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골프장경영협회, 골프장 운영제도 개선위원회 열어 작성일 08-27 21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요금·예약·세제 등 업계 현안 논의</strong><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5/2025/08/27/202508271101430260348439a4874112222163195_20250827110310387.png" alt="" /></span> <br><br>(사)한국골프장경영협회(회장 최동호)는 지난 8월 21일 경기도 분당 협회 회의실에서 ‘골프장 운영제도 개선위원회’ 회의를 열고, 요금체계·예약제도·세제·인력난 등 골프장 운영 전반에 걸친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br><br>이번 회의에는 최동호 회장을 비롯해 8개 지역협의회의 회원사 대표들이 참석해 현행 제도의 미비점을 짚고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br><br>먼저 그린피와 카트비의 통합 요금제와 관련해 업계는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자칫 요금 인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개별 골프장의 자율 운영을 존중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br><br>예약 취소 및 위약금 제도에 대해서는 우천·낙뢰 등 불가피한 기상 상황일 경우 취소를 허용한다는 원칙에 모두 동의했으며 위약금 부과 기준은 기존보다 강화해 ‘7일 전 취소’로 조정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br><br>또한 일부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예약 대행업체 일괄 매각 문제는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예약자 및 동반자 실명 확인 절차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업계의 공감대가 형성됐다.<br><br>음식물 반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물·음료 등 공산품은 허용하되 식중독 위험이 있는 조리식품은 반입 자제를 권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식음료 가격에 대한 불만은 골프장 특유의 인건비·관리비 등 구조적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br><br>세제 분야에서는 재산세 감면과 투자세액공제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카트보관소, 직원 기숙사 등 복리시설은 세제 혜택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세무 기준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br><br>심각한 인력난 문제도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현행 H-2 비자 외에 E-9 비자까지 외국인 근로자 고용을 확대하고 직무별 안전·언어 교육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관계 부처에 건의하기로 했다.<br><br>끝으로 규제 체계·표준약관 관련 논의에서 기존 골프장 3분류 체계에서 2분류로 단순화하고 각 골프장의 지역별 특수성과 운영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 표준약관 자율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모두 동의 했다.<br><br>한국골프장경영협회 최동호 회장은 “골프산업은 500만 명 이상이 즐기는 생활 스포츠이자 관광·서비스 산업의 중요한 한 축”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정부와 관계 기관에 적극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자료 이전 대한체육회, 체육계 폭력·성비위 등 인권침해 행위 ‘전면 척결 선언’ 08-27 다음 스포츠토토, 9월 시효 만료 앞둔 프로토 승부식 미수령 적중 건수 1만7000건 넘어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