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에 기댄 네이버 노조 "계열사 교섭, 원청 네이버가 책임져야" 작성일 08-28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특별 인센티브의 통상임금 인정과 연봉 삽입, 합리적인 연봉 인상률 등 요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NND83LKve"> <p contents-hash="ede0ddfcde2e00c924477dfece0fa2dc51207852e951182d1a1ed2359537b055" dmcf-pid="Gjjw60o9vR"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네이버 노조는 27일 네이버 본사에 직접 교섭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하청업체도 원청을 상대로 교섭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한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 이후 첫 집회로, 계열사 교섭 결렬 문제를 본사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압박 수위를 높이는 양상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ffbcc314db8d47b65c27f9095ca062b2d1aba68a5fa110a267dabc7d60fe33c" dmcf-pid="HAArPpg2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네이버 그린팩토리와 제2사옥 '1784' [사진=네이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inews24/20250828073037712gfpi.jpg" data-org-width="580" dmcf-mid="W3yZcQloh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inews24/20250828073037712gfp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네이버 그린팩토리와 제2사옥 '1784' [사진=네이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0d3bb5c1afc48250bd5a50f59b6410bf58a2111b0e74bdd11535e130ea01089" dmcf-pid="XccmQUaVhx" dmcf-ptype="general">이날 경기 성남시 네이버 사옥 앞에서 열린 집회에는 그린웹서비스, 스튜디오리코, 엔아이티서비스(NIT), 엔테크서비스(NTS), 인컴즈, 컴파트너스 등 네이버가 100%나 최대 지분을 가진 계열사와 손자회사 6곳이 참여했다.</p> <p contents-hash="2809dc40ad6d8e5881cefc52fa2de8b7f57b5f698256ee75a4b24fccd35e3dbb" dmcf-pid="ZkksxuNfTQ" dmcf-ptype="general">이들은 특별 인센티브의 통상임금 인정과 연봉 삽입, 합리적인 연봉 인상률을 네이버에 요구했다.</p> <p contents-hash="16e6a970a94a8cec6b1aba250e7e1f5d561b159827d162d8d50c356029ac5152" dmcf-pid="5EEOM7j4lP" dmcf-ptype="general">네이버 노조는 지난 11일 임금·단체교섭 체결을 요구하며 집회를 열었지만 논의가 진척되지 않자 이날 집회를 열었다. 노조는 24일 통과된 노란봉투법이 사용자의 범위를 협력업체 근로자의 근로 조건에 대해 실질적·구체적으로 재정의할 수 있는 자로 정의한 것을 근거로 네이버가 계열사와 직접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4da0fba9a8ece3a198375693cb107e63e0ce078285a749ca6a91a6f9472f605d" dmcf-pid="1YY1EMval6" dmcf-ptype="general">오세윤 네이버 노조 지회장은 노란봉투법을 언급하며 "네이버는 100% 자회사 구조와 인사·업무 지배를 갖추고 있다"며 "네이버가 네이버와 네이버 계열사 모든 노동자를 책임지겠다고 선택하는 것이 IT 산업 맏형으로서 책임감 있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다"라고 했다.</p> <p contents-hash="f689795a2fe6591b914e00e3733c3461acbc68690f4e59da2d446467d7b0e3a9" dmcf-pid="tGGtDRTNy8" dmcf-ptype="general">IT 업계에서는 노란봉투법이 공포 후 6개월의 유예 기간을 거쳐 시행되는 것과는 별개로 노조 대응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란봉투법의 국회 통과를 계기로 IT 기업 계열사의 공동 대응이 강경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p> <address contents-hash="82d4baa03a7a82a6dbdc7c3321d3adc5bb088f7e66c088f9e0143b93a4de6a35" dmcf-pid="FHHFweyjh4" dmcf-ptype="general">/정유림 기자<span>(2yclever@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음 여제 양파까지 합류.. ‘골든’ 커버 영상 공개 08-28 다음 ‘신랑수업’ 장우혁, 오채이 조카와 키즈카페 데이트…“이모부~” 사전 호칭 교육까지 성공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