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20주년 특구재단, K-딥테크 '혁신' 이끈다] <6>에스오에스랩 작성일 08-27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POA2YQ0r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6ccdfc075b9befb4c1114553efa78843663b72bd4df201d6d86c21d7aa2b61" dmcf-pid="8QIcVGxpr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에스오에스랩 CI"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timesi/20250827150231833favs.jpg" data-org-width="323" dmcf-mid="V99psMvar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timesi/20250827150231833fav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에스오에스랩 CI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8da3eea044d271bf48ff2b18857b9becd881112e682c84f6a09db01e4c7187c" dmcf-pid="6xCkfHMUmX" dmcf-ptype="general">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본격화로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인 자율주행차 라이다(LiDAR) 또한 수요 급증에 따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주목받는 기업이 '에스오에스랩'이다.</p> <p contents-hash="c9b063ae7b81f7433b97e7ab563b52e30198fb3176f4edb56aa7cd6ff197bb29" dmcf-pid="PMhE4XRurH" dmcf-ptype="general">에스오에스랩은 국내 최초로 2D·3D 라이다 핵심 기술 국산화에 성공한 첨단 센서 전문기업이다.</p> <p contents-hash="d05d1349721e2b20b4aa2d2cab1f9e3f7b8e5ebaaa0512b58dcc8bd0fa0be8d1" dmcf-pid="QRlD8Ze7IG" dmcf-ptype="general">2016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박사과정 연구원 4명이 모여 설립한 에스오에스랩은 오래전부터 LiDAR 기술을 연구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출발했다.</p> <p contents-hash="9020a73627611afd366076fcfa7fc010fb091a93c79fc5688998f9cebc576943" dmcf-pid="xeSw65dzIY" dmcf-ptype="general">에스오에스랩은 기술 경쟁력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외 다양한 산업 적용 가능성에도 주목했다. 창업 2년째인 2018년 2D LiDAR 제품인 GL 시리즈 개발 직후 반도체 웨이퍼 운반 로봇 등에 이를 공급하면서 추가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p> <p contents-hash="d8aa1b059fdc53d9f25bf06001b3e3b8d0fd88517f5c866fda4c593b55dd92d6" dmcf-pid="yG6BSnHEsW"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2022년 3D 고정형 LiDAR 제품 ML 시리즈를 내놓으면서 LiDAR 상용화 걸림돌인 가격과 크기 문제를 동시에 극복했다.</p> <p contents-hash="a8dcd5aed69c30e547a0d9db67c4978f39932c30bcfa2e713b8f158482ead9e9" dmcf-pid="WHPbvLXDry" dmcf-ptype="general">이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용 3D 고정형 라이다 'ML-A'는 소형화된 디자인과 강력한 내구성이 장점이다. 최근에는 엔비디아 자율주행 생태계에 국내 유일 센서 분야 공식 파트너로 선정되면서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20bc04563701e385f7d96f3c9291beda83ea884b8a4fe282113bd2290dbc96cc" dmcf-pid="YXQKToZwET" dmcf-ptype="general">이러한 배경에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딥테크 특화 전주기 지원 체계가 핵심 역할을 했다.</p> <p contents-hash="3394a53130ed43043003dd0a7eca11adbc143bccd855430302694190088ab299" dmcf-pid="GXQKToZwOv" dmcf-ptype="general">에스오에스랩은 2021년 특구 고유 제도인 첨단기술기업 지정을 기반으로 광주특구에 입주해 연구개발특구 육성 사업 참여 등 기회를 확보했다. LiDAR 관련 국내외 특허 200여건 또한 딥테크 특화 지원 성과물이다.</p> <p contents-hash="09ac2912e149abf5891a7bd08c4ef1e14a5428bf0295561b0f6b8aa2b596571a" dmcf-pid="HZx9yg5rrS" dmcf-ptype="general">〈인터뷰〉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br></p>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2e570cd7aa0e67500d6bec94a835715f42f22823b644d3a7a7a10f737a94a47" dmcf-pid="X5M2Wa1m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timesi/20250827150233089syfy.jpg" data-org-width="203" dmcf-mid="fDlD8Ze7E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timesi/20250827150233089syfy.jpg" width="203"></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1cbbc3fe5e5d95fe92ce9da9654b04703cc20ca7c1c25b28562648edfc1699" dmcf-pid="Z1RVYNtswh" dmcf-ptype="general">“딥테크 기업에 특구는 단순히 입주 공간을 넘어 산학연 연계를 통한 기술 고도화 및 인재 확보 기회의 장입니다.”</p> <p contents-hash="def970a70ce5086c4cb7088c9b9b069e7fea658185356fa14e83e3e2521b4302" dmcf-pid="5tefGjFOsC" dmcf-ptype="general">정지성 대표는 에스오에스랩의 기술적 성장이 연구실을 통해서만이 아닌 특구 생태계를 통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17891308434c616f3d37f697846e683daa228d50ae592945339f6e367a34d7a" dmcf-pid="1Fd4HA3IEI" dmcf-ptype="general">에스오에스랩은 특구재단 입주 지원을 통해 센서 R&D를 위한 전용 공간과 실험 인프라를 확보했으며, 네트워킹 지원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를 통해 공동연구 및 인재 교류를 추진했다. 산학 협력 기반 연구를 통해 라이다 센서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사업화에 성공했다.</p> <p contents-hash="b06c93e0086b012d11ec02d2b2d2c24ec07808efc02be733721089f0cc2aa01f" dmcf-pid="t3J8Xc0CIO" dmcf-ptype="general">정 대표는 “광주특구 입주 이후 기술특허 출원 및 등록 컨설팅을 받았던 것이 주효했다”며 “이를 통해 LiDAR 관련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를 확대하여 기술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경쟁사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기술 방어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79860ed007cbfe606269bbda2fbfd4ca1056ab8200e34bca8ffd7fb4208ee89" dmcf-pid="F0i6Zkphrs" dmcf-ptype="general">그는 또 “기술특례 상장 준비를 위한 상장 요건과 절차, 전략 수립 등 컨설팅을 제공받았다”며 “기업 내부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IR 역량을 강화한 결과 지난해 6월 기술특례 상장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f316bf57c799cc812269fa8319975983d9cc4972accf45cc99c35c999efafe4" dmcf-pid="3pnP5EUlEm" dmcf-ptype="general">정 대표는 연구개발특구와 같은 생태계가 딥테크 스타트업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앞으로의 역할에 대해서도 조언했다.</p> <p contents-hash="a778901e507f84a4488eb26b876ea3f4501ea05757b4f904cdf8f6492ad49f54" dmcf-pid="0ULQ1DuSrr" dmcf-ptype="general">그는 “특구재단이 연구 과제를 통해서 개발된 기술의 첫 번째 수요자, 고객처가 돼 기술 적용 및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이자 첫 번째 레퍼런스 역할을 해 주길 바란다”며 “이를 토대로 다른 공공기관 및 글로벌기업에 추가 영업 및 시장 진출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62392a8e7605ab3d5d3106fb28ff90b8b5f54f016c0936bd1956c5d53e4a791" dmcf-pid="puoxtw7vEw" dmcf-ptype="general">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국반짝투어' 원주 제로베이스원, 옥수수 팔아 공연 08-27 다음 “컬래버하면 돈 복사” 유저가 장담하는 게임…‘광클’해도 테마 카페는 매진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