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 조형물 만든 세계적 작가, 그의 내밀한 고백 작성일 08-27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넘버링 무비 495] EBS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 <루이즈 부르주아, 자기 고백></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oG2ZSf57L"> <p contents-hash="e8515dd2cefca45f06cb13ffbe13ffcb43c981696a197decba0e62670826100a" dmcf-pid="1aXf1T8t7n" dmcf-ptype="general">[조영준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8460b7957d1ec51d7bab69d8ee3cf7f3e66ea836b0413191ed6bd54bef1a1a7b" dmcf-pid="tNZ4ty6F0i"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ohmynews/20250827134203488pyji.jpg" data-org-width="1200" dmcf-mid="XYZ4ty6FU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ohmynews/20250827134203488pyji.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EBS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 <루이즈 부르주아, 자기 고백>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EBS국제다큐영화제</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76959bc35ea3863a2f57421ccc7f4f0bf2380df0834ce8208b06fafe67731838" dmcf-pid="Fj58FWP3UJ" dmcf-ptype="general">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iv> <p contents-hash="c9bb1dda5ac991801dff47152904397cf883020ae58a8a6b3fa820246a2383bb" dmcf-pid="3A163YQ0ud" dmcf-ptype="general">01.<br>"지난 50년간의 제 모든 작품과 제가 다뤘던 모든 주제는 어린 시절에 뿌리를 뒀습니다."</p> <p contents-hash="1b5ee411846d85773f558826faef2e790c9955fd27c74eee5912458d30763822" dmcf-pid="0ctP0GxpFe" dmcf-ptype="general">예술가의 삶과 작품은 종종 별개의 궤도로 이해된다. 미술관의 전시실에서 만나는 조각과 회화는 작가의 개인적 삶과 단절된 채, 하나의 결과물로만 제시되곤 한다. 하지만 루이즈 부르주아의 경우에는 이 두 영역을 분리하기 어렵다. 자신의 어린 시절 기억, 가족 관계에서 비롯된 상처, 억눌린 분노를 작품의 재료로 삼았기 때문이다. 조각은 단지 형상이나 구조물이 아니라, 그의 몸과 마음을 대신해 세상과 맞서는 도구였다. 따라서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삶을 들여다봐야 한다. 그에게 작품은 곧 삶의 고백이고, 삶은 조각의 언어다.</p> <p contents-hash="4a349143f2716b5080b294bb820f8e7e892b3b2e7d96246240baa43c5812fc4e" dmcf-pid="pkFQpHMUpR" dmcf-ptype="general">마리에브 드그라브 감독의 다큐멘터리 <루이즈 부르주아, 자기 고백>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영화는 연대기적 전기 형식이나 미술사적 해설을 피한다. 대신, 작가가 남긴 오디오 기록과 미공개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그가 직접 자신의 삶을 고백하는 목소리를 전면에 배치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위대한 예술가의 '업적'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이 자기 존재를 조각해 온 과정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예술을 작품과 해설로 설명하지 않고, 예술가의 고백이라는 형식으로 되살려내기 때문이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목소리는 작품과 삶이 뒤엉킨 하나의 진실을 전달한다.</p> <p contents-hash="38243f2a720278cb1018e5119c07022203d5dd9b0196438354d281d7ddf728ec" dmcf-pid="UiybGC9HzM" dmcf-ptype="general">02.