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은 ‘캔’ 말고 ‘병’으로 마셔야지” 무조건 고집했는데, 뜻밖의 충격…나쁜 선택이라니 [지구, 뭐래-Pick] 작성일 08-27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MSDjnHEYv"> <div contents-hash="1e34ff3831c61c4e21ad3335824f5d6ed67dd2ed755f671ce7703b3646ecc1ac" dmcf-pid="1RvwALXD5S" dmcf-ptype="general">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픽(Pick)> <br> <br>기후변화에 맞선다는 것. 때로는 막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한 작은 노력. 티끌같은 실천들이 모여 태산같은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정말 소소한 일상 속, 내 선택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비교해 드립니다. 궁금한 탄소배출량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b8fd345e8eed38a91018d99077c9f16b6aca19aeb1852e076678636f944da4" dmcf-pid="tUgx4bEQt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맥주와 소주.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443onnb.jpg" data-org-width="1280" dmcf-mid="xgz5YlVZH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443onn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맥주와 소주.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a18b2e08575506a1ef1e2ed9e9171e3ec76625cffae16094e34ec47b8ff1a7f" dmcf-pid="FuaM8KDx1h"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분명 똑같은 술인데”</strong></p> <p contents-hash="b9e03c6b44b6116fd3a11c6a805d82e3eb7ab4c41c315361af9b6579006d2f0f" dmcf-pid="37NR69wMZC" dmcf-ptype="general">혀끝에서 느껴지는 미묘한 맛의 차이. 기분 탓일지 모르지만, 유독 많은 이들이 병에 담긴 술을 찾는 데는 이유가 있다.</p> <p contents-hash="df435b8fdaa36cb346f120a003717e268d8232f190e241209c4c95fd3167ef18" dmcf-pid="0zjeP2rRYI" dmcf-ptype="general">보다 친환경적이라는 인식도 작용한다. 보증금 제도가 운용되며, 빈 병을 회수해 재사용하고 있기 때문.</p> <p contents-hash="c8bc41ddd238e84b1edfd1f588d8137db55cefc99b6b8be43123f0efce73e1ef" dmcf-pid="pqAdQVme5O" dmcf-ptype="general">하지만 반전이 있다. 재사용 정책에도 불구하고,<strong><span>병이 캔보다 환경에 더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span></strong> 심지어 플라스틱 용기와 비교해서도 크게 친환경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f5e86253a5873df5b68d443fe13832146e7aeded1bba6f496c6963f54780f86" dmcf-pid="UBcJxfsdHs" dmcf-ptype="general">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은 선진국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재사용 횟수’. <span><strong>병을 만들면서 나온 탄소배출량을 상쇄할 만큼, 이를 다시 쓰지 않고 있다는 것.</strong></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7f595bd0a2aa2ce901bee95eba151ed82c2ecf3da26613cc22dd70e31e3ca2e" dmcf-pid="ubkiM4OJG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편의점 소주병.[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705dfxk.jpg" data-org-width="640" dmcf-mid="y2vwALXD1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705dfx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편의점 소주병.[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ab892640a666f87b43db3d67f5a1baea0a5fd947fec60a8f377ed7f2d85cd55" dmcf-pid="7KEnR8Ii5r"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가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국내 주류 생산 및 소비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추산한 결과, 녹색 병소주(360㎖)와 갈색 병맥주(500㎖)의 병당 탄소배출량은 각각 0.23㎏, 0.39㎏인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ac30e7321bf4ed243e2958d813ebf323e770aad80bcefa2609b2f87c86d50d81" dmcf-pid="z9DLe6Cntw" dmcf-ptype="general">주목할 점은 같은 제품인데도, <strong><span>병이 캔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기록했다는 것.</span> </strong>통상 국내 주류회사의 소주·맥주병은 다시 모아 재사용 과정을 거친다. 이에 그대로 버려지는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비해 더 친환경적이라는 인식이 강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80ccd178e9401db7d78d25467c4139debef68b921b2e50cf45adac449a6677a" dmcf-pid="q2wodPhL5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소주병과 맥주병.