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혁신, 미래를 설계하다] 〈6〉 나노솔루션, 자동차서 배터리용 CNT로 사업 다각화 작성일 08-26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dwslho9I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e336ad7f8db1291c274c453276f9f6db44546462dd7bae40759b400331277d" dmcf-pid="BJrOSlg2s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나노솔루션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제품 사진 (나노솔루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6321noiu.png" data-org-width="700" dmcf-mid="ZJ8QdezTs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6321noiu.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나노솔루션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제품 사진 (나노솔루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484d197dc7ed2bff61e7dda188ec495053c7029a3da36d4d11f54564a4552d" dmcf-pid="bimIvSaVmg" dmcf-ptype="general">2006년 설립된 나노솔루션은 탄소나노튜브(CNT) 기반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김형열 대표는 삼양사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영업 분야 경력을 쌓으며 전기전도성, 강도, 열전도성 등 우수한 물성으로 주목받던 CNT 가능성을 보고 창업했다.</p> <p contents-hash="f43fe87533e461d44fa952efc2ff01bcc31bfad35b235f0237f00ddcc944e0ef" dmcf-pid="KnsCTvNfEo" dmcf-ptype="general">CNT는 탄소 원자가 육각형 구조로 연결된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 형태 신소재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분된다.</p> <p contents-hash="58918093d2465ae3ea0280647ee1a68f1d82c23b4126a6ff6e34137365e63a28" dmcf-pid="9LOhyTj4sL" dmcf-ptype="general">나노솔루션은 아크방전 방식으로 SWCNT를 생산하는 합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용접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두 개의 흑연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걸어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 과정에서 증발한 탄소가 냉각되어 SWCNT를 형성한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0af5a23694b271c99f4404ef51d1c399f245673abf4691b3c8711f39e56bc57" dmcf-pid="2LOhyTj4s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크 방전 SWCNT 합성 개념도 (나노솔루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7648ghxp.png" data-org-width="657" dmcf-mid="1X7BV2ZwI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7648ghx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크 방전 SWCNT 합성 개념도 (나노솔루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6f7534b5d75f62d01e98189f4cbb226c67cac204dc12f8312c87bf07c88881d" dmcf-pid="VoIlWyA8Ei" dmcf-ptype="general">합성 후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진 CNT를 사용할 수 있도록 분산하는 기술도 필수다. CNT 입자가 서로 뭉치는 응집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매를 활용해 용액 형태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분산액을 디스플레이 표면이나 다른 재료에 적용해 광학적, 전기적, 열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코팅액 제조 기술도 확보했다.</p> <p contents-hash="30dd771b06d0b286d2c659891128247ac9d157e6e2cc61e2b176fbd636764479" dmcf-pid="fgCSYWc6OJ"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이런 전체 공정을 구현할 수 있는 회사는 나노솔루션이 유일하다”면서 “각각 공정을 개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쳐 노하우를 확보했기 때문에 다른 회사가 쉽게 흉내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b6c44a73f625eeb8487ebab7662f0ffc440884a7c277dfc307daf25937d1019" dmcf-pid="4ahvGYkPmd" dmcf-ptype="general">차량용 디스플레이 제조에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대전방지용 코팅용액이 필요한데 SWCNT가 핵심 소재로 들어간다. 나노솔루션은 SWCNT를 적용한 자동차용 대전방지 코팅액을 개발하고 2017년부터 LG디스플레이에 독점 공급 중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4bbb437e77f6182de4a5e1e66a684f9457fe71cd9f82a925cbac617d47a35f" dmcf-pid="8NlTHGEQO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형열 나노솔루션 대표 (나노솔루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8907lkmc.png" data-org-width="512" dmcf-mid="zCTY5ZrRr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62228907lkmc.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형열 나노솔루션 대표 (나노솔루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e8f7380f4f515296d9a01d3e9e4c2c99f939d8c5a105a9f485647acd26142bc" dmcf-pid="6jSyXHDxDR" dmcf-ptype="general">이차전지용 CNT 소재로 사업 다각화도 준비 중이다. CNT를 이차전지 도전재로 사용하면 실리콘 부피 팽창을 완충하고 에너지 밀도 개선에 도움을 준다. 이차전지 음극용 도전재 분산액 기술을 확보하고 배터리 제조사와 적용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정밀한 전자부품에 정전기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전방지도료와 스마트 윈도우용 광셔터에 적용 가능한 전자잉크 제품화도 준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14a984e3ae42fb10cfef5293fc31c18ee49747d899bb240a346e1f0ba04238e" dmcf-pid="PAvWZXwMOM" dmcf-ptype="general">회사는 최근 16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투자금은 익산공장과 제2전주공장 등 시설 확장에 투입된다. 2028년 이전 코스닥 상장도 목표로 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fbec9ffdc8019ac141340eccda8ccf7c763ff63508bcc04a76925078e09a6a6" dmcf-pid="QcTY5ZrROx"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익산공장 준공 후 이차전지 음극재 소재를 대량 생산하면 매출이 현재의 2배 이상으로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SWCNT 합성, 정제, 분산, 응용 전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으로 다양한 나노 소재와의 하이브리드화 등 응용 시장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f4d00722f43f6424dcaefa9d168b64f8680c4eb9a0c67252f2526d455a10e73" dmcf-pid="xkyG15meOQ" dmcf-ptype="general">※[나노 혁신, 미래를 설계하다] 시리즈는 전자신문과 한국나노융합산업협회가 나노기술보유기업확인프로그램을 통해 검증된 국내 유망 기업 10곳을 선정, 혁신 기술력과 성공 사례를 소개한다.</p> <p contents-hash="ca3e6c7bb202748bc725af24c13f2a7ed5c93f1aa0cff2745f558d21855b157a" dmcf-pid="y7xeLnKGEP" dmcf-ptype="general">정현정 기자 iam@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내 게임기업, 중국 진출 박차…‘대항해 오리진’·‘트릭컬’·‘카제나’ 판호 발급 성공 08-26 다음 10년간 韓 떠난 과학 인재 수만명…과학계, 대응 나섰다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