<br>루이즈 부르주아는 1911년 파리에서 태어난 인물로 뉴욕에서 오랜 세월을 활동한 조각가다. 20세기 대부분을 거치며 70여 년간 창작을 이어갔던 그는, 여성 예술가로서 제도적 편견과 사회적 한계 속에서 치열한 여정을 걸어야 했다. 그의 작업은 단순한 미학적 실험이 아니었다. 언제나 개인적 서사와 직결되었고, 그 개인적 서사는 곧 동시대 여성들이 공유한 사회적 경험과 맞닿아 있었다.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상처, 특히 아버지의 권위와 불륜으로 인한 불안정한 가족 환경은 그의 작업에 평생 각인되었다. 그는 훗날 '내 조각 속의 분노는 아버지의 배신에서 비롯되었다'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어머니가 그 배신을 묵묵히 감내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어린 딸이 느낀 불안은, 이후 작품 속 단절과 균열의 형태로 끝없이 반복되었다.</p> <div contents-hash="45159df7d1866e96164c03e8738f3fab0e2c17d387060ce6f2257b03e30836ea" dmcf-pid="unWKHh2Xpx" dmcf-ptype="general"> 작품은 이러한 개인사를 숨기지 않는다. 오히려 작품과 삶의 교차점을 낱낱이 드러내며, 관객에게 예술의 뿌리가 어디에서 시작되는지를 보여준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조각은 언제나 불안정하고 일그러져 있으며, 때로는 절단된 신체를 연상시킨다. 이는 단순한 형식적 실험이 아니라, 그의 내면에 각인된 상처와 기억이 외부로 돌출된 결과다. 영화 속 그의 목소리는 이를 직접 증언한다. 그는 작품이 세계를 설명하려는 수단이 아니라, 자기 내부를 드러내는 방식이었다고 말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그의 예술이 어떻게 삶의 가장 내밀한 순간들과 맞닿아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72fa56397a89b539b5024dea60fca57c01ebd7513944c8e94a1c4e38652c6aa4" dmcf-pid="7LY9XlVZ0Q"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ohmynews/20250827134204931haoe.jpg" data-org-width="1200" dmcf-mid="ZNJCLQloz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ohmynews/20250827134204931haoe.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EBS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 <루이즈 부르주아, 자기 고백>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EBS국제다큐영화제</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4384407a70f12f9127adbda96f5d398c14b982ef86ce03704defc07db73b91d" dmcf-pid="zoG2ZSf5UP" dmcf-ptype="general"> 03. <br>루이즈 부르주아는 '조각은 곧 나의 몸'이라고 단언했다. 이 진술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다. 그의 작품 속에는 신체적 기억, 몸의 단절, 상처의 흔적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잘린 팔다리, 불안정하게 균형을 이루는 형상, 내부가 드러나는 구조물은 모두 몸의 경험을 환기한다. 그는 몸을 통해 세상을 인식했고, 그 몸의 기억을 조각으로 번역했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몸과 분리된 추상적 조각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자기 고백이다. 거대한 돌기둥에 매달린 손가락 조각, 금속 선으로 겨우 균형을 유지하는 신체의 단편 또한 해부학적 표본처럼 차갑지만 동시에 살아 있는 상처처럼 뜨겁다. 우리는 그것을 보며 단순한 형상이 아니라, 고통을 새긴 육체의 기억과 마주하게 된다. </div> <p contents-hash="f98794c57b6b9a8d578efe4c1890322885e1dca31803ce12cdfc838e61fa2642" dmcf-pid="qgHV5v41p6" dmcf-ptype="general">다큐멘터리는 이 진술의 의미를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오디오 기록 속 그의 목소리는 몸을 둘러싼 불안과 기억을 이야기하고, 화면은 작품을 클로즈업하며 그 언어의 진동을 시각화한다. 관객은 작품을 바라보는 동시에, 그것이 단순한 미학적 대상이 아니라 생애를 대신하는 언어임을 깨닫는다. 