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현장서 AI 활용과 DX는 선택 아닌 필수” 작성일 08-27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QdLbT8th2"> <p contents-hash="901e77ad7f9dc7cf5c2ba7717b69fa38547bf7742cf7dfd86e16002b97968060" dmcf-pid="WxJoKy6FT9" dmcf-ptype="general">원격의료와 재택의료가 환자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채널이 될 수 있는 만큼 의료 현장의 디지털전환(DX)에 대한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br><br>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 혁신 국회토론회’에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에이아이트릭스의 김광준 대표는 “고령화로 기존 의료체계가 의료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면서 “DX와 AI 기술은 의료 현장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말했다.<br><br> 김 대표는 현재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교수로 재직 중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노년내과에서의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현장의 DX 필요성을 강조했다.<br><br> 김 대표는 “재택의료 등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는 환자의 입원 기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서 “환자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도 이미 입증됐다”고 설명했다.<br><br> 그러면서 “고령화가 심화되면 병원이 아닌 원격 진료가 필요한 만큼, 의료 접근성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진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환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진료받기를 기대한다”며 “환자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 자체가 접근성 문제”라고 지적했다.<br><br> 김 대표는 이어 의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고령화 시대에, 노인인구에 대한 의료비를 과연 감당할 수 있는지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현재와 같은 행위별 수가제 기준에서는 환자를 많이 보고, 검사를 많이 할수록 병원의 수입이 증가하는데, 노년내과처럼 환자를 많이 못 보는 경우 수입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결론은 병원도 생산성을 위해 시간을 단축하거나 효율화를 높이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제는 디지털 의료기기도 병원이 아닌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br><br> 전문가들은 통신 기술과 커넥티비티 발전에 따라 이제는 얼마든지 원격으로 환자와 의료 전문가들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됐다고 평가한다. 김 대표는 “집에서 본인의 건강을 AI를 통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시대가 이미 왔기 때문에 의료 데이터 규제를 풀고 상용화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br><br> 김 대표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에서는 AI 기반 진단 솔루션이 이미 의료보험 수가에 포함돼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중국은 이미 국가 차원의 의료 AI 데이터가 구축돼 AI가 8000명이 넘는 의료진을 대체하고 있다. 그는 “비대면 진료와 홈케어 의료 제품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의료시스템도 병원에서 환자 중심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고, 환자 주권이 앞으로 더 강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br><br> 김 대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대면 진료와 재택의료의 융합은 경계가 없는 의료를 구현하게 될 것”이라며 “의료계와 정책당국이 의료 시스템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e545463307d3e357ee3887a88459ee090b756596999667ed31fbad07b43b0f8" dmcf-pid="YMig9WP3T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회 보건복지위원회소속 최보윤(앞줄 왼쪽 세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에서 김광준(앞줄 왼쪽) 에이아이트릭스 대표와 전문가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강민성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172638313rssp.jpg" data-org-width="640" dmcf-mid="xXQeuC9Hy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dt/20250827172638313rss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소속 최보윤(앞줄 왼쪽 세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에서 김광준(앞줄 왼쪽) 에이아이트릭스 대표와 전문가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강민성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b8d26c4d2314cb809da5ab6627864fe15b0aa99af51fa98e88ed76d86df9d22" dmcf-pid="GRna2YQ0yb" dmcf-ptype="general"><br> 강민성 기자 kms@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스마트클라우드쇼 2025] 정기철 삼성SDS 상무 “기업 경쟁력, AI 에이전트 잘 활용하는 임직원에 달려” 08-27 다음 그룹웨어 시장, 코로나 팬데믹 이어 주 4일제로 더 힘 받나?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