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의 아버지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AI는 향후 3년 이내에 게임 개발 크게 바꿀 것” 작성일 08-25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j9gKaf5lG"> <p contents-hash="6e1c8b22c3fcb7e0a11b8522c23c0da7c39ca9fe24fc59c6364cd358767450ef" dmcf-pid="XA2a9N41yY" dmcf-ptype="general">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언리얼 페스트 2025에 참가한 에픽게임즈 창업주 겸 CEO 팀 스위니가 참석했다. 기조연설을 통해 연결된 게임 생태계를 강조한 그는 이후 국내 미디어와 인터뷰를 통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p> <p contents-hash="a810cf058b396bd25d3dce5c5609b1bb9e15ce7eaa736bb4e00dd505e5de5fb2" dmcf-pid="ZcVN2j8tvW" dmcf-ptype="general">인터뷰 자리에서는 AI가 3년 내에 크게 게임 개발 방식을 바꿀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으며, 구글과 애플과의 소송전은 물론, 얼마 전 있었던 에피드(EPID) 게임즈 상표권 문제, 그리고 한국 시장을 특별히 사랑하는 이유 등 다양한 이야기를 꺼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95b40dbc3aee956a6852ba3da0f8040946bb696adb667990d02fb139fb8a48" dmcf-pid="5kfjVA6FC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gamedonga/20250825165712548xlpl.jpg" data-org-width="800" dmcf-mid="GyzJ7ibYT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gamedonga/20250825165712548xlp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0030c3dfae757b9871419d6a3697ec76e3d3214ac8b355a21c689dbb60bc74" dmcf-pid="1E4AfcP3TT" dmcf-ptype="general"><strong>Q. 삼성과 합의했다고 들었다.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 가능한가? 또 구글 및 애플 소송 현황과 전략은?</strong></p> <p contents-hash="78abb43ac0b82a159a6f88ee669cfc7222b4722e86e091e1722c043030558016" dmcf-pid="tD8c4kQ0Tv" dmcf-ptype="general">A. 삼성은 오랜 시간 협력해온 파트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다른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경고창을 띄우는 문제로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합의를 통해 정리됐다. 구체적 조건은 공개하기 어렵지만 중요한 것은 관계가 원만히 마무리됐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e76a1774286cc49edc95b88c5feb3a44f5d9ba44e0769a0f2cfdddf1bfb124d6" dmcf-pid="Fw6k8ExpvS" dmcf-ptype="general">소송에서는 이미 미국에서 구글과 애플 모두를 상대로 승리했고, 호주에서도 구글을 상대로 이겼다. 현재 남은 주요 건은 영국 소송이다. 2020년에 시작된 싸움은 단순히 법정 다툼을 넘어 시장 전체의 인식을 바꾸었다.</p> <p contents-hash="00bd0a8c3d6669b03cf5b3f32da6c3de37c10d0504175a221a647aab08998acf" dmcf-pid="3rPE6DMUll" dmcf-ptype="general">각국 규제·입법기관은 플랫폼 사업자의 행위가 소비자 피해와 공정 경쟁 훼손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인식하게 됐고, 앞으로 실질적인 제도적 해법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즉, 종착지는 단순한 판결이 아니라 산업 규칙 자체의 개선이라는 것이 전략적 목표다.</p> <p contents-hash="e30ac501b2ca3ae6cef327e7530a8307d6da2baaa249492719931228da3ff9f8" dmcf-pid="0mQDPwRuhh" dmcf-ptype="general"><strong>Q. 한국의 인앱결제 규제 상황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나?</strong></p> <p contents-hash="e9cb83d18d39378ab3a1a3b1e1ab27c4a68b34a2c87350a2a2304184355a997f" dmcf-pid="psxwQre7lC" dmcf-ptype="general">A. 