조각은 곧 몸이고, 몸은 곧 고백이다. 그의 예술이 강렬한 울림을 주는 이유는 바로 이 단순하면서도 깊은 명제에 있다.</p> <p contents-hash="d11116cb56a02c301e47a1707717bdecbbaea07caf52826ada0992595af622fd" dmcf-pid="BaXf1T8t78" dmcf-ptype="general">04.<br>"루이즈에게는 확실하게 만질 수 있는 조각이 자신을 표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내면의 기장을 몰아내는 도구가 됐습니다."</p> <p contents-hash="4a52e7ac1c9b55233377f38cb2cec623e30890afbe118c33cbc3edf49e16111b" dmcf-pid="bNZ4ty6F34" dmcf-ptype="general">루이즈 부르주아가 활동하던 시기의 미술계는 철저히 가부장적이었다. 여성 예술가들은 '여성적 감수성'이라는 틀 안에 갇히거나, 아예 주류 전시에서 배제되기 일쑤였다. 그 역시 오랫동안 '여성 조각가'라는 수식어에 묶여야 했고, 이는 그의 작업을 편협하게 해석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그는 그 한계를 스스로 깨뜨렸다. 개인적 고백과 몸의 경험을 예술로 전환하는 그의 방식은, 기존 미술계가 이해하지 못했던 새로운 차원의 언어였다. 하지만, 당시 뉴욕 미술계는 잭슨 폴록을 중심으로 한 추상표현주의가 득세하던 시기였다. 남성들의 격렬한 붓질이 '보편적 예술'로 추앙받을 때, 부르주아의 작업은 한동안 '사적인 고백'으로만 여겨지던 때도 있었다.</p> <p contents-hash="36358ec7a3a042ebcebad9f694663b4a55a44de4fa48325c19b4d24027a373af" dmcf-pid="Kj58FWP3pf" dmcf-ptype="general">다큐멘터리는 이 맥락을 놓치지 않는다. 작가의 목소리 속에는 사회적 배제에 대한 분노와 좌절이 생생히 담겨 있다. 그러나 이 분노는 파괴가 아니라 창조의 에너지로 전환된다. 작품 속 불안정한 형상, 집요하게 반복되는 모티프들은 모두 사회적 편견을 예술적 언어로 바꿔낸 흔적이다. 영화는 여성 예술가의 위치를 단순히 피해자로 묘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분노를 창작의 원동력으로 바꾸어, 미술사의 중심에 자신만의 언어를 새겨 넣었다.</p> <p contents-hash="97abb9ebeeec83f40955ad18a76f8fcfd435cd0404f5b7a214ed32160fdea368" dmcf-pid="94rtOA3IzV" dmcf-ptype="general">05.<br>루이즈 부르주아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거미〉(Maman) 연작은 전 세계 미술관과 광장에 설치되며 널리 알려졌다. 거대한 철제 구조물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처음 마주하는 이에게 위압과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작가에게 거미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녔다. 그는 거미를 어머니의 상징으로 여겼다. 집을 짓고, 보호하며, 끊임없이 무언가를 엮어내는 거미의 습성은 어린 시절 그에게 안정감을 주었던 어머니의 이미지와 겹쳐진다. 실제로 10미터 높이의 거대한 거미 다리 밑으로 걸어 들어가면, 자신이 보호받고 있는지, 위협받고 있는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바로 그 양가적 체험이 작품의 본질을 이룬다.</p> <p contents-hash="51737a281512f9ee0f24672174585871a90b21963e7ab5e8fef7cccc3bb67c36" dmcf-pid="28mFIc0Cu2" dmcf-ptype="general">영화는 이 상징을 설명하기보다, 루이즈 부르주아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풀어낸다. 그는 거미가 어머니를 닮아 있으며, 그 안에 보호와 불안을 동시에 담고 있다고 말한다. 관객은 작품을 보며 이중적 감정을 느낀다. 거대한 크기는 두려움을 불러오지만, 동시에 그것이 작가의 개인적 기억과 연결되었음을 알게 되는 순간, 작품은 보편적 상징으로 확장된다. 공포와 보호, 위협과 위로가 동시에 담긴 형상은, 개인적 고백이 어떻게 집단적 공명을 얻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다큐멘터리는 그 지점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예술이 삶의 언어를 넘어 사회적 언어로 변화하는 순간을 기록한다.</p> <p contents-hash="35e9a9f7d78361a4d0db4c72284eb2dbd48b2dee5ab162eebc6f7d67259803f8" dmcf-pid="V6s3Ckphz9" dmcf-ptype="general">06.