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에서 노래로, 쇠사슬 끌던 몸짓을 춤으로” 알룬 웨이드 (ALUNE WADE) ‘New African Orlean’ 발매 작성일 08-26 25 목록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A6DLV5r0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eb09bfc75b245855eb741944686db8789e118136c48396c698df43c2d703f4a" dmcf-pid="9L9NRqWAu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굿인터내셔널 레이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6/sportskhan/20250826221658312cmnc.jpg" data-org-width="1080" dmcf-mid="bes0YDMU3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6/sportskhan/20250826221658312cmn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굿인터내셔널 레이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3f4c8510c4a5a0a390a36b2a00bd510b869a87904b490d47dbc4abea3a49ecf" dmcf-pid="2o2jeBYczL" dmcf-ptype="general"><br><br>베이시스트이며 작곡가인 세네갈 출신의 알룬 웨이드가 코드 누아르(Code Noir) 시행 300주년을 기념하는 음반 ‘New Afriancan Orleans’를 독일 재즈 명문 enja에서 LP와 CD로 발매했다고 굿인터내셔널 레이블이 26일 전했다.<br><br>알룬 웨이드는 자신의 토착 서아프리카 리듬, 라고스의 아프로비트와 주주 리듬, 그리고 뉴올리언스에서 불멸의 존재로 자리 잡은 브라스 밴드 레퍼토리 사이에서 다양한 접점을 탐구한다.<br><br>이 앨범은 지미 헨드릭스의 ‘Voodoo Child’, 펠라 쿠티의 ‘Water No Get Enemy’, 허비 핸콕의 ‘Watermelon Man’과 닥터 존의 ‘Gris-Gris Gumbo Ya Ya’ 등 불멸의 아프리카계 출신 음악을 아프로 재즈 스타일로 재해석한다.<br><br>알룬의 오리지널 ‘Boogie and Juju’, ‘From Congo to Square’ 등 에서 보이는 아프로비트, 하이라이프, 주주는 웨이드의 음악적 레퍼런스임은 분명하지만, 그의 다채롭고 글로벌한 부기는 그만이 만들어낸 완전히 매력적인 조합이다<br><br>대서양 노예 무역에서 탄생한 음악의 진화는 말린케 발라드에서 쿠바의 손(son), 콜 앤 리스폰스(call-and-response) 패턴에서 필드 홀러와 힙합, 요루바 리듬에서 아르헨티나 탱고, 앙골라 타악기에서 뉴올리언스 브라스 밴드 사운드까지… 이 모든 것은 아프리카와 4세기 동안 지속된 족쇄에 묶인 이주에 뿌리를 두고 있다.<br><br>2024년은 노예화 된 아프리카인들에게 일요일마다 춤을 출 수 있도록 허락한 ‘코드 누아르(Code Noir) 시행 3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야만적인 무역에 맞서는 구명보트로서 문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br><br>과들루프 출신 작가 다니엘 막시민은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의 음악은 비명에서 노래로, 쇠사슬을 질질 끌던 것에서 춤으로 우리를 이끌었다”<br><br>노예제도의 끔찍한 억압 속에 작은 숨구멍이 된 ‘코드 누아르(Code Noir)’는 이후 현대 대중문화의 큰 뿌리 중 하나가 됐다.<br><br><strong>LP Tracks</strong><br><br><strong>1. Night Tripper </strong><br><br><strong>2. Boogie and Juju </strong><br><br><strong>3. Gris-Gris Gumbo Ya Ya </strong><br><br><strong>4. Voodoo Child </strong><br><br><strong>5. Water No Get Enemy </strong><br><br><strong>6. From Congo to Square </strong><br><br><strong>7. Same Fufu </strong><br><br><strong>CD Tracks:</strong><br><br><strong>1. Night Tripper </strong><br><br><strong>2. Boogie and Juju </strong><br><br><strong>3. Gris-Gris Gumbo Ya Ya </strong><br><br><strong>4.Voodoo Child </strong><br><br><strong>5. Water No Get Enemy </strong><br><br><strong>6. From Congo to Square </strong><br><br><strong>7. Taxi Driver </strong><br><br><strong>8. Same Fufu </strong><br><br><strong>9. Three Baobabs </strong><br><br><strong>10. Watermelon Man </strong><br><br><strong>11. Dialect from the Mulattozy Tribe </strong><br><br><strong>Alune Wade : Compose, Arrange, Vocal, Keyboards, Bass</strong><br><br><strong>Yehmi Olutosin : Baritone Saxophone</strong><br><br><strong>Victor Ademofe : Trumpet</strong><br><br><strong>Camille Passeri : Trumpet</strong><br><br><strong>Olaore Muyiwa Ayandeji : Talking DrumAlune Wade : Vocals, Bass, Keyboards</strong><br><br><strong>Cédric Duchemann : Keyboards</strong><br><br><strong>Alix Goffic : Drums</strong><br><br><strong>Harry Ahonlonsou : Tenor Saxophone</strong><br><br><strong>Camille Passeri : Trumpet</strong><br><br><strong>Victor Ademofe : Trumpet</strong><br><br><strong>Yehmi Olutosin : Baritone Saxophone, Trombone</strong><br><br><strong>Kirk Joseph : Sousaphone</strong><br><br><strong>Alix Goffic : Drums</strong><br><br><strong>Kyle A. Roussel : Piano, Organ</strong><br><br><strong>Hugues Mayot : Bass Clarinet</strong><br><br><strong>Weedie Braimah : Percussions</strong><br><br><strong>Julia Sarr : Backing Vocals</strong><br><br><strong>Olyza Zamati : Backing Vocals </strong><br><br>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하석진, 만나는 사람 있나 “2027년 결혼운..돈도 많이 벌 것”(한끼합쇼)[종합] 08-26 다음 ‘섬총각’ 임영웅 “무명 시절, 크루즈 행사 많이 갔었는데…” 08-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