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이 남긴 과제]⑤"K-콘텐츠 IP, 연관 산업 손잡고 영속성 확보" 작성일 09-01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내 IP 확장 성공 사례 '핑크퐁 아기상어'<br>온·오프라인 접점 확대·글로벌 팬덤 공략<br>"롱런 IP 위해 영화·음원·앱 등 사업 확장"<br>정부 '넥스트-K' 지향 "연관 산업과 성장"<br>콘진원, 콘텐츠 부가사업·'K-엑스포' 지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i34hLXDjs"> <p contents-hash="b2b1757060d5fe58b412474c9b8db68bb6b90ebcea118e2dfbb356ecf5937507" dmcf-pid="3n08loZwgm" dmcf-ptype="general">인기 웹소설이 웹툰으로, 나아가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지는 일이 빈번해질수록 콘텐츠 지식재산권(IP) 지속가능성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0219567562f5bd2a1d2c2af9e52d4e4fa9c0480383b48c9303349bf9ae942d" dmcf-pid="0Lp6Sg5rg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핑크퐁 아기상어' 10주년 스페셜 로고. 더핑크퐁컴퍼니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1797yjve.jpg" data-org-width="745" dmcf-mid="5gqQTNtsc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1797yjv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핑크퐁 아기상어' 10주년 스페셜 로고. 더핑크퐁컴퍼니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eb9a3790b066778dc61a441ae11a73f8bd5dec8bfb2d674e945cd2848e22ad8" dmcf-pid="poUPva1mkw" dmcf-ptype="general">국내 IP 확장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더핑크퐁컴퍼니의 '핑크퐁 아기상어'의 글로벌 확장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아기상어 뚜루루뚜루~'로 시작하는 노래가 배경음악으로 활용된 '핑크퐁 아기상어 체조'는 현재 유튜브 누적 조회수 161억뷰로 전체 1위를 지키고 있다.</p> <p contents-hash="627eea3fffb50e3945d601cfb47e695aa81510ba414571624d4455e8e01ec10e" dmcf-pid="UguQTNtsaD" dmcf-ptype="general">올해 탄생 10주년을 맞이해 글로벌 팬덤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에버랜드와 컬래버레이션 테마존을 선보였고 한정판 바이닐(LP) 앨범을 제작했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업한 뮤직비디오도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달에는 도쿄 신주쿠 마루이 본관에 첫 단독 팝업스토어를 열었다. 개장 첫날부터 대기 행렬이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지난 5월 매년 40여개국의 갤러리가 참여하는 '포커스 아트페어 뉴욕 2025'에 한국 캐릭터 최초로 초청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aa69ec0f3e8d00b78255229007d21570d2dfe38c1128fbfaf0aa4f848094c7f6" dmcf-pid="ujqRYc0CgE" dmcf-ptype="general">권빛나 더핑크퐁컴퍼니 사업전략총괄이사(CSO)는 "롱런하는 IP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상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접점을 확장하는 게 중요하다"며 "'360도 IP', '현지화 전략'을 기반으로 유튜브부터 영화·애니메이션 시리즈, 음원, 공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 비즈니스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f73bbfaccf001cd0dec07cfe214938e27817fe8143e610c895c7323c01d9a9" dmcf-pid="7ABeGkphc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도쿄 신주쿠 마루이 본관에 마련된 더핑크퐁컴퍼니 첫 단독 팝업스토어에 개장 첫날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더핑크퐁컴퍼니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3083mtzm.jpg" data-org-width="745" dmcf-mid="1lp6Sg5ro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3083mtz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도쿄 신주쿠 마루이 본관에 마련된 더핑크퐁컴퍼니 첫 단독 팝업스토어에 개장 첫날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더핑크퐁컴퍼니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5c933fb80bb158eefd9ba5554e1179d4588179aaae7fb9413f5b94b4b80ca8" dmcf-pid="zcbdHEUljc" dmcf-ptype="general">정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 산업의 방향성으로 '넥스트-K'를 제시했다. 