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현 SKT CTO “글로벌 무대서 당당히 경쟁하는 한국형 AI 만들 것” 작성일 08-27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KNOsPhLC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e7b07cce5a22c46e5f1bd67eeafb980f78e865e7fb8ce6167f516558fd10346" dmcf-pid="q9jIOQlol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양승현 SKT AI R&D센터장(CTO). SKT 뉴스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094206340tokw.jpg" data-org-width="297" dmcf-mid="teyyqC9HW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094206340tok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양승현 SKT AI R&D센터장(CTO). SKT 뉴스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ac2491e8a236bb24c2f47541382aaa9d41a5a84a95d9dda5c1eee6c112629c2" dmcf-pid="B1Qgo7j4WJ" dmcf-ptype="general"><br> “국민 누구나 쓸 수 있는 인공지능(AI),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AI, 세계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하는 ‘K-AI’를 만들겠다.”<br><br> 양승현 SK텔레콤 AI R&D센터장(CTO)는 27일 SKT 뉴스룸을 통해 “한국형 AI가 단순 추격자가 아니라 독자적인 경쟁자로 글로벌 무대에 자리 잡게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br><br>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SK텔레콤 주관 컨소시엄이 선정되면서 SKT가 ‘국가대표 AI 프로젝트’에 뛰어들었다. 글로벌 프런티어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을 달성을 1차 목표로 세웠다.<br><br> 양 센터장은 “대한민국 대표 AI 기업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안고 임하고 있다”며 “단순히 AI 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AI 주권을 세우고 산업 전반의 혁신 기반을 구축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br><br> 양 센터장은 SKT 컨소시엄이 내세우는 목표로 기존 언어 중심 모델을 넘어선 차세대 대형 옴니모달 모델을 내세웠다. 텍스트, 음성, 이미지, 비디오뿐 아니라 행동(에이전트)을 융합해 인간과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구현한다.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목표로 한다.<br><br> 기술적으로는 수천억~수조 파라미터 규모의 모델을 구축하고, 최신 구조인 MoE로 학습 효율을 극대화한다. MoE(Mixture of Experts)는 여러 개의 작은 전문가 모델들이 모여서 하나의 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각 전문가 모델은 특정 유형의 데이터를 잘 처리하도록 특화돼 있고 입력 데이터에 따라 가장 적합한 전문가가 선택돼 문제를 해결한다.<br><br> 양 센터장은 “기존에 보유한 에이닷엑스(A.X) 시리즈를 넘어 프롬 스크래치로 설계·학습을 진행해 글로벌 프런티어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았다”며 “최종적으로는 독자적 포스트 트랜스포머 모델 개발도 추진한다”고 말했다.<br><br> 양 센터장은 이를 가능케 하는 원동력으로 ‘자강과 협력’의 AI 피라미드 전략을 꼽았다. 그는 “국내 최초 거대 언어모델 개발 경험, 슈퍼컴퓨터 타이탄 운영, 자체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 머신러닝 모델을 효율적으로 개발·운영하는 기술인 MLOps,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설, 일상 상용화 경험 등 SKT의 기술 자산이 든든한 토대가 된다”고 설명했다.<br><br> 또한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셀렉트스타, 라이너 등 민간 기업과 서울대·KAIST 등 학계 연구진이 컨소시엄에 참여해 게임, 자동차, 반도체, 데이터, 멀티모달 AI 각 분야의 전문성을 결집시켰다.<br><br> SKT는 SK 그룹사와 컨소시엄 참여사를 시작으로 모델 적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SK브로드밴드 등 관계사와 최종현학술원, 한국고등교육재단을 포함한 20여 기관이 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제조·자동차·게임·금융·로봇 등 전 산업에 걸쳐 AI 전환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br><br> 국내 확산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시장 진출도 목표로 한다. 양 센터장은 “K-AI 모델은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 다국어를 지원해 한국적 맥락과 글로벌 표준을 동시에 충족하는 강점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br><br> 프로젝트는 6개월마다 평가를 거쳐 최종 2개 팀만 생존한다. 오는 12월 첫 평가까지 남은 3개월간 글로벌 프런티어 모델의 95% 성능을 증명해야 한다. 양 센터장은 “숨 가쁜 도전이지만 SK텔레콤의 기술력과 패기, 실행력을 무기로 반드시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c9d5ce566587ef824e7ab0cb5db3d00edc60de3e1a88be82bb1d35dce3c68f" dmcf-pid="btxagzA8h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T 뉴스룸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094207653gygl.png" data-org-width="640" dmcf-mid="Fr2em6Cny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094207653gyg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T 뉴스룸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b97338768a16229b8b8ed5a8824a306964cc42b4ca41db35d5d2f490fd6c3f" dmcf-pid="KFMNaqc6Se" dmcf-ptype="general"><br> 김나인 기자 silkni@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올해 2분기 ‘1500건’ 훌쩍…SK쉴더스 “랜섬웨어 피해 심각” 08-27 다음 日 파운드리 라피더스 美 출사표···"AI 수요에 수주 문제 없다"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