071dbb69264cc7310a83449cb46" dmcf-pid="xoAxUR7vN6" dmcf-ptype="general">플랫폼 개발을 맡은 정귀원 플랫폼엔지니어링팀장은 "'AI 매칭'은 단순 키워드가 아니라 포트폴리오 영상, 댓글 반응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모두 분석해 최적화한다"고 설명했다. <span>광고주는 'AI 매칭' </span><span>입력창에 캠페인 계획, 목적, 방향성 등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최적화된 크리에이터를 추천</span><span> 받을 수 있다.</span></p> <p contents-hash="7d3697624a2a674a372534f9fc4dbda99fab5d650bb24b80cbd5e0750d98219c" dmcf-pid="ytUyAYkPg8" dmcf-ptype="general">아울러 'AI 기획 어시스턴트' 기능은 광고주의 요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영상 콘셉트와 구성안을 제안해, 기획 과정의 효율성을 크게 높인다. 이러한 제안 기능뿐만 아니라 캠페인 승인·소통 등 부가적인 기능도 마련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c9a82962a0fcccad7634f712e9d9195c94b77030dea8c579fb0c9720a8dad7b" dmcf-pid="WFuWcGEQk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어시스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19407xdwr.png" data-org-width="640" dmcf-mid="K11CLlg2g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19407xdwr.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어시스턴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9763adfc9196396dfd5a43859c88b6fb8fcf914116445a9e08108bd69d6add5" dmcf-pid="Y37YkHDxaf" dmcf-ptype="general"><span>서비스 기획을 담당한 박영택 AI비즈솔루션팀장은 "향후에는 광고주가 간단한 목표만 입력하면 AI가 최적의 매체 전략과 크리에이터, 기획안을 한 번에 제시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f77e70b94bdf6ad0528edcbe277fe1c72ab1468932720cbf17133c657ca92586" dmcf-pid="G0zGEXwMNV" dmcf-ptype="general">이와 함께 <span>광고를 집행한 업체의 매출, 판매량 등 실적도 분석·제공할 계획이다. 단일 플랫폼을 통해 광고 집행에 관련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c74fdc487767fcd461b854a0c94bb86ad62e56df93a26041f2a9ff9aef6333" dmcf-pid="HpqHDZrRN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콘텐츠 모니터링 리포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20710taeg.png" data-org-width="638" dmcf-mid="2ythoSaVa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ZDNetKorea/20250825163320710tae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콘텐츠 모니터링 리포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d9c553aa655992732c9e6b413081427fdf3e1c3e29abc5fcbecf00f409500ac" dmcf-pid="XUBXw5meN9" dmcf-ptype="general">플랫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도 마련했다. 원 본부장은 "스텔라이즈에 입점된 크리에이터는 즉시 PPL이 가능한 라인업으로 구성돼 있다"며 "단순히 크리에이터를 크롤링해서 이용자들을 속이는 방식은 지양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a260d0a8e8c76593eb398b8cc85aab7de295e306d9d25e076872c7c7333daae" dmcf-pid="ZubZr1sdNK" dmcf-ptype="general">이어 "<span>자체 영상 분석과 포트폴리오 검증을 통해 부정적이거나 신뢰하기 어려운 크리에이터는 따로 관리한다"</span><span>고 부연했다.</span></p> <p contents-hash="6dbff24947810f643f3a789dd9f0ee1cea9352708c23645cdbc16409da441104" dmcf-pid="57K5mtOJab" dmcf-ptype="general">스텔라이즈는 시장의 반응을 기반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span>원 본부장은 "정식 오픈 이후 크리에이터 수는 초기 대비 10배 이상 늘었다"며 "특히 </span>북미·중남미·동남아·일본 등 K-콘텐츠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PPL 니즈가 커, 글로벌 크리에이터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8b4976e6a58df24f5438ea78a69337303ea5eb0df2d4308b925b5707c4f617e" dmcf-pid="1z91sFIikB"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현재 MCN, 제작사, 방송사 유튜브 채널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며 "현재 검토 중인 크리에이터 비중을 보면 글로벌 인플루언서가 6대 4 수준으로 많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70a2bbc18823f12cc3f48e6ae727247852c6702c1e9c17ae8b5c79cc0c014c3b" dmcf-pid="tq2tO3Cnjq" dmcf-ptype="general">스텔라이즈의 최종 목표는 시장 확장과 표준화다. </p> <p contents-hash="59ae2a7e9d215989c764ae11e7e20de95b7ee1d2eb39b6b4f1b98e03fe59fa57" dmcf-pid="Fdo4t63IAz" dmcf-ptype="general">원 본부장은 “스텔라이즈를 통해 <span>마이크로·나노 인플루언서까지 참여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 판을 더 키우려고 한다"며 "PPL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와 표준화·투명하게 운영되는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a2ac3e01140752ea72bc5fe9c5c5715edfc533aa61475e9984475d1e4d550cea" dmcf-pid="3Jg8FP0Ca7"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원 본부장은 "인크로스는 디지털뿐 아니라 오프라인·OOH·PPL까지 아우르는 '통합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AI와 데이터 기반 솔루션으로 새로운 기회를 계속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208b2a22d57e8930f6b9c578690f8356cc500c824a594edd475e40a9fc8d457" dmcf-pid="0ia63Qphju" dmcf-ptype="general">진성우 기자(jinterview@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차단 5만 건에도 들끓는 불법 사설서버…“처벌 수위 향상·국제 공조 필요” 08-25 다음 투비소프트, 베트남 FPT와 로우코드 플랫폼 글로벌 확산 '맞손'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