콘텐츠 IP 중심으로 연관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6개 부처·11개 기관이 협력해 콘텐츠·연관 산업 공동 해외 진출 플랫폼을 조성하고, 최근 캐나다 토론토에서 'K-엑스포'를 성황리에 마쳤다. K-엑스포는 연내 스페인 마드리드,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도 개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6c5e70bc0d7ba83129f05b2969f2d2b755e590ac26000436728d3bed9799db66" dmcf-pid="qkKJXDuSoA" dmcf-ptype="general">손태영 콘진원 콘텐츠IP전략팀장은 "지속가능한 콘텐츠 산업 성장을 위해선 한국에서, 한국에 의해 만든, 한국적인 콘텐츠의 한계를 초월해야 한다"며 "넥스트-K는 문화적·지리적 경계를 넘어 'K'를 굳이 붙일 필요 없는 글로벌 스탠다드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087f26e3a9a2510b82ee67efd5b08cd084b5ca1db36d548c2645b8ae5d27164" dmcf-pid="BE9iZw7vcj" dmcf-ptype="general">이어 "여러 장르의 IP가 다양한 산업군과 만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해 보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징검다리를 놔주는 것은 물론, IP를 활용한 상품 개발·유통 지원 사업으로 수익 다각화의 기회도 열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9262676f1a733a114755627127b1933a8248fcf586a33822ebdcb4c1e394ecbb" dmcf-pid="bD2n5rzTaN" dmcf-ptype="general">IP를 활용한 부가 사업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미국·일본 같은 IP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미국 매체인 타이틀 맥스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거둔 IP는 '포켓몬스터'로 상품화 비중이 65%에 달한다. 반면 한국은 수익화에서 약점을 보인다. '라이선싱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93dc8da5b4aa7bf9d040cc7bc0171f211d361a46f2189b7949fbd025a29bd58" dmcf-pid="KwVL1mqyk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8월 9~12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종합 한류 박람회 '2025 K-엑스포'에서 관객들이 K-팝 공연에 열광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4368isug.jpg" data-org-width="745" dmcf-mid="tL08loZwA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akn/20250901070214368isu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8월 9~12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종합 한류 박람회 '2025 K-엑스포'에서 관객들이 K-팝 공연에 열광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dcbdecd00f54989acbe4b3cce4dc6fb08b39c52504170710868bec78968dbe4" dmcf-pid="9rfotsBWcg"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한국이 미국·일본·중국 등과 비교해 내세울 수 있는 경쟁력으로 '창작 역량'을 꼽는다. 그 일환으로 K-콘텐츠 혁신이 필요하고, 교육 체계와 실질적 내용을 변화시키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p> <p contents-hash="d4e191088f5cfd93a9326e53fe3de3d5784df56c1e7ca75fcdbf911cf3ae3d7e" dmcf-pid="2m4gFObYco" dmcf-ptype="general">홍경수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2000년대 한국의 영상콘텐츠산업 발전에는 우수 인력의 집중 진입이 큰 역할을 했다. 이들은 영화·드라마·예능을 발전시키고 한류의 기초를 닦았다"며 "그러나 최근 언론학이나 방송학, 영상학의 커리큘럼과 현장 수요 간 괴리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a1940d742a8c08e56f1bbe2a5e4850ea4f89e8ff0f39b4a259c0a7163c2b8552" dmcf-pid="Vs8a3IKGgL"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콘텐츠전문학교 설립과 뛰어난 인재의 세계적 리크루트, 대학 교육의 혁신이 필요하다"며 "창의적인 인재들이 스타트업에서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낸다면 플랫폼과 IP가 있는 콘텐츠, 유통 조직도 활성화될 수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755cd397ed73d020c980b4720d69e25e9f224006c0aa23300806f5b5b36de5e6" dmcf-pid="fO6N0C9Hgn" dmcf-ptype="general">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기업vs언론 저작권 분쟁 확산…구글·오픈AI·퍼플렉 잇단 소송 09-01 다음 [케데헌이 남긴 과제]④'웹툰 원조' 한국, 글로벌·멀티IP로 도약…불법 웹툰 문제점도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