<br>"남들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 나는 기다릴 수 있다. 두렵지 않다."</p> <p contents-hash="7dc870b8624ca381628436de5687a10ce61413c879dbab5901d9249ae215d086" dmcf-pid="fPO0hEUl0K" dmcf-ptype="general">루이즈 부르주아의 작업은 언제나 시대와 불화했다. 그는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예술계에서 끊임없이 주변화되었고, 그의 작업은 한동안 "여성적 감수성"이라는 말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그의 조각이 보여주는 신체의 절단, 불안정한 균형, 집요하게 반복되는 모티프는 단순히 개인의 고통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것은 제도적 억압과 사회적 편견을 드러내는 증언이었다. 그의 목소리는 자신의 내면을 말하는 동시에, 동시대 여성 예술가들의 공통된 좌절과 분투를 대변했다.</p> <p contents-hash="be3726db78c8e4d0e173e15f6c4032a53aa00679c9d492d50a93aa61ed5e2cf8" dmcf-pid="4QIplDuS7b" dmcf-ptype="general">오늘날에도 이 질문은 여전히 현재형이다. 예술계의 제도적 장벽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으며, 여성 예술가의 고백은 종종 '사적 이야기'로 치부된다. 동일한 서사가 남성 작가의 작품에서는 '보편적 경험'으로 확장되는 반면, 여성 작가의 경우에는 '개인적 체험'으로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그의 작업이 던지는 질문은 바로 이 불균형을 정면으로 겨눈다. 왜 우리는 고백의 언어를 성별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는가. 왜 여성의 몸을 매개로 한 예술은 여전히 이해와 공감의 외곽에 머물러야 하는가. 그렇게 루이즈 부르주아의 목소리를 따라가다 보면, 그것은 한 세기를 건너뛴 낡은 증언이 아니라 지금도 계속되는 질문처럼 들린다. 바로 이 점에서 그의 고백은 과거가 아닌 현재의 언어가 된다.</p> <p contents-hash="979edf2405da89c1f4e314cd371f94251dc50d6ff9f0acf8ba78a03624b861de" dmcf-pid="8xCUSw7v0B" dmcf-ptype="general">물론 다큐멘터리 자체가 이 질문을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신, 부르주아의 고백을 있는 그대로 전함으로써 관객 스스로 답을 찾게 만든다. 그의 작품과 목소리는 특정한 시대를 넘어,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울림을 건넨다. 이는 단지 미술사의 한 장면을 보완하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여전히 주변부에 머무는 목소리들을 중심으로 가져오는 행위이자, 고백이 예술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하는 과정이다. 관객은 그의 이야기를 통해, 개인의 기억이 어떻게 사회적 질문이 되고, 고백이 어떻게 집단적 언어로 변모하는지를 경험하게 된다.</p> <p contents-hash="271b734a56e17cecdb35d60517239cf5c5463d95b6ce7b5f21c4d229a4030874" dmcf-pid="6MhuvrzTuq" dmcf-ptype="general">07.<br>다큐멘터리 <루이즈 부르주아, 자기 고백>은 한 예술가의 회고전이 아니다. 고백의 힘을 드러내는 이야기다. 그에게 예술은 삶의 곁가지가 아니라, 존재를 지탱하는 방식이었고, 상처를 견디는 언어였다. 그는 기억을 숨기지 않고 작품에 새겼으며, 그 고백은 조각의 형태로 세상에 남았다. 마리에브 드그라브는 이 고백을 스크린에 옮겨오며, 관객에게 묻는다. 우리는 자신의 상처와 분노를 어떻게 예술로 바꿀 수 있을지, 또 그러한 고백은 언제 예술이 되어 세상에 드러나는지 말이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업은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이자, 여전히 끝나지 않은 여정이다. 조각은 몸이 되고, 몸은 언어가 되며, 언어는 영화로 이어진다. 그 연결의 끝에서, 우리는 고백이 지닌 예술적 힘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손예진 부계정 발계정, 본인 삭제 아니었다 "저도 왜 모르겠다..곧 복구" 08-27 다음 양세종 "40대 내 모습 기대돼…내면의 것들 더 보여줄 것" [RE:인터뷰③]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