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26] 스포츠 용어로 ‘홀드(Hold)’를 많이 쓰는 이유 작성일 08-27 32 목록 <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5/2025/08/27/20250827055112014345e8e9410871751248331_20250827055312610.png" alt="" /><em class="img_desc"> 2024 파리 올림픽 스포츠클라이밍에서 홀드를 잡고 오르는 선수 모습</em></span> 스포츠에서 ‘홀드’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이 단어가 단순히 붙잡는다는 뜻 이상의 보편적인 개념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의 기본 동작은 잡기, 쥐기, 유지하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어 ‘Hold’는 어떤 대상을 손·몸·기술로 제압하거나 유지하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단어이다. 스포츠 용어로 안성맞춤인 것이다. <br><br>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span style="letter-spacing: 0pt;">‘Hold’</span>는 게르만조어 <span style="letter-spacing: 0pt;">‘Haldanan’</span>에서 유래했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고대 영어 <span style="letter-spacing: 0pt;">‘Haldan’, </span>중세 영어 <span style="letter-spacing: 0pt;">‘Holden’</span>을 거쳐 현대 영어로 바뀌었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Hold’</span>는 동사형으로 <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붙잡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명사형으로 <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잡기<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라는 뜻을 갖는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야구와 레슬링에서 경기 용어로 쓰이며<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축구<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농구<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배구 등에선 진행형을 뜻하는 <span style="letter-spacing: 0pt;">‘`ing’</span>를 붙여 반칙 용어로 사용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 이 단어는 발음이 쉬워 스포츠 현장에서 명령·설명·호칭에 사용하기 적합하다.<br><br>우리나라 언론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홀드라는 말을 사용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따르면 조선일보 1930년 11월 21일자 ‘一九三(일구삼)〇 一九三一年度(일구삼일년도) 籠球規則變更(농구규칙변경)’ 기사에서 ‘5초간 뽈을 갖고 있을 때에 역원은 홀드 뽈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br><br>야구에서 홀드란 세이브 규칙을 준수하여 해당 조건을 충족시키고 경기 도중 물러난 구원투수에게 부여하는 기록이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주자를 묶어둔다는 뜻에서 붙여진 말이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홀드는 중간계투로 나온 투수가 상대팀에게 점수로 역전을 안 당한 상태로 다음 투수에게 연계해주는 것을 뜻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중간계투로서의 승리에 공헌한 투수들의 가치를 인정하자는 시도에서 <span style="letter-spacing: 0pt;">1986</span>년 메이저리그에서 고안되었고<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일본프로야구는 <span style="letter-spacing: 0pt;">1996</span>년부터 퍼시픽 리그에서<span style="letter-spacing: 0pt;">, 2005</span>년부터 센트럴 리그에서 채용되었으며 이후 규정을 통합<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기록은 <span style="letter-spacing: 0pt;">2005</span>년 시즌 기록부터이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한국프로야구는 <span style="letter-spacing: 0pt;">2000</span>년부터 공식기록으로 인정했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br>레슬링에서 홀드는 상대방을 안아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레슬링 용어로 쓰인 것은 <span style="letter-spacing: 0pt;">1892</span>년부터라고 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본 코너 <span style="letter-spacing: 0pt;">1273</span>회 <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레슬링에서 왜 <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홀드<span style="letter-spacing: 0pt;">(Hold)’</span>라고 말할까<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참조<span style="letter-spacing: 0pt;">)</span><br><br>축구나 농구 등에선 <span style="letter-spacing: 0pt;">‘Hold’</span>에 진행형인 <span style="letter-spacing: 0pt;">‘-ing’</span>를 붙여 손이나 몸으로 상대편의 행동을 방해하는 반칙을 의미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배구에선 손이나 몸에 잠깐이라도 공이 머물러 있게 하거나 손바닥으로 공을 치는 반칙을 말한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복싱에선 상대편의 몸을 껴안는 일을 가리킨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br>스포츠클라이밍에선 벽을 붙잡는 지점을 홀드라고 한다. 클라이밍: 홀드를 잡고 버텨야 다음 동작이 가능하다. 스포츠클라이밍에서 쓰이는 홀드는 그냥 돌을 붙여 놓은 게 아니라, 안전성과 마찰력, 내구성을 고려해 특별한 재료와 방식으로 제작된다. 주로 폴리우레탄(PU)이나 복합재로 만들고, 훈련용으로는 목재도 많이 사용한다. 관련자료 이전 “내 딸 시아나 너무 예뻐해줘서 잔류 결심”…GS칼텍스서 세 시즌 연속 맞는 실바 08-27 다음 고현정, 비행기 수분크림 루머 분노 “주책바가지도 아니고,한 통 다 쓴다고? 미치지 않고서야” (살롱드립2)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