[X(구 트위터)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953ibtk.png" data-org-width="639" dmcf-mid="WvwodPhLZ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5953ibt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소주병과 맥주병.[X(구 트위터)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f68e04942f445c44387551654caea01402fe6b4105e521f751e90d572ba77c" dmcf-pid="BxlENiGk5E" dmcf-ptype="general">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실제 500㎖ 용량의 캔맥주 탄소배출량은 개당 0.19㎏으로 같은 용량이 담긴 갈색 병맥주(0.39㎏)와 비교해 3분의 1가량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비교적 탄소배출량이 낮은 녹색 병맥주(0.23㎏)와 비교해서도 낮은 수치다.</p> <p contents-hash="f2f3885db0c15e9f19947b0dd00e36ac35f66f6a31929bc2c4394a0eb9c0b063" dmcf-pid="bMSDjnHEYk" dmcf-ptype="general"><span><strong>플라스틱 용기와 탄소배출량 차이도 크지 않았다.</strong></span> 400㎖ 용량의 페트병 소주의 경우 탄소배출량은 0.28㎏으로 집계됐다. 이를 녹색 병소주 용량(360㎖)으로 환산할 경우, 탄소배출량은 0.25㎏. 실제 녹색 병소주의 탄소배출량(0.23㎏)과 0.02㎏밖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a60995d92f42ab9993026b9d41e83b7929899fa6426159c0b8449e2fca1866" dmcf-pid="KRvwALXD5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골목에 나뒹구르는 빈병.[이상섭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182qgub.jpg" data-org-width="650" dmcf-mid="Y7oQfBkPZ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182qgu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골목에 나뒹구르는 빈병.[이상섭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f6761d7ec9d8df4b8ad3d61dc418746e682cbdbcab9a8046c15c9445fc0c27" dmcf-pid="9eTrcoZwGA" dmcf-ptype="general">심지어 해당 수치는 재사용까지 고려해 산출됐다. 국내 소주·맥주병은 판매점을 통해 다시 회수되며, 적지 않은 양이 재사용되고 있다. 환경부와 주류업계에서는 제품에 따라 병이 8~10회가량 재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한다.</p> <p contents-hash="50685aea203014f500cd6aa76c1915d19d3b98d71ec5776f2c91f58437df88ba" dmcf-pid="2dymkg5rYj" dmcf-ptype="general"><strong>문제는 처음에 병을 만드는 데서 배출되는 탄소량이 만만치 않다는 것.</strong> 갈색 맥주병의 경우 약 1.4~1.5㎏의 탄소가 발생한다. 500㎖ 기준 페트병과 알루미늄 캔을 만드는 데 150g 내외가 배출되는 것을 고려하면, 최소 10회 이상 재사용을 거쳐야, 친환경에 가까울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25b6b7a8c3275f36350b64034ef6cf3eb605b3b52e7281975c545664cc5d61e" dmcf-pid="VJWsEa1m1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빈 소주병.[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378cxmv.jpg" data-org-width="552" dmcf-mid="GZcJxfsd5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378cxm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빈 소주병.[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ca7aa7e7738fa58d050af7cade155ed33f513e4bc7bdc19263da69d6a251526" dmcf-pid="fiYODNtsYa" dmcf-ptype="general">실제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지난해 발표한 ‘시민탄소발자국계산단 조사 결과’에 따르면투명유리병의 경우 12번, 갈색 맥주병의 경우 11번 이상 다시 사용해야 페트병보다 탄소배출량이 낮아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리병 사용으로 인한 친환경 효과를 얻기 모자란 상황인 셈.</p> <p contents-hash="02d466da739ea7fc887190210b3a5e38136806c458d6673bdcf51841025fe371" dmcf-pid="4nGIwjFOYg" dmcf-ptype="general">그렇다고 해서 알류미늄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활용하는 게 옳다고 보기는 힘들다. <strong>핵심은 병을 잘 회수하고, 재사용 횟수를 늘려, 유리병의 이점을 살리는 것.</strong> 회수 시스템 확충, 유리병 내구성 강화 등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생산 과정 자체를 축소하고, 향후 폐기량도 줄여야 한다는 얘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045879eaab5ae7434a7abfb223c398b8d625c455652f57ed4cf37960bf3cf72" dmcf-pid="8LHCrA3IG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편의점에 캔맥주가 진열돼 있다.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620qbbq.jpg" data-org-width="1280" dmcf-mid="H7bFXT8t5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620qbb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편의점에 캔맥주가 진열돼 있다.