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레인보우 키운 딥테크 요람 작성일 08-27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돌 맞은 대덕연구개발특구<br>코스닥 상위 10위 중 4곳 탄생 <br> R&D 혁신모델 성공사례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CDjra1mt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fbf200ed6425e7955f9a78d4a98f5959936d9242b1f4883b121ce35c1ce3869" dmcf-pid="4hwAmNts5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05년 9월 출범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립 20주년을 맞았다. 특히 대덕특구에서는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기업 중 4곳을 배출했다. 대전 유성구 대덕특구 [헤럴드 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12029177oanj.jpg" data-org-width="1280" dmcf-mid="2uwAmNts5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12029177oan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05년 9월 출범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립 20주년을 맞았다. 특히 대덕특구에서는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기업 중 4곳을 배출했다. 대전 유성구 대덕특구 [헤럴드 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d0dc8982809b81f17099725a6a7c8c81bfd50dd21469ab28588e1313978265c" dmcf-pid="8lrcsjFOtl" dmcf-ptype="general">알테오젠(1위), 레인보우로보틱스(5위), 펩트론(8위), 리가켐바이오(10위)….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국내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에 포함된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키워낸 딥테크 기업이다.</p> <p contents-hash="804ff9095c633e5205c65f83dbbe6dc15292cfd57242838290ddf25c106b9203" dmcf-pid="6SmkOA3IHh" dmcf-ptype="general">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립 20주년을 맞아 특구재단의 제도·지원을 통해 성장한 우수기업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으로 알테오젠을 비롯해 레인보우로보틱스,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등 대덕특구 내 4개 기업이 상위 10위 기업에 포함됐다.</p> <p contents-hash="8937e6768694237f1bdcc62b2c4555a0a5683f5481844faf6f5e476157179c19" dmcf-pid="PvsEIc0C1C"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개발특구(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기술집약형 기업이 집적된 혁신클러스터) 중 하나인 대덕 특구는 바이오, 인공지능(AI), 항공우주 등 딥테크 기술(선도기술)의 사업화 거점이다.</p> <p contents-hash="4711c7b9bce57f037241b1cade36d3d35ee45002bd2a7333983bca463568d772" dmcf-pid="QGlsvrzTGI" dmcf-ptype="general">특구재단은 2005년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이후,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 연구소기업 설립, 첨단기술기업 지정, 규제 특례 제공 등을 통해 기술기반 창업을 촉진하고 지역 혁신생태계 확산에 기여해 왔다.</p> <p contents-hash="255d2c17006bc08139a4c19743d40e9dfaba8dee77a8e8a77e731686f7c58a4b" dmcf-pid="xHSOTmqyXO" dmcf-ptype="general">현재 대덕을 포함한 광주·대구·부산·전북의 5개 광역특구와 경기 안산·경북 포항 등 14개 강소특구를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특구 내에는 1만5000여 개의 기업과 기관이 입주해 활동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83861f250bbaff1f0336383045d6325dcaeb467ba55935abde644dd9687a450" dmcf-pid="yd62QKDxts" dmcf-ptype="general">이 같은 지원의 결과로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출범해 연구소기업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한 콜마비앤에이치 ▷제1호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어 코스닥 1위 우주기업으로 성장한 쎄트렉아이 ▷글로벌 제약사와 5000억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으로 초격차 신약기업으로 성장한 큐어버스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 비전선포식에서 ‘휴보’로 주목받고 2021년 코스닥에 상장한 레인보우로보틱스 등이 대표적 성공사례로 등극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58ebd44ca889c1441708fff926c89edf696c75f7ae06e949c7201211a4a727" dmcf-pid="WJPVx9wM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12029528zzwq.jpg" data-org-width="1280" dmcf-mid="V7BUK0o91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12029528zzw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aca99abe53919eb8c5db4f1c7cd8a74fde92a7722fb9f90a2cc76191dd67ba" dmcf-pid="YiQfM2rR1r" dmcf-ptype="general">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은 “대덕특구는 바이오, 반도체 등의 딥테크 기술 사업화 거점으로 IT 서비스 플랫폼 중심의 판교와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단순한 지역발전을 넘어 다른 특구에도 역량을 확산하는 등 한국형 혁신모델의 성공사례를 제시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57951173f2bafcd0318bd7e94616db418ead58b662c3fbc28657ffe3836009a" dmcf-pid="Gnx4RVmeHw" dmcf-ptype="general">2005년 이후 주요 지표도 크게 성장했다. 특구 내 기업의 연간 매출은 2조6000억원(2005년)에서 81조2000억원(2023년)으로, 고용 규모는 2만4000명에서 32만9000명으로 증가했다.</p> <p contents-hash="9c3188ebdf9bcb7679b5ead2194c4cd9932beba30044abe5ff3890d1c0083d44" dmcf-pid="HLM8efsdYD" dmcf-ptype="general">또 특구를 기반으로 성장한 상장기업들의 시가총액도 8500억원에서 72조9000억원으로 약 86배 성장하는 등 특구재단은 지난 20년간 연구개발특구를 대한민국 기술사업화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시켜 왔다.</p> <p contents-hash="84a044605c59b37a082e126ad5a9ef3043e24945186c7259e5d274508c2a2bc9" dmcf-pid="XoR6d4OJGE" dmcf-ptype="general">정 이사장은 “정부의 체계적 연구개발 투자, 산학연 협력생태계, 기업가 정신이 결합해 지역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다른 지역의 선도 모델화가 필요하다”며 “앞으로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딥테크 기업을 육성하는 혁신생태계 전진기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5d4182ee49634cc5dc8bcae81328735a5f7b803bc7a08a4c72c1f7317de5e3e" dmcf-pid="ZgePJ8Ii5k" dmcf-ptype="general">구본혁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가AI전략위 출범 임박…조건 완화 가능성에 'AI컴퓨팅센터' 3차 공모 주목 08-27 다음 에픽게임즈가 '원펀맨'과 협업 포트나이트 페스티벌은 버추얼 밴드 '고릴라즈' 시즌 돌입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