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컨퍼런스] 조준희 KOSA 회장 “한국형 AI, 기업과 일자리 확대의 핵심 축” 작성일 08-31 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ZJhexSgr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603abad0ffa0027be39b0003c56bff075c127c410259bd0bbf7f32584f1aef" dmcf-pid="H5ildMvar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자신문 1만호 기념 컨퍼런스가 29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이 '산업계가 바라는 한국형 AI생태계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timesi/20250831120246551rzno.jpg" data-org-width="700" dmcf-mid="YyTbSC9Hr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timesi/20250831120246551rzn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자신문 1만호 기념 컨퍼런스가 29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이 '산업계가 바라는 한국형 AI생태계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bee634c16a2b4abd6714b1c5025c7c5024f6351a8b1ddee335edfc94a88f204" dmcf-pid="X1nSJRTNIq" dmcf-ptype="general">“한국형 인공지능(AI)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창업과 고용 확대를 견인하는 국가 성장의 핵심 축입니다.”</p> <p contents-hash="4cb41e10f92bee2311c5c6e048cc5823a3b56c51788c564a722a84816a126eac" dmcf-pid="ZtLvieyjOz" dmcf-ptype="general">조준희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회장은 29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전자신문 1만호 기념 컨퍼런스에서 '기업과 고용이 확장되는 우리 AI의 길'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2d7b1f18df82b9ccb8372e00ca0ccf5967f37bf9beb161d09c664baa76b8aee" dmcf-pid="5FoTndWAE7" dmcf-ptype="general">그는 한국형 AI 전략의 핵심으로 국가 주도의 인프라와 독자적 모델 확보를 제시했다.</p> <p contents-hash="f8cb0d65c0dec954c41936cf72aa57354fc183e510f7527df6d67cad3186b84d" dmcf-pid="13gyLJYcOu" dmcf-ptype="general">조 회장은 “GPU 1만장 확보 프로젝트와 한국어·산업 특화 모델 개발은 데이터 주권과 AI 자립성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법과 제도에 부합하는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47359b0fec065b91b7d8444cbf7749909c2fa642aea6cae46e6d5b5ff0ace2c" dmcf-pid="t0aWoiGkDU" dmcf-ptype="general">그는 외산 초거대 언어모델(LLM) 종속이 서비스·데이터·플랫폼 시장까지 해외 기업에 내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p> <p contents-hash="689f53d3be7be66d5bf5098a7b15115d2774d977d410f61dedd7f4d2de6a5ceb" dmcf-pid="FpNYgnHErp" dmcf-ptype="general">조 회장은 “AI는 단순한 유통 플랫폼이 아니며, LLM 자체가 서비스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좌우한다”면서 “국가·공공 데이터를 외국 서버에 의존할 경우 보안과 통제권 상실, 공공서비스 품질 저하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499dbb747bf91e3b941130f0abbcd06306fb6980a6a20a266c7843c68e342536" dmcf-pid="3UjGaLXDI0" dmcf-ptype="general">그는 한국형 AI가 갖는 차별성을 강조했다. 한국은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조선·철강 등 세계적 제조업 강국으로, 고품질 산업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꼽았다.</p> <p contents-hash="e7aba3434ca3e4ec0d7c98cf9e84763649e35776b9455fcfb6372a9e43491a70" dmcf-pid="0uAHNoZww3" dmcf-ptype="general">조 회장은 “산업별 공정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개방하면 중소기업도 AI 활용이 가능해지고, 제조 데이터와 현장을 결합한 '버티컬·피지컬 AI'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93796991eea15ea2db9b97460607507bbbb2815d85f489aed922dd3e36d5ee4" dmcf-pid="p7cXjg5rsF" dmcf-ptype="general">그는 AI가 창업을 촉진하고 고용 확대를 견인하는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04075f05a47afb27c1067f6082950e53766f1176547c9038b770b71d25b4566" dmcf-pid="UzkZAa1mEt" dmcf-ptype="general">조 회장은 “AI 스타트업은 일반 기업보다 고용 증가율이 높고, 청년과 여성에게 많은 일자리를 제공한다”며 “벤처 투자형 기업은 일반 기업보다 10배 이상의 고용 효과를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AI가 '창업→고용 창출→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423b17eb9aec169cd7163af4d85b1cdca1c747a2d1a64b7e4a8815770d37112c" dmcf-pid="uzkZAa1mw1" dmcf-ptype="general">해외 진출 전략도 언급했다. 그는 “AI 모델·반도체·클라우드·보안·산업 데이터를 결합한 '풀스택 수출 전략'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중동의 스마트시티, 동남아 공공 행정, 유럽 제조업 등 지역별 맞춤형 진출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896cb05d3f808ac4539dc667533a7eaee14e48a0decdd00b63b6bd98da1805c" dmcf-pid="7qE5cNtss5" dmcf-ptype="general">인재 양성 역시 중요하다고 했다. 초거대 모델과 AI 반도체 연구자를 비롯해 산업과 AI를 융합할 수 있는 도메인 전문가, 현장 실무형 인력까지 고르게 배출해야 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365910e7d30a3df6a12a635117da9ba5c0dbdc4306f5804dbbc310ae7ad23f6b" dmcf-pid="zBD1kjFOsZ" dmcf-ptype="general">조 회장은 “기존 산업 기술자들의 경험을 AI 역량으로 전환하는 재교육이 중요하다”며 “코딩 자동화 시대에는 기존 전문 기술자의 직무 전환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는 선택이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의 펀더멘털(근본)”이라며 “한국형 AI는 기업 수와 일자리를 늘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86d853a92c44ad3c9c799830c94766ea2441ebc81d87b87229f674f9776b654a" dmcf-pid="qbwtEA3IDX" dmcf-ptype="general">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안개 속 모습도 또렷하게···AI로 숨겨진 영상도 복원 08-31 다음 여름은 다 갔지만…‘판타지’ 유행은 안 갔다[스경연예연구소] 08-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