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어스네트워크 “한국 AI 인프라 주요국 중 6위” 작성일 08-26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mhtRMuSm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9018670f186932e8c4b267ced1188e9e98462a59b5f617250fa8603c29b028" dmcf-pid="bslFeR7vw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처:피어스네트워크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517280cney.png" data-org-width="700" dmcf-mid="zJJw03CnI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517280cney.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처:피어스네트워크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31d0f168a393a14f1253817e8e75f015cf84ee397bdc78c537042380187fc88" dmcf-pid="KOS3dezTs0" dmcf-ptype="general">한국이 미국 유력 IT매체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평가에서 세계 6위를 차지했다.</p> <p contents-hash="fd0ef35cb3fdb6560ec0c0ec171e4cf1ee447b8896c89394bcfaf2bcc6b59d7f" dmcf-pid="9Iv0Jdqym3" dmcf-ptype="general">미국 피어스네트워크는 최근 AI를 활용한 자체 연구를 바탕으로 'AI 핵심 인프라 지수(CIAINDEX) 상위 25개국' 조사결과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d6f4ed422519f1811a6ae36a713b7b6f38972928b3a5f20875b9187be2812ae1" dmcf-pid="2CTpiJBWEF" dmcf-ptype="general">피어스네트워크는 AI '인프라' 경쟁력에 집중해 평가했다. 주요 인프라 지표로 △거버넌스·정책 시스템 △전력·물 활용 △데이터 네트워크 △AI 컴퓨팅·데이터센터 △AI 애플리케이션·지출 분야 경쟁력을 평가했다. AI활용능력, 규제, 윤리 등 다른 기준은 제외하고 오직 인프라 관점에서 조사한 것이다.</p> <p contents-hash="60a4de077b383d6399082bae0b9d0fcda2120954d3ce14503a129479933ad0d8" dmcf-pid="VhyUnibYmt" dmcf-ptype="general">조사결과, 종합평가에서 중국이 86.6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는 85.4점으로 2위, 스웨덴이 82.4점으로 3위, 핀란드가 82점으로 4위, 일본이 81.6점으로 5위, 한국이 81.4점으로 6위를 각각 차지했다. 미국은 인프라 종합지수에서는 77점으로 13위에 그쳤다.</p> <p contents-hash="93cd431c020a70aa5371fd476b7ed7abc3ad3ecea6702b36bec54d69a37275a9" dmcf-pid="flWuLnKGw1" dmcf-ptype="general">미국은 각종 조사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지만, 인프라 분야에서는 다른 평가를 얻었다. 피어스네트워크는 “미국의 AI 행동 계획은 모든 것이 너무 부족하고, 늦었으며, 현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기 전까지는 핵심 권고안 중 어떤 것도 실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라며 “국가적 차원의 깨달음이 없다면 미국은 AI에 관해서는 '벌거벗은 임금님'과 같은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7474b633bb97cb74b92eb1b51ac43c61e2b0e038f71be052d6f4858d7c44c8" dmcf-pid="4vGzgo2Xw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처:피어스네트워크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518500vfgw.png" data-org-width="700" dmcf-mid="qcI5xQphO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1518500vfg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처:피어스네트워크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67a11d3b3f0b7da244d2195fa50c37fcab72a9fce9df6aeec5b99ce14c0396" dmcf-pid="8THqagVZrZ" dmcf-ptype="general">한국은 세부 평가 항목 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냈다. 한국의 데이터 네트워크 경쟁력 지수는 95점으로 싱가포르(96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5G 전국망과 초고속인터넷 경쟁력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또 한국은 △전력·물 활용분야 3위△AI 애플리케이션·지출 분야 78점으로 9위 △컴퓨팅·데이터센터 인프라 분야 72점으로 10위 △거버넌스·정책 시스템 80점으로 10위를 각각 기록했다.</p> <p contents-hash="d7cbbe850cd829a143b6314137c283588708281e7ac376b8c9c20a3051a7a32a" dmcf-pid="6yXBNaf5DX" dmcf-ptype="general">피어스네트워크의 조사는 미국 기업으로서 미국 정부에 경각심을 주기 위한 의도가 상당부분 반영됐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앞으로 매년 AI 경쟁력 지수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2c6150ba96635a7bcc7de55b1922bd62efebf74b6d6602418b1ae2b83bce791" dmcf-pid="PWZbjN41IH" dmcf-ptype="general">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막걸리 한잔’ 류선우 父 빈소…영탁·장민호·심현섭 조용한 위로 08-26 다음 윤종신, '월간 윤종신' 등용문 8월호 ‘이렇게 하자' 26일 발매…이지리스닝 시티팝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