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기 의원, ‘공공미디어위’+‘미디어콘텐츠부’ 법안 발의 작성일 08-25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김현 의원 발의 방통위 강화법(시청각미디어통신위법)과 달라<br>방송 규제는 ‘공공미디어위원회’, 진흥은 ‘미디어콘텐츠부’ 신설<br>방송 독립·공공성 강화…미디어 진흥 정책은 단일 부처로 집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7nwgyA8w8"> <p contents-hash="8de4347f667ea91e136d06b66e800299a5bc064aeccf26b98ac665a8e189265b" dmcf-pid="1zLraWc6I4"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훈기 의원이 방송 규제와 미디어 진흥 기능을 분리하는 ‘미디어 거버넌스 개편 2법’을 대표 발의했다. </p> <p contents-hash="ba5a7d5f75e7120bbd3df0c367e14eae625fe9340d2432a41c392eb62563c31c" dmcf-pid="tqomNYkPOf" dmcf-ptype="general">발의안은 ‘공공미디어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안(공공미디어법)’과 ‘정부조직법 일부개정안’으로, 각각 공공미디어위원회와 미디어콘텐츠부 신설을 골자로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ae9cdf027f8c34fd3a50512b3ea61f44e5bc6d816b5380d269cd9db0f9b52c9" dmcf-pid="FBgsjGEQO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170439198ndja.jpg" data-org-width="670" dmcf-mid="Zeecilg2D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170439198ndj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102ac0c67f1f9c074e4bc1890e72a7afbf3a9464e2f214b82f0a6fa7c3501f3b" dmcf-pid="3baOAHDxm2" dmcf-ptype="general"> <strong>방송 규제 전담 ‘공공미디어위원회’</strong> </div> <p contents-hash="f0d71bea34226fa9c591df714b6696745d1c266e82cb008322dd57e9fc10c89f" dmcf-pid="0KNIcXwMO9" dmcf-ptype="general">공공미디어법에 따르면 현행 방송통신위원회를 대신해 장관급 독립기구인 공공미디어위원회가 방송 규제를 전담한다.</p> <p contents-hash="6439627cbabb6a08a0f2ffb652890022d435c827d755374c3471bbd84e10bb22" dmcf-pid="pnvFW9XDmK" dmcf-ptype="general">위원회는 △방송의 독립성·공공성 보장 △방송사업자 공적 책임 감독 △시청자 권익 보호 △이용자 피해 구제 △분쟁 조정 등을 맡는다.</p> <p contents-hash="8f2fd43497175ab01f200281434390e00a779f0230bf5eff281eca790ab3b485" dmcf-pid="ULT3Y2ZwOb" dmcf-ptype="general">이와 함께 통신 규제·분쟁 조정 기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이관한다. 지상파·보도채널 등 보도 기능을 가진 방송사에 대한 재허가·승인 등 규제 권한은 공공미디어위원회가 이어받는다.</p> <p contents-hash="681499c5ca7bdd3f81d77ed89c0ad869dcafa7afa8b202325515faaa68149e09" dmcf-pid="uoy0GV5rsB" dmcf-ptype="general">위원 구성은 기존 5인에서 7인 체제로 확대된다. 대통령 1인 지명, 국회의장 1인 추천, 여야 교섭단체 3인 추천 외에 대법원장이 상임·비상임 각 1인을 추천하도록 해 정치권 지분을 줄이고 사법부의 조정 역할을 강화했다.</p> <p contents-hash="a32000bc666e35e6bcf928c8f361054128f97f71e9aecd37ba1cdbd9c03d4bb2" dmcf-pid="7gWpHf1mrq" dmcf-ptype="general">또한 위원 신분보장 조항에 정치적 중립 위반 시 면직 가능을 명시해 ‘이진숙 방통위원장 사례’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도록 했다. 심의기구는 ‘미디어심의위원회’로 개편되며, 위원장에 대해서는 인사청문은 제외하되 국회의 탄핵소추 대상에는 포함시켰다.</p> <p contents-hash="5281d34d8a39a98c60742305b7da0d0bcb8137c52800fbd15f88eda89ed8a976" dmcf-pid="zaYUX4tsEz" dmcf-ptype="general"><strong>미디어 진흥 단일화 ‘미디어콘텐츠부’</strong></p> <p contents-hash="6552ee5926b9f7eb517549b3e55b5b1c9bed6b9f422b2787c3d815e0f07ac856" dmcf-pid="qNGuZ8FOs7" dmcf-ptype="general">방송·콘텐츠 진흥 기능은 신설되는 미디어콘텐츠부가 맡는다. 기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방송통신위원회로 흩어져 있던 정책을 한 부처로 집중하는 구조다.</p> <p contents-hash="383debec0b3dc276e9edf69deac10bd8ca7338d8801ae237fb13d1f5d6469de2" dmcf-pid="BjH7563Isu" dmcf-ptype="general">미디어콘텐츠부는 △방송·영상 플랫폼 및 콘텐츠 △AI·ICT 융합 미디어 △OTT·1인 미디어 △신문·잡지 등 정기간행물 △뉴스통신 및 인터넷뉴스서비스 △광고(방송·영상·신문·온라인 등) △정부홍보 및 발표 업무 등을 총괄한다.</p> <p contents-hash="e876e4e4428cfbadcef448a8eec59140457bc4046938e1ef7bd41e8cb5ce6cfb" dmcf-pid="bAXz1P0CDU" dmcf-ptype="general">이 의원은 “OTT 등 신유형 스마트 미디어 등장에 대응하고 레거시 미디어 활성화와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분산된 정책을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며 “속도감 있고 능동적인 정책 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3b1ceeb06f3db9aca538b3fdd8f29746017b1304204298f1662069fc084bcf64" dmcf-pid="KcZqtQphOp" dmcf-ptype="general"><strong>합의제와 독임제, 기능별 분리</strong></p> <p contents-hash="2ee0ddaad694917ee06d3481f2ee52d76ab9578efce99383a0f9ae120c6322a9" dmcf-pid="98DTm3Cnw0" dmcf-ptype="general">이 의원은 “합의제 기구는 방송 독립성과 공공성 보장, 시청자 보호, 분쟁 해결에 적합하고, 독임제 부처는 기술 변화와 산업 진흥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며 “합의제(공공미디어위원회)와 독임제(미디어콘텐츠부)의 장단점을 기능별로 구분해 균형을 맞췄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52bc38681b4a08dd906396d363026608ec2762e9218f2362ff73bb18bca4b49f" dmcf-pid="26wys0hLm3" dmcf-ptype="general">한편 해당 법안은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이 대표 발의한 ‘시청각미디어통신위원회’법과 다르다. 이 법안은 방송·통신·OTT 정책을 총괄하는 신설 위원회로, 공포 즉시 시행된다. 다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 기능 이관이 필요해 정부조직개편이 전제돼야 한다.</p> <p contents-hash="89a9d2411fbc2443352ffcb81b49eea7a03620ff840dff3b13955f95d50080cb" dmcf-pid="VPrWOploIF"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퍼즐 맞춰가는 사이버보안진용…김소정 사이버안보비서관, 용산 첫 출근 08-25 다음 체육공단, 체육인 복지·스포츠산업 발전 위해 하나금융그룹과 협력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