한국은 세계 최초로 앱스토어 인앱결제 강제를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킨 나라다. 그러나 애플과 구글은 법을 따르는 척하면서 외부 결제에 26~27%의 수수료를 덧붙여 사실상 취지를 무력화했다. 이는 법의 문구만 지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입법 의도는 전혀 실현되지 않은 상황이다. 법의 의도를 살리려면 진정한 경쟁 체제가 있어야 하고 결제 영역에서도 경쟁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p> <p contents-hash="1ac534887fa8b929ec38de5e8642fa41b8abdc472ca06a32e4a7ee88e61d0dfd" dmcf-pid="UOMrxmdzWI" dmcf-ptype="general">아울러 미국의 상황을 보면 현 행정부 역시 반독점과 경쟁을 긍정적으로 지원하는 입장이다. 미국의 입장은 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규제나 법 집행에 대해 미국의 보복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p> <p contents-hash="b7ef8ed5b5b40567ce571ebfb2a250c17743ef2a2b3e4162cdaca04bf429ce45" dmcf-pid="uE4AfcP3CO" dmcf-ptype="general"><strong>Q. 언리얼 엔진에 AI가 도입되는 것 같다.</strong></p> <p contents-hash="8af2bb722a4f6f3224b296dbc2f9d6943acb568cb280529865f148ac58dd1b87" dmcf-pid="7D8c4kQ0vs" dmcf-ptype="general">A. AI는 향후 3년 이내에 게임 개발 방식을 크게 바꿀 것이다. 프로그래밍과 아트, 콘텐츠 제작의 생산성을 3~10배까지 끌어올릴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효율화가 아니라 더 크고 더 정교한 게임 제작으로 이어진다. 많은 사람이 우려하는 것과 달리 AI는 고용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작동할 것이다.</p> <p contents-hash="b8098d53aadeb840ce229ec96e7d649f4174c4305b845a1552ac87ece7a37c5f" dmcf-pid="zw6k8Expvm" dmcf-ptype="general">또 AI는 개발 주기를 단축시키는 효과도 크다. 지금은 한 게임을 만드는 데 3년이 걸리지만, AI가 도입되면 더 빠른 반복과 학습이 가능해진다. 특히 플레이어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NPC 같은 기능은 차세대 게임의 몰입도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다. 에픽은 이미 이를 실험하고 있으며, 앞으로 엔진과 툴 전반에 AI를 적극적으로 통합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fc51014e2fffdeb32afca5e6dd2369eed7e88ba62fdc70ce4485e187a233229" dmcf-pid="qrPE6DMUWr" dmcf-ptype="general"><strong>Q. 에피드게임즈 상표권 문제와 PUBG: 배틀그라운드 UGC 지원은?</strong></p> <p contents-hash="80a6876cabe1991f8c49e8f819f120f087e54b0602f712dfe529cac9f7d2b97b" dmcf-pid="BmQDPwRulw" dmcf-ptype="general">A. 한국의 에피드게임즈와의 상표권 문제는 소송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단순히 이의제기 절차에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 특허청이 에피드 상표를 인정했고 우리는 이를 존중한다. 영어로는 유사해 보일 수 있으나 한국어에서는 충분히 구별된다고 본다. 비슷한 상황이 다른 해외에서도 발생한다면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다.</p> <p contents-hash="d08f34a4a1086c3e96a5ec3ac8eb7b71f13ae4cf52cec30d1bb6d49f79683660" dmcf-pid="bsxwQre7vD" dmcf-ptype="general">PUBG: 배틀그라운드와의 협력은 단순히 게임 릴리즈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언리얼 엔진 5에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툴과 기능들이 이미 들어 있으며, 모두 활용 가능하다. UGC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언리얼 엔진의 관련 툴을 그대로 제공하거나 개조해 제공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c058faae49c94e81d5ab0f74fb3f4a21a6079a7c7edb9947697c8199135bb4c3" dmcf-pid="KOMrxmdzTE" dmcf-ptype="general"><strong>Q. 얼마 전 중국 상하이에서 발표한 퀄컴 협력의 의미는?