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존클라우드 “국내 기업 85%, 2026년까지 생성형 AI 활용 전망” 작성일 08-26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wBdp0hLs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22ccdb20246ba98c73bf7187fd9a6ef27957204429fca8d2e69414b1208767e" dmcf-pid="yBwHjN41I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메가존클라우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2540498dnyc.jpg" data-org-width="536" dmcf-mid="QmjvnibYr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42540498dny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메가존클라우드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24e2df6ec8a658a4e735f7958b69ee2a62bc6de5bce85014ae50b70cc68f257" dmcf-pid="WbrXAj8tIw" dmcf-ptype="general">국내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2026년까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업무에 활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 AI를 전사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은 투자 대비 효과(ROI) 불확실성 우려가 도입 단계 기업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35426037c92b450b5cd530df766e72e14f536210258c874963c266bdfa0252a4" dmcf-pid="YKmZcA6FsD" dmcf-ptype="general">메가존클라우드는 파운드리(구 IDG)와 함께 국내 기업 AI·IT 담당자 7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기업의 55.7%가 이미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사적 도입은 22.4%, 일부 부서 활용은 33.2%였다. 현재 구현 중이거나 1~2년 내 도입을 계획하는 기업까지 포함하면 2026년에는 85%를 넘을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010ee85a3a552949f361cfe78d7d2f13f84deb3783aaa6137a888a2828a52afb" dmcf-pid="G9s5kcP3IE" dmcf-ptype="general">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전사적 활용률이 35.1%로, 중소·중견기업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산업별로는 IT·통신·방송 분야가 37.5%로 가장 높았다.</p> <p contents-hash="db32433b9590c7863b1f8efad61915165784e102b767b511272d091f7a14219e" dmcf-pid="HfCFwDMUDk" dmcf-ptype="general">응답 기업의 60.3%는 생성형 AI를 IT 전략에서 '우선순위가 높다'고 평가했고, 74.0%는 지난해보다 투자를 늘렸다고 답했다. 특히 우선순위를 높게 둔 기업일수록 투자 확대 비중도 컸다.</p> <p contents-hash="facfa37b979d4d46e87e743d024bfe8266ea27cf43f8b649b3f384b699f14332" dmcf-pid="X4h3rwRuwc" dmcf-ptype="general">우려도 컸다. 가장 큰 우려 요인은 '잘못된 정보 생성과 결과 신뢰도 부족'(61.3%)이었으며, '보안과 개인정보 유출 위험'(53.3%)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 및 법적 책임 문제'(21.0%), 'ROI 불확실성'(19.8%)도 지적됐다.</p> <p contents-hash="cde01cab1ea285d9068304ed5303d451cc7a3763590e574805f3555123bd807e" dmcf-pid="Z8l0mre7OA" dmcf-ptype="general">도입 장애 요인으로는 '기술 인력과 역량 부족'이 49.8%로 절반에 달했고, '인프라 및 데이터 확보 어려움'(32.0%), '경영진의 지원 부족'(21.0%)이 뒤를 이었다. 성공적 확산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경영진의 전략적 의지와 리더십'(41.1%)이 가장 많이 꼽혔다.</p> <p contents-hash="1f9b14d9afed4f4fc33729906dd0658a3b7ce01b1bc55b267b400b3fea6a79d3" dmcf-pid="56Spsmdzsj" dmcf-ptype="general">도입 방식은 챗GPT, MS 코파일럿 등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형 생성형 AI 서비스가 35.5%로 가장 높았다. 빠른 도입과 비용 효율성이 장점으로 꼽혔지만, 보안과 맞춤형 기능을 중시하는 기업은 자체 개발·운영 방식을 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40ffeac21c8bd629a8f712a408924d488e13748be06ecdbb7adc767bdf0d7ecc" dmcf-pid="1PvUOsJqrN" dmcf-ptype="general">예산 전망도 확대 흐름을 보였다. 2026년 생성형 AI 예산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79.3%였으며, 이 가운데 20~49% 증가가 26.8%, 50% 이상 증액은 37.2%에 달했다.</p> <p contents-hash="a658b9249bc41cd372330e47a2c51d1223c145b6b3266be16bae5ce735371e4a" dmcf-pid="tQTuIOiBma" dmcf-ptype="general">활용 목적은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70.5%)이 가장 많았고, 주요 활용 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44.1%), IT 운영(40.3%), 마케팅·고객 서비스·연구개발 순이었다. 대표적 업무 유형으로는 문서 요약(43.1%), 데이터 분석(40.3%), 프로그래밍 보조(37.0%)가 꼽혔다.</p> <p contents-hash="25219749fb5e47cf2a99f7444866c7ebcec9140467096778658506c47e5fc88f" dmcf-pid="Fxy7CInbOg" dmcf-ptype="general">염동훈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전문 인력과 인프라 한계, 보안·개인정보 보호가 확산의 가장 큰 과제로 나타났다”며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가진 외부 파트너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ab60417445d5cd9c0a5692c85b607e042234f0ef9e11f22bca63ba3c84cfae3" dmcf-pid="3MWzhCLKso" dmcf-ptype="general">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남매 아빠' KCM, 워터밤 여신 만나러 갔다…"여름은 역시 권은비" 08-26 다음 백지연 “55세 넘어가니 몸 축나, 건강식단 바꾼 후 효과는”(지금백지연)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