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계 안드로이드' 오테리온 CEO "군집해야 살아남는다" 작성일 08-27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7일 로렌츠 마이어 오테리온 CEO 인터뷰<br>우크라 전장에 공급, SW로 드론 생태계 표준화 추진<br>"노키아처럼 안되려면 오테리온 생태계 합류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vPJpObYDS"> <p contents-hash="911d0ad74ea0f4a62f29907535a937e27653709cba38c42acefdd7c8ae81a2a4" dmcf-pid="qTQiUIKGml"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 “우리 OS를 쓰면 생태계의 일원이 될 수 있습니다. 노키아와 블랙베리처럼 되고 싶지 않다면 우리 OS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나의 드론이 아니라 군집 드론이 돼야 업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f5690fdcc476ddd6cd404dcb5368e1126ba82ab22c6bb58d2338faf0031b4929" dmcf-pid="ByxnuC9Hwh" dmcf-ptype="general">로렌츠 마이어(Lorenz Meier) 오테리온(Auterion) CEO는 27일 서울 명동 모처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이렇게 강조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e9541564edad9f8e10fda7badd7f03d9b79188a32d293672e504e7105302561" dmcf-pid="bWML7h2XI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로렌츠 마이어 오테리온 CEO가 27일 서울 명동 모처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오테리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daily/20250827174238535kzjk.jpg" data-org-width="670" dmcf-mid="7hDCR0o9w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Edaily/20250827174238535kzj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로렌츠 마이어 오테리온 CEO가 27일 서울 명동 모처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오테리온)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e06aca637f0b1d6ae867ebeb33cc2ccd8c9d4a5d94f1049aa6d8c6b816dcb90" dmcf-pid="K5nA9WP3II" dmcf-ptype="general"> “<strong>군집 드론 운용에 OS 중요…드론 생태계 만드는 회사될 것”</strong> </div> <p contents-hash="690662ca9e674fd07ea6395dfef007d71b907ac0918d5c58b8af4556697eeb7a" dmcf-pid="91Lc2YQ0mO" dmcf-ptype="general">오테리온은 오픈소스 드론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드론 기술 기업이다. 이른바 드론계의 ‘안드로이드’라고 불린다. 드론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산업(국방·안전·물류·환경 등)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p> <p contents-hash="d24f142a1328dabeabdaba8c9ffab743c4e8a92a30202af24ef7fe6c238eca02" dmcf-pid="2tokVGxpEs" dmcf-ptype="general">오테리온은 우크라이나 전장에 AI 기반 드론을 공급하며 주목을 받았다. 지난달에는 미 국방부와 드론 3만 3000대, 5000만 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 체결 소식을 알렸다. 본사는 스위스와 미국에 있다. </p> <p contents-hash="8a6da252112daedfb0bff23284b457d3e7a1d5a1210572c5e8aa38d47f8a7d32" dmcf-pid="VFgEfHMUOm" dmcf-ptype="general">마이어 CEO는 “드론 회사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전에는 기본적으로 GPS 기술에 의존했지만, 전장에선 GPS가 작동조차 하지 않아 기술의 근본 자체가 크게 변했다”면서 “우리 드론 기술에는 전장에서의 경험과 배움이 녹아 있어 오테리온과 함께 손을 잡으면 파트너들이 큰 도약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fdac824ef2d660b6bfd59d71356dfba674317a0d71b82a89d3a5667ce71277f9" dmcf-pid="f3aD4XRuIr" dmcf-ptype="general">그는 “특정 기관을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한국 정부 기관과 협의를 논의하고 있으며, 향후 한국의 대형 방산 기업과 드론 스타트업과 협력 하고 싶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4fca02610ccd1a0c0c61fa5935d196e6b16a45d662595d8d7e02b06f73f3b4d" dmcf-pid="40Nw8Ze7Ew" dmcf-ptype="general">오테리온은 자사 개방형 플랫폼을 통해 표준화, 안전성, 상호운용성을 강화하며 드론 생태계를 키우고 있다. 그는 “현재 드론 산업은 1980년대 컴퓨터 산업처럼 각각의 기업이 자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개발해서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 컴퓨터 산업은 애플 빼고 살아남은 회사가 없고 다른 회사는 모두 오픈 생태계인 윈도우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오테리온이 윈도우 같은 회사가 되겠다는 구상이다.</p> <p contents-hash="dd688ee1cbce56e15335cde7fbaa7389b038d01631e96b104c54d44414c31ad3" dmcf-pid="8pjr65dzwD" dmcf-ptype="general">마이어 CEO는 “우리는 소프트웨어 중심 회사로서 큰 규모의 계약건을 따내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건 드론의 네트워크가 굉장히 중요해졌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군집 드론이 중요한데, OS가 여럿이면 군집 드론을 운영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p> <p contents-hash="67acac4826574d4d8d2bbc01c40eb5388e70f10a6e448d20ee75560fa4a46d36" dmcf-pid="6UAmP1JqmE" dmcf-ptype="general"><strong>AI 기술 적극 활용…“지정학적 위기, 기회”</strong></p> <p contents-hash="cc4e2d280d8d5726e5cd58d779bbf2f47214201983990342e187292dec5d4450" dmcf-pid="PEzVWa1mwk" dmcf-ptype="general">오테리온은 사이버 보안을 위해 제로 트러스트, 엔드포인트 보안 기술을 적용했으며, ‘GPT-OSS’등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는 “이미지 추적, 전투 계획, 통신 등 모든 분야에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면서 “전장에서는 먼저 쏘는게 이기기 때문에 AI가 이런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8b81c4b44fa18ca36aafe9f97f53c1b49bbcf3518cd7de377dbe36fca1aacb50" dmcf-pid="QDqfYNtsEc" dmcf-ptype="general">현재 드론 산업이 방산에 집중된 만큼, 오테리온의 매출의 대부분이 방산에서 나온다. 그는 “지금 드론 산업은 1920년대 자동차, 1950년대 비행기 산업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처음에는 군사 목적이었다가 산업화된 분야들로, 현재는 드론 산업의 90%가 방산이지만, 앞으로 상업 분야로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4c39eabfc2fa5da43628feedef5f1e9c72ae466da0f751b0ffc0c8a2062570df" dmcf-pid="xwB4GjFOrA" dmcf-ptype="general">드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은 UAM, 물류, 배송, 통신 등 무궁무진하다. 그는 “상업과 방산 분야의 드론 기술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서 “여러 분야 중 음식 배달 등 배송 분야가 상업적 활용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d5f321bf37c514b79d42094ec891f8566f12421edca9a0a95604a9fa8284f8ea" dmcf-pid="yBwhepg2Ij" dmcf-ptype="general">마이어 CEO는 최근 지정학적인 불안이 가중되면서 각국이 국방 예산을 올리는 것도 오테리온에게 기회가 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5ba4a90f2bc8c42a0b8838c526b1c834c543b5ce8f200534ec1259e402c41fb" dmcf-pid="WbrldUaVsN" dmcf-ptype="general">안유리 (inglas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초경량 차세대 태양전지 55억 원에 "우주로" 08-27 다음 '노란봉투법' 업은 노조, 'IT 성지' 판교에도 모기업과 갈등 '물꼬'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