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없는 전자기기 나오나…"실내 조명으로 전력 공급" 작성일 08-26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UCL 연구진 "실내 조명의 37.6% 전기로 변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tlWgSaVgX"> <p contents-hash="89781f6938da059d9ffc76b22b40f8c857a0daa449782c03e042e257d95da6ef" dmcf-pid="XFSYavNfaH"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혁신적인 태양광 기술 개발로 앞으로는 전자제품들이 배터리 없이 작동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a47751ebbe43fdacc0545bc3cd7fb17b7503a119c7e58524af579d8071cf15f6" dmcf-pid="ZqXFwZrRAG" dmcf-ptype="general">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는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재료발견연구소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태양전지 기술을 최근 보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75c3ca937954c6c2b6534418a9f4ca8dcc141dcc1044e326dba04bcb64bbbd6" dmcf-pid="5BZ3r5mec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재료발견연구소 연구진이 실내 조명에 최적화된 태양 전지 패널을 개발했다. (사진=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ZDNetKorea/20250826102117848uzsv.jpg" data-org-width="640" dmcf-mid="bzpqlUSgN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ZDNetKorea/20250826102117848uz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재료발견연구소 연구진이 실내 조명에 최적화된 태양 전지 패널을 개발했다. (사진=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8e9ce9aaed49a81a656f8a6f06ecd787a2ac5946e5c5102441ba7a11f23c98" dmcf-pid="1b50m1sdcW" dmcf-ptype="general">보도에 따르면 이 새로운 태양전지는 실내 조명에서 전력을 모을 수 있다. 연구진은 앞으로는 실내 조명만으로 키보드나 알람, 센서와 같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이번 발견이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f54c407301189a498eff9b9435bd8555e25c9d65833cd7a78d89dea7cc83a1e7" dmcf-pid="tK1pstOJoy"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페로브스카이트를 사용한 태양전지로 전력을 모았다. 이 소재는 이미 다른 태양전지에 사용되고 있으며, 전력 효율이 실리콘 기반 태양광 패널의 6배 수준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기존 방식보다 저전력 주변광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해 실내용에 적합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p> <p contents-hash="62b74545943867c54a77f13ae0134a5acf1557feb32335633447b28deff1a41c" dmcf-pid="F9tUOFIicT" dmcf-ptype="general">UCL 재료발견연구소의 에너지 소재 부문 조교수이자 이 연구의 공동 저자인 모즈타바 압디 잘레비는 “장기적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태양전지가 배터리에 비해 더 지속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1d411abcf5e0b6e2f6f81ac349df65507a3072ff0f1de74cf12f49cd4d4f3e0" dmcf-pid="32FuI3Cncv" dmcf-ptype="general">그는 "소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수십억 대의 기기가 배터리 교체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는 지속 불가능한 방식이다. 사물인터넷(IoT)이 확대됨에 따라 이 숫자는 더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c93084317697ba2bf7090cc7101284693172ed3ac0d614b11f2639016e0fdc1d" dmcf-pid="0V37C0hLAS" dmcf-ptype="general">또 “현재 실내 조명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전지는 비싸고 비효율적이다. 이번에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실내 태양전지는 상용 태양전지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으며, 다른 시제품보다 내구성이 뛰어나다. 이는 주변광을 이용해 구동하는 전자기기의 길을 열어준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8c12d87b2b7096172921dd7de328c53e5c7d056e80b44cc8cca48f550da3d0f9" dmcf-pid="pf0zhplogl" dmcf-ptype="general">페로브스카이트는 이미 태양광 패널에 사용되는 인기 소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실리콘 기반 소재에 비해 뚜렷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안정성과 수명 측면에서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p> <p contents-hash="d54e1a40ebd354380b2acfb0faf37ca373f94eb77b18e1aa57384f336daa9419" dmcf-pid="U4pqlUSgjh" dmcf-ptype="general">그 중 핵심 요인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의 미세한 결함인 ‘트랩(trap)’에 있다. 이 트랩은 재료 내부의 아주 작은 흠집이나 홈에 전자를 갇히게 하여 에너지 활용을 방해한다. 또 비선형적인 전하의 흐름을 유도해 시간이 지나면서 재료의 악화(degradation)를 가속화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루비듐클로라이드 등의 여러 화학물질을 조합하여 결함의 크기를 줄였다.</p> <p contents-hash="787c6fb3c1ae618f3aaac8cac1f17165aa038c8ae8008c95254c57e705952a82" dmcf-pid="u8UBSuvaoC"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한 후 이 태양전지가 밝은 사무실에 해당하는 약 1천룩스의 조명 하에서 실내 조명의 37.6%를 전기로 변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내구성도 향상돼 태양전지는 100일 간 성능의 92%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변형을 가하지 않은 대조군은 초기 성능의 76% 가량만 유지했다.</p> <p contents-hash="1146b6211f0d0d296528eb3078cadf7d78db3f904a26c2970d53b4acc3c2aa67" dmcf-pid="76ubv7TNjI" dmcf-ptype="general">잘레비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장점은 특히 저렴하다는 것이다. 지구상에 풍부한 재료를 사용하고 간단한 가공만 거치면 된다. 신문 인쇄처럼 인쇄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0ea002bae0ce20abb2df85f2dfe10188ca3e2f2c340a2bebf76c78cf4de218e" dmcf-pid="zP7KTzyjjO" dmcf-ptype="general">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에 실렸다.</p> <p contents-hash="e6ed1a777ba4ba58c2c4c73cbbc61767fc538db13fd5aa678b4bae45ca25fb4b" dmcf-pid="qQz9yqWAks"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세희 “치위생학 전공, 카페 캐스팅”…곰팡이 핀 지갑에 기안84 경악 08-26 다음 국가석좌교수제 신설·박사후연구원 지위 명문화…'인재'에 사활 건 이재명 정부 정책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