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87ad117364ae31bf497e76d6299ff51542139730d185616bc9b18be91c7b943" dmcf-pid="6oXhmc0CHL" dmcf-ptype="general">실제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독일은 병을 회수하고 재사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표준화 해 운영하고 있다. 병의 손상률과 폐기율이 낮아, 평균 40회가량 재사용한다. 일본 또한 평균 30회에 달한다. 우리나라 또한 유리병 회수율은 90%를 상회한다. 하지만 병을 파쇄하고 원료를 재활용하는 비중이 적지 않아, 재사용 횟수가 8~10회 수준에 머물고 있다.</p> <p contents-hash="302967441be22267fd78f0f118f81b12ff39823dd3aba1b740886d8f8345088c" dmcf-pid="PgZlskph5n" dmcf-ptype="general">재사용 횟수가 적은 원인 중 하나는 병의 디자인. 우리나라는 소주·맥주를 막론하고 병이 다양한 색깔과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strong>이처럼 용기가 표준화되지 않고, 여러 종류가 섞여 있을 경우 선별 및 세척 과정에서 어려움이 크다.</strong> 특히 자동화가 어렵고, 수작업이 필요해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경우 파쇄 비중은 늘어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6651c016f11075dde5dc31e5461bce8a2df5409936ace918ca88dc5648d7189" dmcf-pid="QAFyhrzT1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빈 소주병.[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815ukes.jpg" data-org-width="650" dmcf-mid="Xzz5YlVZG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6815uke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빈 소주병.[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2e0f6cef01f17d9f7b9a497db5168acb399736ed19e44c122f374eb5c0bc735" dmcf-pid="xc3WlmqyXJ" dmcf-ptype="general">이에 병 표준화 등 물건을 생산하는 단계에서부터 재사용 정책이 고려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물건을 생산하는 단계서부터 재사용을 반드시 고려하고, 파손 등 손실률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을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01e1a3a66ce8fc0b4799ab7f8b971f7993f00769e9668c78c2c42d33f85f6433" dmcf-pid="yuaM8KDxGd" dmcf-ptype="general">이수연 오후두시랩 연구원은 “해외 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도, 전반적으로 술의 종류보다 술을 담는 용기의 차이가 탄소배출량을 가르는 중요한 요인이 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해당 분석은 환경부 환경성적표지 등을 참고해 산출한 자료로, 특정 제품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81ba0543edfeb6f0bb2efcbab4dae90eb9a8c07db389223c797e3602376e3a2" dmcf-pid="W7NR69wM1e" dmcf-ptype="general">한편 오후두시랩은 기업, 제품, 도시, 개인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 그린플로(Greenflow)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 제품 생산·유통 등 경제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88e8b9faf2f9bfdd67120d36509208df91762ba15c6bcf9b735bd24f9f48857" dmcf-pid="YzjeP2rR1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7021pxnb.jpg" data-org-width="1280" dmcf-mid="ZLi897j4t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7/ned/20250827184127021pxnb.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8aef91282bcc646e776b8bcd36c09e122ea18d95026fc4aed8b9f4f1c0186f07" dmcf-pid="GqAdQVmeYM" dmcf-ptype="general"> [지구, 뭐래-Pick] 지난 기사 </div> <div contents-hash="d986d921703c950c22cf7d96d75b41b2fa4439ed8020c83c05ec24c28ad58615" dmcf-pid="HBcJxfsdGx" dmcf-ptype="general"> [1]“튀긴 치킨만 주로 먹었는데” 뜻밖의 충격…살만 찌는 게 아니었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02448?ref=naver <br> <br>[2]“여름휴가, 해외로 갈까 했더니” 드러난 충격 실상…돈만 비싼 게 아녔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12495?ref=naver <br> <br>[3]“하루 2~3잔 기본인데” 아무도 몰랐던 ‘충격 실상’…메뉴 잘못 골랐다가는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28059?ref=naver <br> <br>[4]“보기만 해도 ‘끔찍’” 공중 화장실 충격 실태…진짜 심각한 건 따로 있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38273?ref=naver <br> <br>[5]“귀찮아서 그냥 놔뒀다” 빨래 주말까지 방치했더니…뜻밖의 일 일어났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53562?ref=naver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RISO, '사이언스'에 해양 중심 탄소중립 전략 제안 08-27 다음 [AI 3대 강국, 3년에 달렸다] 계획부터 수행까지… ‘1인 1 AI비서’로 승부본다 08-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