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못 피해도 탈출구는 있어야죠" 대통령상 받은 고교생 작성일 08-28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제46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KIeePhL5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a94df953db507eb9f0059ce68b80f578d924169ca4d8803d7c0a316f26b646" dmcf-pid="ymVGGv41Z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통령상을 수상한 이정민 인천과고 3학년 학생 (왼쪽),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엄주연 대전어은중 1학년 학생(오른쪽)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moneytoday/20250828120145250ooev.jpg" data-org-width="1200" dmcf-mid="Q9yggJYc1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moneytoday/20250828120145250ooe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통령상을 수상한 이정민 인천과고 3학년 학생 (왼쪽),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엄주연 대전어은중 1학년 학생(오른쪽)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03c2f9549617c650864290306d66cb31a18942862572ca1dcb8e1a8a8e22408" dmcf-pid="WsfHHT8tXw" dmcf-ptype="general"><br>올해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주인공은 '지진 발생 자동 탈출 가능한 이중문'을 발명한 이정민 인천과학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다.</p> <p contents-hash="f5a41721b23b0128c06b262b06f698f850defb7ff6494bfcd5aaf70fb9f61610" dmcf-pid="YO4XXy6FHD"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국립중앙과학관은 제46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자로 이정민 인천과고 3학년 학생을, 국무총리상 수상자로 엄주연 대전어은중 1학년 학생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94b8f6c0eaab5268e6a87828dfb7415527ff1741dea62504fe994f91d0266e2b" dmcf-pid="GI8ZZWP3tE" dmcf-ptype="general">이정민 학생은 지진 발생 시 건물이 뒤틀려 현관문이나 방화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에 주목해 '지진 발생 시에도 자동 탈출 가능한 이중문'을 개발해 대통령상을 받았다. "지진은 피할 수 없지만, 탈출구는 반드시 열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발명을 시작했다고 이 학생은 밝혔다.</p> <p contents-hash="699b707cf38e03aadd76f74d4e3452043172ef434d1572968222638230376e7f" dmcf-pid="HzrQQfsd5k" dmcf-ptype="general">이 작품은 얼음 틀을 비틀어 얼음을 쉽게 분리하는 원리와 쐐기 힘을 응용해 건물이 뒤틀렸을 때 전기장치 없이 자동으로 열리는 이중문 구조 형태로 설계했다. </p> <p contents-hash="38d48d3521d862cc699ded227da0244d1efdc5ea5b98c6a1e5197ff0e63049ff" dmcf-pid="Xqmxx4OJ1c" dmcf-ptype="general">심사위원회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얼음 틀 원리를 참신하게 활용하고 국내 아파트와 건물의 방화문 구조에 맞춰 제작한 실용성 높은 작품"이라며 "향후 고층 건물 안전 설비나 차량 탈출 시스템 등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p> <p contents-hash="238675f2874d0187739e91147a38b472d530955a4c8e31a1339be4e5ac59456a" dmcf-pid="ZBsMM8IiXA" dmcf-ptype="general">국무총리상을 받은 엄주연 학생은 '뚜껑을 뜯을 때 휴지 한 장만 깔끔히 뽑을 수 있는 휴지 갑'을 개발했다. 휴지 갑을 개봉할 때 여러 장이 딸려 나오거나 찢어지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했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44e88cb1733a5c6c5c265842252b33dcd5c4cd474110eefa18397b5a87bc8aad" dmcf-pid="5bORR6CnXj" dmcf-ptype="general">엄 학생은 휴지가 휴지 갑 윗면과 강하게 밀착되는 데 불편함의 원인이 있다고 보고, 휴지 갑 내부 윗면에 반구형 돌기를 만들어 마찰을 줄였다. 반복 실험을 통해 휴지가 돌기 사이에 닿지 않는 최적의 돌기 개수를 찾았다. 또 뚜껑에 끌개 장치를 부착해 개봉 시 휴지 한 장만 끌어올리도록 한 점도 주목받았다. </p> <p contents-hash="6dbf0ad404873916e793e4c7d7c739706b28e1fd42e3fee14ae2797373fd3254" dmcf-pid="1KIeePhLXN" dmcf-ptype="general">심사위원회는 "원기둥을 비스듬히 절단한 면의 타원 전개도와 함수 그래프 등 수학적 원리를 적용한 설계, 3D 프린터와 재활용 소재인 종이죽을 활용해 제작한 점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했다. </p> <p contents-hash="9fbeaaa98f8ca2421490fa6d570e281c1c4940207839deaff8712de72019371a" dmcf-pid="t9CddQloXa" dmcf-ptype="general">이 밖에도 이번 대회에서 최우수상 10점, 특상 50점, 우수상 100점, 장려상 139점이 선정됐다.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금 800만원, 400만원이 주어지며 11월 해외 과학문화 탐방 기회를 제공한다. </p> <p contents-hash="8b3d725e71916f520dfd5a844793ec4eefaae202ce94a5157b92595d26de52aa" dmcf-pid="F2hJJxSgtg" dmcf-ptype="general">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들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과학적 탐구로 풀어낸 작품들이 돋보였다"며 "학생들이 창의력과 탐구심으로 우리나라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격려했다. </p> <p contents-hash="e2d49a242612a5e72c6fba85d7f38cf15e62ecd5404ab775554825e35c9c9ad7" dmcf-pid="3VliiMva5o" dmcf-ptype="general">한편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는 미래 과학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1979년 첫 개최한 후 매년 열리는 행사로, 올해 대회에는 전국 총 1만 1365명 학생이 참가했다. 이중 지역대회를 통해 301명이 선발돼 전국대회에 진출했다.</p> <p contents-hash="78a868934e2d5f66643184fc468dd60e17980ef360456ffef16056a0b955b268" dmcf-pid="0fSnnRTN5L" dmcf-ptype="general">노정혜 서울대 명예교수를 필두로 학계·연구계·특허 전문가 47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심사를 맡았으며 △창의성 △탐구성 △실용성 △노력도 △경제성 등이 심사 기준이었다.</p> <p contents-hash="3f9803d73ead48505ebe2ab20d01dbc58a08ac7b03aacb56779cc55d9dfb9eb0" dmcf-pid="p4vLLeyjXn" dmcf-ptype="general">시상식은 10월 15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개최된다. 발명품은 이달 30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에서 전시한다. </p> <p contents-hash="d6f5ff61ef4ba97a830dff9462beec7f39c01318d0158437939f033c820eb4b4" dmcf-pid="U8ToodWAZi" dmcf-ptype="general">박건희 기자 wisse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TX 5G 왜 안터지나 했더니…52곳 중 17곳 여전히 '미흡' 08-28 다음 1300억대 SKT 유심 해킹 사고 과징금…개보위, 어떻게 산정했나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