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룬 웨이드, ‘New African Orleans’ 발매… 코드 누아르 300주년 기념 음반 작성일 08-26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9w6lUSgp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99e510d2e3bd6edb224fa17d6f7d4c70b57a531e712de7e3b80896721064d79" dmcf-pid="ulVYMwRuz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sportsdonga/20250826131814332clxp.jpg" data-org-width="1080" dmcf-mid="pj8XdsJqU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sportsdonga/20250826131814332clxp.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d9b90caed67e58af0e37be2f281e7f88ba8a2a27c1b93db61679f133cee4edbd" dmcf-pid="7SfGRre73O" dmcf-ptype="general"> 세네갈 출신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 알룬 웨이드가 독일 재즈 명문 레이블 엔야(Enja)에서 새 앨범 ‘New African Orleans’를 LP와 CD로 발매했다. 이번 음반은 2024년 ‘코드 누아르(Code Noir)’ 시행 30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작품이다. </div> <p contents-hash="95afe7611cbf07cabdcd8b0963d7e0f127220cc2d5ada011aeb0761675fa25b8" dmcf-pid="zv4Hemdz3s" dmcf-ptype="general">‘코드 누아르’는 프랑스 식민지에서 아프리카인들을 노예화해 통제하던 법령으로, 매주 일요일마다 춤을 출 수 있도록 허용한 조항이 포함돼 있다. 웨이드는 이를 출발점으로 삼아, 서아프리카 리듬과 뉴올리언스 재즈의 뿌리, 그리고 대서양을 건너 이어진 음악적 혈통을 탐구했다.</p> <p contents-hash="f7b84f2ef2f7012a6080ced89685d64e128328d877b1b69fa918bb47368e2202" dmcf-pid="qT8XdsJqum" dmcf-ptype="general">앨범은 지미 헨드릭스의 ‘Voodoo Child’, 펠라 쿠티의 ‘Water No Get Enemy’, 허비 핸콕의 ‘Watermelon Man’, 닥터 존의 ‘Gris-Gris Gumbo Ya Ya’ 등 불멸의 명곡들을 아프로 재즈 스타일로 재해석했다. 또한 웨이드의 오리지널 곡 ‘Boogie and Juju’, ‘From Congo to Square’에서는 아프로비트, 하이라이프, 주주 리듬이 살아 숨 쉰다. 그의 음악은 특정 장르에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한 부기를 창조하며 독창적인 매력을 뿜어낸다.</p> <p contents-hash="eb96d4cd48d2ad4147f9395e8a84bebefff4055faedf73ef94d40d381fec669a" dmcf-pid="By6ZJOiBur" dmcf-ptype="general">웨이드는 이번 앨범을 통해 대서양 노예 무역의 역사 속에서 꽃핀 음악의 진화를 추적한다. 말린케 발라드에서 쿠바의 손(Son), 콜 앤 리스폰스(Call-and-Response)에서 필드 홀러(Field Holler)와 힙합, 요루바 리듬에서 아르헨티나 탱고, 앙골라 타악기에서 뉴올리언스 브라스 밴드 사운드에 이르기까지, 그 뿌리는 모두 아프리카와 4세기 동안 이어진 강제 이주에 닿아 있다.</p> <p contents-hash="d1f8b0ad93f2662f5b57a66ccfbfa3c669ac6b1884f99044ccea53555ba920be" dmcf-pid="bWP5iInbFw" dmcf-ptype="general">과들루프 출신 작가 다니엘 막시민은 “우리의 음악은 비명에서 노래로, 쇠사슬을 질질 끌던 것에서 춤으로 우리를 이끌었다”고 말했다. 웨이드는 바로 이 정신을 ‘New African Orleans’에 담아냈다. 억압의 역사 속에서 태어난 음악은 저항이자 구원이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자유와 연대를 노래하고 있다.</p> <p contents-hash="9d64c4c9f69e2754884085538f33c00ced53fd18aaf72ce90553d85692f023b5" dmcf-pid="KYQ1nCLKzD" dmcf-ptype="general">양형모 기자 hmyang0307@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빌 게이츠, 진짜 유재석 만났다 “전재산 99% 기부 선언한 이유는..”(유퀴즈) 08-26 다음 ‘살인자 리포트’ ‘사마귀’ 연쇄살인범 작품 화제!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