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은 왜 꼬불꼬불할까요?"…초등생 질문에 과학동아에어가 답하다 작성일 08-26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서울 에듀테크 소프트랩 '2025 에듀테크 여름캠프' 현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sLI8A6FM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38ea2481592b61172efd964489c3bc44534e455356cda5af77f8be1dcc6b7f" dmcf-pid="xOoC6cP3d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1일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서울 에듀테크 소프트랩 '2025 에듀테크 여름캠프'에 참가 학생들이 과학동아AiR에 질문을 입력하고 기사를 확인하며 답을 찾는 모습. 동아사이언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dongascience/20250826102722014xoww.png" data-org-width="680" dmcf-mid="PdNSxDMUJ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dongascience/20250826102722014xow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1일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서울 에듀테크 소프트랩 '2025 에듀테크 여름캠프'에 참가 학생들이 과학동아AiR에 질문을 입력하고 기사를 확인하며 답을 찾는 모습. 동아사이언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de792597fdb3758724adb39e60fee32e5aa472f64b1228ae43907dfe1ae762" dmcf-pid="yHmZolg2R5" dmcf-ptype="general">"사람은 왜 공부를 할까요?", "영원이라는 것은 존재하나요?"</p> <p contents-hash="5505ac966b54e6fdd1d0fa079407f3b34cf67a9f83aeb9b71e5ae1c92440eb42" dmcf-pid="WXs5gSaVnZ" dmcf-ptype="general"> 지난 21일 건국대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서울 에듀테크 소프트랩 '2025 에듀테크 여름캠프'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기발한 질문이 쏟아졌다. 11일부터 22일까지 서울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9회 진행된 이번 무료 캠프는 AI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기르고 다양한 에듀테크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p> <p contents-hash="300f1cc93c71540c8e5b3c2545e5bb44683b1ec856565cebd17393d8dcb70135" dmcf-pid="YZO1avNfMX" dmcf-ptype="general"> 이날 진행된 동아사이언스 프로그램 '과학동아AiR: 궁금증을 싣고 지식 여행 출발!'에서 학생들은 탐구활동 AI 솔루션 '과학동아AiR(과학동아에어)'를 활용해 궁금증의 답을 찾아가며 호기심이 지식으로 확장되는 경험을 했다.</p> <p contents-hash="70ac43a72ea409baed1acee26b55b50d0202c4c633d3a27e0c51cba5584a2dae" dmcf-pid="G5ItNTj4MH" dmcf-ptype="general"> 과학동아AiR는 과학 전문지 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교육용 AI 챗봇으로 학생들의 질문에 대해 관련 기사와 함께 답변을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총 2교시로 구성돼 1교시에는 '도전 50문 50답', 2교시에는 '기막힌 질문 만들기' 활동이 진행됐다.</p> <p contents-hash="deafc38dca90b3ac94e4d258b12e7c2b984f55a0e31dc7ff0679b436a3aa8dc2" dmcf-pid="H1CFjyA8eG" dmcf-ptype="general"><strong>● 20분 만에 완성된 호기심 지도</strong></p> <p contents-hash="bfc9af85ab7eaa326d1dbf1a1e18e4d7ac4a783ec01024b192e775de84b45ffe" dmcf-pid="Xth3AWc6LY" dmcf-ptype="general"> 1교시 '도전 50문 50답'은 "사람 몸에 점은 왜 생기나요?", "사람의 똥은 왜 갈색인가요?" 같은 호기심 어린 질문 50개가 담긴 카드로 시작됐다.</p> <p contents-hash="ea18013c98d79e947af7dcbf5da30cb2572a03c7f31f4e278d6c62ebbb7ca95d" dmcf-pid="ZFl0cYkPdW" dmcf-ptype="general">학생들은 각자 3개씩 질문을 맡아 과학동아AiR에 입력하고 답의 토대가 된 기사까지 읽은 뒤 자신만의 언어로 요약해 공유했다. 