</strong></p> <p contents-hash="41d4b0f64442105783c7bb4dd6ea0b87663a106489e0490f72cd69bbb48e67c1" dmcf-pid="9IRmMsJqhk" dmcf-ptype="general">A. 협력의 경우 디즈니와 함께 포트나이트와 디즈니 세계 간의 아이템 상호운용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용자가 포트나이트에서 산 아이템을 디즈니에서, 디즈니에서 산 아이템을 포트나이트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게임 경제 상호운용성의 대표적 사례다. 또한 퀄컴과 협력해 언리얼 엔진 게임이 퀄컴 칩셋 기반 기기에서 최적화되도록 지원하고 있다.</p> <p contents-hash="c40a16a1f4f31a18af0dd461ec6b048087a9e0c0b9c30c50665ffe57f57e7ed3" dmcf-pid="2CesROiBhc" dmcf-ptype="general">![<span>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span></p> <p contents-hash="cccf8d2ad307c0c3a4486a14d000a3722eee461281c99134238bb60a9c99bf54" dmcf-pid="VhdOeInbyA" dmcf-ptype="general"><strong>Q. 언리얼 엔진 5 기반 게임의 최적화 문제 대책은?</strong></p> <p contents-hash="a3fb736af91eee8b33ae183f01b91f63d2e551b56e14e8fa4d0a2ed0b3e39a90" dmcf-pid="flJIdCLKCj" dmcf-ptype="general">A. 현재 문제는 대부분 최고 사양을 기준으로 개발하고 마지막에 저사양 최적화를 시도하는 데서 비롯된다. 자동 최적화 기능과 개발자 교육 강화, 필요 시 엔지니어 파견으로 해결책을 마련한다. 또한 포트나이트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며 쌓은 최적화 경험을 공유해 저사양 PC나 모바일에서도 원활히 돌아가도록 한다.</p> <p contents-hash="4a1615810b58e9fb58f3cca920d747331a363fcf9e7348ef695e05c6c299b8c8" dmcf-pid="4SiCJho9WN" dmcf-ptype="general">물론 10년 전과 비교하면 엔진 차원에서 최적화가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다. 게임 자체의 복잡도가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게임 개발사와 엔진 개발사가 함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p> <p contents-hash="c4186e004ac448886153d1bac4d71e670ceaaff4ab4e79d33b15d9f0f6edbe91" dmcf-pid="8vnhilg2ha" dmcf-ptype="general"><strong>Q. 포트나이트 UGC의 저작권 문제 대응은?</strong></p> <p contents-hash="2d6cc2d222e5a046616c90b206d435b1a123ba02258131fd08d9733dc11ad6c0" dmcf-pid="6TLlnSaVhg" dmcf-ptype="general">A. 저작권 문제는 매우 심각하게 다루고 있다. 유튜브와 달리 적극적으로 파트너와 협력해 침해 콘텐츠를 모니터링·삭제한다. 앞으로는 AI 자동화도 도입할 예정이다. DMCA 절차를 준수하며 수백 개 기업과 협력해 안전한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9842a1eff6aaf0e0a43253ba9041501d351c126b3c846ba84b8db4ed083e2074" dmcf-pid="PWgvoTj4yo" dmcf-ptype="general"><strong>Q. 한국 시장에 특별한 애정을 가지는 이유는?</strong></p> <p contents-hash="88da2f96964aaa0348d636741fea415a116322e51d23b09f745b9f936b91a6d7" dmcf-pid="QYaTgyA8WL" dmcf-ptype="general">A.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게임 몰입도가 높은 시장이다. 프로게이머 비율과 문화적 진지함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언리얼 엔진에 대한 열정도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고, 한국 음식도 훌륭하다. 특히 누룽지와 된장찌개를 좋아한다. 한국은 단순한 시장이 아니라 세계 게임 산업에 영감을 주는 중심지라고 생각한다.</p> <p contents-hash="b44b15718cd9e552995b7ed34c8d0e406ebce9713c078e22de52216bf7d2457f" dmcf-pid="xGNyaWc6vn" dmcf-ptype="general">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span>game.donga.com</span>)</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내 첫 의료용 PET, 美 허가 관문 넘었다" 08-25 다음 체육진흥공단·하나금융, 체육인 복지·스포츠산업 활성화 협약 체결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