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상장사, 실적반등 희망 보인다…손실 축소·흑자 전환 작성일 08-26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FUr68FOD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73196b95871552ff2f747e25e958304c9e9177b925c65a5e21afacae52fbd89" dmcf-pid="X3umP63Iw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70356922viqt.jpg" data-org-width="700" dmcf-mid="YV2zCInbI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70356922viq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3023cb229014233a8464c574b176e252793c22ebcdff2b9a4deaa6080fd644" dmcf-pid="Z07sQP0CmL"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산업 분야 주요 코스닥 상장 기업 대다수가 올해 상반기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실적 반등의 여지를 남겼다.</p> <p contents-hash="6e142351c8945c95098f78fa38f9c96de53e976bba3d97aa1d163511da01d698" dmcf-pid="5pzOxQphDn" dmcf-ptype="general">다수 기업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영업손실 또는 순손실 규모를 줄이며 실적 개선 가능성을 보였다. 2분기 또는 상반기 흑자를 달성한 기업도 나타났다.</p> <p contents-hash="efc93f6ba8f89047c353fb92ebcaa3e381306e97b285ee938b664c30ac90f6c0" dmcf-pid="1UqIMxUlsi" dmcf-ptype="general">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DART)에 따르면 주요 AI 코스닥 상장기업 8개사는 상반기 적자였다. 이스트소프트는 상반기 매출 564억원과 영업손실 약 43억원, 마음AI는 매출 43억원, 손실 35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손실이 소폭 늘어났지만 매출은 증가, 비용 개선이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f27efe401511f79248d3bfd6a750b3515cd0872dedbe7fc5c3b64d3f3183b592" dmcf-pid="tzKldezTmJ" dmcf-ptype="general">코난테크놀로지는 매출 74억원과 손실 84억원, 크라우드웍스는 매출 39억원과 손실 약 58억원을 기록했다. 여전히 매출을 웃도는 손실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적자 규모가 줄어들며 체질 개선을 예고했다.</p> <p contents-hash="2c14105950824fcb8114f670616f83b460d4ae3c0cfbd1fe44f21ea252a8e438" dmcf-pid="Fq9SJdqymd" dmcf-ptype="general">셀바스AI는 상반기 매출 544억원과 손실 3억원, 와이즈넛은 매출 135억원과 손실 32억원, 솔트룩스는 매출 127억원과 손실 92억원, 알체라는 매출 33억원과 손실 7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들 4개사는 지난해보다 매출은 줄고 손실이 늘어났다.</p> <p contents-hash="a31ce7ee88148d42fa28bcefcadfdd16e5334d7001fc636dec3c28b1dc19472b" dmcf-pid="3B2viJBWIe" dmcf-ptype="general">상반기 적자에도 셀바스AI와 와이즈넛, 이스트소프트 등 3개사가 2분기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연간 흑자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셀바스AI와 와이즈넛은 지난해 각각 다년 연속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p> <p contents-hash="f86d3d994403b56739d3e8cd76c36ea0212b73d03fe37895999ceb12bfb5e84f" dmcf-pid="0bVTnibYIR" dmcf-ptype="general">플리토는 매출 140억원, 영업이익 26억원으로 주요 AI 상장사 중 유일한 흑자 기업이다. 국내외 AI 통·번역 공략과 데이터 공급사업 확대 등이 주효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f66bc9766c5b23bb85bd68cda4c1f02a1a09c292b5702b21f02876c8618ae31" dmcf-pid="pKfyLnKGm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주요 인공지능(AI) 코스닥 상장사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실적 비교. 자료:전자공시취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70358258iqcn.png" data-org-width="691" dmcf-mid="GzouOsJqO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etimesi/20250826170358258iqcn.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주요 인공지능(AI) 코스닥 상장사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실적 비교. 자료:전자공시취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2d403c13fd3c63cb33867591d36e3d38fdd4cf21dddf28e332606bb6435d53" dmcf-pid="U94WoL9Hwx" dmcf-ptype="general">AI 상장사들은 하반기 AX(AI 전환), 피지컬 AI, 산업 특화 AI 등 신사업으로 비즈니스모델(BM)을 다각화하고 비용 효율화로 기업 체질을 개선하는 등 기업 성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419aa8c02a17e8409e46341a53917360638bf52ed77571dfa60ff1055740921" dmcf-pid="u28Ygo2XsQ" dmcf-ptype="general">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나 서울시 자체 행정전용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사업 등 공공사업은 물론, 민간기업의 AI 활용 수요가 확대되는 것은 이들 기업에 호재다.</p> <p contents-hash="4b78300e3ddb7046324c0ae40f973bdbb26e0114db6d994c911b5c5cb1ff141f" dmcf-pid="7V6GagVZmP" dmcf-ptype="general">이스트소프트는 LG AI연구원, 플리토는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크라우드웍스는 독자 AI 모델 데이터 공급기관으로 나섰다. 서울시 LLM 사업에는 자체 LLM 모델 또는 AI 플랫폼을 보유한 기업들의 참여가 예상된다.</p> <p contents-hash="017f031e46ffd8d089e058963eae23f4624d297a3bde3ddc635f6f73162a62d2" dmcf-pid="zfPHNaf5I6"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LLM 등 생성형 AI 서비스 위주에서 시각언어행동(VLA) 모델과 데이터, 버티컬 AI 등으로 AI 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다”며 “공공과 민간에서 AI 수요 확대는 국내 AI 상장사의 실적 개선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p> <p contents-hash="a3b2ce30394703b5c0fcbf954608cc2c2cbbe008565ca11b48493868bbeb119e" dmcf-pid="q4QXjN41m8"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시은♥’ 진태현, 양딸 둔 이유? “같이 밥 먹으려고”[SNS는 지금] 08-26 다음 올해 '부국제' 줄리엣 비노쉬-션 베이커-기예르모 델 토로-오구리 슌 韓 찾는다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