단 20분 만에 질문의 답을 모두 완성하자 아이들은 서로의 답변을 확인하며 즐겁게 토론을 이어갔다.</p> <p contents-hash="bc7f0877006e8226fc025a9a2a6db207671298989b35bfb08e37f1d67553b908" dmcf-pid="53SpkGEQey" dmcf-ptype="general"> 박주애 중계초 6학년 학생은 "평소 다른 생성형 AI는 잘못된 답이 나올까 걱정됐는데 과학동아AiR는 근거 기사를 보여줘 믿을 수 있었다"며 신뢰감을 표했다.</p> <p contents-hash="d4ca347fee967a04d230a4b64da4b11907dc616f9b81fd096f68848ef05c0269" dmcf-pid="10vUEHDxdT" dmcf-ptype="general"> 2교시 '기막힌 질문 만들기'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궁금한 질문을 만들었다. "사람의 수명은 왜 랜덤인가요?", "사람은 왜 발가락이 5개인가요?" 등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고 그중 "라면은 왜 꼬불꼬불할까요?"가 가장 궁금한 질문으로 꼽혔다.</p> <p contents-hash="253d9109b82dd586d3c37a5e23d35114137938373e13fda34dc74ba3ce77652c" dmcf-pid="tpTuDXwMJv" dmcf-ptype="general"> 과학동아AiR는 이에 대해 "라면 면발이 꼬불꼬불한 이유는 조리와 유통 양쪽 측면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면이 곡선으로 말려야 기름에 고르게 튀겨지고 끓일 때도 서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빠르게 익는다. 또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양을 담을 수 있어 포장과 운송이 효율적이고, 면발이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p> <p contents-hash="cdda6e3301d3e37f54a3fd50f0a61691b705a85be875f15d0d5c91e2e1971541" dmcf-pid="FUy7wZrRLS" dmcf-ptype="general"> 김재준 광남초 5학년 학생은 "다른 AI는 잘못된 정보를 주면 그 내용에 따라 답변하기도 하는데 과학동아AiR는 틀린 정보에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답해 신뢰가 갔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c78c059c9ac7b69706a5ceb4daeff828b63a579d2d09301a8af645a143504d8" dmcf-pid="3uWzr5meLl" dmcf-ptype="general"> 이번 캠프에 참여한 이현희 동아사이언스 DX 사업팀 팀장은 "신뢰할 수 있는 10만 여건의 과학기사를 토대로 답을 얻고 질문의 꼬리를 물며 사고를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이 과학동아AiR의 강점"이라며 "앞으로도 교육 현장에서 과학동아AiR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adff3cda5bca17f909a88e2aa4904e9747b1829277db3a2c1672a6fde7af73a" dmcf-pid="07Yqm1sdRh" dmcf-ptype="general"> 이지은 서울 에듀테크 소프트랩 운영센터장은 "이번 여름캠프는 학생들이 몸으로 즐겁게 배우고 탐구할 수 있도록 체험과 실습 중심으로 기획했다"며 "첫 해부터 큰 호응을 얻은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학교 현장과 연계해 더 많은 학생들이 에듀테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02e78c34e2f3a27782baf79120c9a1671e363931150bdac6f05cce9f991a0e5" dmcf-pid="pzGBstOJnC" dmcf-ptype="general"> 한편 동아사이언스는 '2025 ICT 기금 AI 테크 부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은 것을 기념해 체더스와 아이스크림몰에서 '과학동아AiR edu' 특가전을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f669aac25dcf10940cd4aabde28223418272005da4545cfece98c82d4ec6dd2f" dmcf-pid="UGrXLho9nI" dmcf-ptype="general">[조가현 기자 gahyun@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가석좌교수제 신설·박사후연구원 지위 명문화…'인재'에 사활 건 이재명 정부 정책 08-26 다음 안세영, 세계선수권 64강서 29분 만에 완승…2연패 향한 순항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