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AI재단, 말 한마디로 택시 호출하는 AI 에이전트 개발한다 작성일 08-26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BdqagVZwG"> <p contents-hash="69da8da1b82a695c3d554072bc78bd6234efc5c21a55c8b30addc0cb8a156f22" dmcf-pid="PbJBNaf5mY" dmcf-ptype="general">서울AI재단이 말 한마디로 택시 호출 등이 가능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 개발에 나섰다.</p> <p contents-hash="b36d0f00b540490f0ead139ce1d2bec19f1ae4a8f4c64300d74bffeba0d5e5ad" dmcf-pid="QKibjN41OW" dmcf-ptype="general">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의 모바일 접근성 향상이 목적으로 이르면 내달 말부터 공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 시범 적용된다.</p> <p contents-hash="9926509179b51eaddc9a8ebf5f35149ff5c764cf07a98e0c00dadb7e94f69b1d" dmcf-pid="x9nKAj8tDy" dmcf-ptype="general">서울AI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R&D) 과제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하고, 음성만으로 모바일 앱을 이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p> <p contents-hash="9fa37ba21e3c89564b572dd588f83151fc1d0a370d0f40e535aaa691a90befce" dmcf-pid="ys5mUplosT" dmcf-ptype="general">재단은 '공공 택시 호출 앱'을 비롯해 서울시 대표 공공 건강관리 앱인 '손목닥터 9988' 앱, 맞춤형 교통서비스인 '동행서울맵' 등에 음성 AI 에이전트 기술을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27696bd3a79124a938fb1de85a805803b414a8f444ef4b1a4a4ff25164e63aa" dmcf-pid="WO1suUSgIv" dmcf-ptype="general">이번 기술 개발은 음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생활 서비스와 연결되는 지능형 AI 도우미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택시 불러줘”라고 말하면 관련 앱이 자동 실행되고, 이후 음성 안내에 따라 택시 호출이 완료된다. 어르신의 경우, 스마트 기기 활용이 이숙하지 않은 점을 고려했다.</p> <p contents-hash="0d1cbc317dd8647e3fcc0283712182ce6a39b30bb455cfb7b0205b19a9e56b54" dmcf-pid="YItO7uvamS" dmcf-ptype="general">일부 고령층은 발음 등이 정확히 기기에 반영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해 서울AI재단은 '어디나지원단' 시니어 강사들의 목소리(음성 데이터)를 따로 녹음, 기술 고도화에 활용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a276312668dbbca2f274e80c2581197dd16f72c1446ca34b72effe46663a0a9" dmcf-pid="GjvNXHDx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존 AI 비서 서비스와 AI 에이전트 서비스 비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625816pidk.png" data-org-width="700" dmcf-mid="8ktO7uvaD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625816pid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존 AI 비서 서비스와 AI 에이전트 서비스 비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41f624f035723f887407c2822a47dd16dc8a448f366be1bebd385965aec3f54" dmcf-pid="HATjZXwMIh"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의 연구개발비의 규모는 3년간 총 29억원으로 서울AI재단, KAIST, 고려대, 플루이즈가 참여한다. 공동연구 기관들은 AI 에이전트 기술, 음성 데이터 구축, 고령층 특화 언어 모델 기술 등 전문 분야를 기반으로 협력,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p> <p contents-hash="a3ca79a0ddf763539437c403ca2fe117f6522158f152106017f1e4a329c7001b" dmcf-pid="XcyA5ZrRmC" dmcf-ptype="general">올해 어르신 음성 데이터 확보 및 기초 기술 마련을 통한 시범사업, 2026년 사용자 피드백 반영 및 고도화, 2027년 어르신 교육을 통한 확산 등 연도별 단계에 맞춰 체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4b06947102fd598f3a19bf74f76feae37c7087cac627e6e27e76cbc0cef9b9ea" dmcf-pid="ZkWc15merI" dmcf-ptype="general">김만기 서울AI재단 이사장은 “서울시 '약자와의 동행' 정책을 실현하는 대표적 AI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서울AI재단은 모든 시민이 디지털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기술 확산과 활용 기반 마련에 지속 힘쓰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b9dfc66bcfcae82fa2e8e0b3e0c49b01c94bb814fe31a1a0186f6c211fecaa1" dmcf-pid="5EYkt1sdrO" dmcf-ptype="general">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윤종신, '월간 윤종신' 등용문 8월호 ‘이렇게 하자' 26일 발매…이지리스닝 시티팝 08-26 다음 안세영, 세계선수권 64강서 29분 만에 완승…‘2연패 향한 순항’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