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中 배터리 독주 돌파구"…선양국 교수팀, 차세대 양극재 개발 작성일 08-27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XyYj2rRR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d90d733586757e85e02ab4239386a5c3160aae2eafa7ec0923f71199945aa5" dmcf-pid="XZWGAVmei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한양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ongascience/20250827140521996lbxs.jpg" data-org-width="600" dmcf-mid="GsDrxFnbd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ongascience/20250827140521996lbx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한양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15d83d71be6f64306ab497c4a6e93e989900493a625e033976d1ef9365bf9c3" dmcf-pid="Z5YHcfsddW" dmcf-ptype="general">국내 이차전지 연구 분야 권위자로 꼽히는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고망간 무응력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p> <p contents-hash="d9189ee9aae7106111c77c2bd03151f13d118814017eb05f4f4aebdbec458a46" dmcf-pid="51GXk4OJny" dmcf-ptype="general">27일 한양대에 따르면 선 교수 연구팀은 배터리 성능의 4대 핵심 요소인 에너지 밀도, 수명 특성, 안전성,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혁신적 양극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에 공개했다.</p> <p contents-hash="3078578f0d790ae557c36dc93aaa67bf33df405666553a74d6ab6dd5a098b4ad" dmcf-pid="1tHZE8IiRT" dmcf-ptype="general">기존 고망간계 양극재는 '과리튬계 양극재(LMR)'로 충방전 효율이 낮다. 급격한 전압 강하, 가스 발생, 저조한 수명 특성 등 한계도 있다. </p> <p contents-hash="59b1cae09df73f7563f286aa11e6ea08d5837eac3f7444ad2f3442855864c728" dmcf-pid="tFX5D6CnRv"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리튬과 전이금속(망간 포함)의 비율을 1대1로 맞추고, 망간 함량을 45% 이상으로 높인 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기존 LMR보다 충·방전 효율이 높고, 전압이 안정적이고, 가스 발생이 줄고, 수명도 길다.</p> <p contents-hash="7bb0bced41050b071c5eeb024b66bbde7bfc58c94b5c432d3fe932a5b3fedde0" dmcf-pid="F3Z1wPhLdS"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개발한 양극재는 4.6볼트(V) 이상의 높은 전압에서도 오래 쓸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길다. 연구팀은 "나노 단위에서 리튬과 전이금속이 잘 섞인 안정적인 구조(QO 구조)가 만들어진 덕분"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a335fc690f997d7b79ae76591008dd3c34522a0b4c897ffb5192519d893bfe8" dmcf-pid="305trQloil" dmcf-ptype="general">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하이니켈 NCM 양극재는 충·방전을 여러 번 반복하면 내부 구조가 흔들리면서 부피가 약 6% 변한다. 부피와 내부 구조가 바뀌면 성능이 저하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충·방전을 해도 구조가 거의 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무응력 양극재’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00e1c3e7159b76c74909bf9e976ba09b40e477f44010640a269ecddb3ef83acb" dmcf-pid="0p1FmxSgRh" dmcf-ptype="general">특히 열이 과하게 쌓여 폭발로 이어지는 열폭주 현상이 시작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배터리 화재 위험도 훨씬 낮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p> <p contents-hash="c9328e9fbfe59fcea3dc9ec8ec68c03ffa6dfb0c7803dac1bbf65e63df70566c" dmcf-pid="podizlVZiC"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최근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는 중국산 저가 인산철(LiFePO₄, LFP) 양극재보다 성능이 더 우수하다. 중량 기준 에너지 밀도가 40~65% 높고, 부피 기준 에너지 밀도는 120% 이상 높다. </p> <p contents-hash="051f99db94e887f722ce92734bb8284010303c07903a68ac72d57e6c44594187" dmcf-pid="UgJnqSf5LI" dmcf-ptype="general">망간 함량이 높아 하이니켈 NCM 대비 30~40%의 원가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에너지당 가격 역시 LFP보다 낮거나 비슷해 에너지 밀도, 가격, 안정성 측면에서 LFP를 능가하는 좋은 대안으로 평가된다. </p> <p contents-hash="88afc434c02c0d98bb2321204c9b0f1549c09c977415615929d2d8266598f507" dmcf-pid="uaiLBv41eO"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 성과가 중국산 LFP의 독주 체제를 돌파하고,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전기차(EV) 시장에서 한국의 전략적 주도권 확보를 가능케 할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p> <p contents-hash="b08bfaa2138299ded91189fb4d68f5cb29c4b69f18e884e879d6ae4d940fd51f" dmcf-pid="7NnobT8tns"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국내 배터리 산업이 원가 경쟁력과 성능 경쟁력 모두에서 중국을 압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글로벌 에너지 저장 기술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p> <p contents-hash="1d4dc60a56c2a40e97fc8017a09b2258efc3151f04a3bef3c40369c3584c128c" dmcf-pid="zjLgKy6Fem"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양극재의 상용화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 및 현대자동차와 기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고성능·저가격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의 공동 개발이 기대된다. </p> <p contents-hash="15e1560fc0c7862452b2c54671749b46730c4d7ef0a6db0a4cdd96d97d589482" dmcf-pid="qAoa9WP3Lr" dmcf-ptype="general">선 교수는 “앞으로도 한국이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고 전략적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4ecdcda7a70c13da10a2d998f3f4ccf41215ac9a8817f0331a9ad0f30c17e05b" dmcf-pid="BcgN2YQ0Lw"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303710733bc5d0bdfd2df4abbf1cc6483d9156e79f96793654ef648db895341b" dmcf-pid="bkajVGxpnD" dmcf-ptype="general">[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스마트클라우드쇼 2025] “골드러시에 금 캐는 사람보다 삽 판 사람이 돈 벌어… AI 시대에도 반도체·인프라가 확실한 투자처” 08-27 다음 이상현 대한사이클연맹 회장, 국군체육부대 방문…사이클 발전 방안 논의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