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업vs언론 저작권 분쟁 확산…구글·오픈AI·퍼플렉 잇단 소송 작성일 09-01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주요기업 저작권 소송 미국서만 약 50건…日·EU 확산 추세<br>기업들 '공정이용' 주장…쟁점은 '원저작물 시장에 미친 영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WdHdzA85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07f2103afd84630b7e7353423ddf520ea86aa12a24c05d80bf272e3d195c0a3" dmcf-pid="yMHdHEUlX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6210xinl.jpg" data-org-width="1400" dmcf-mid="BOmjph2Xt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6210xin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8fdf3a988ee349f4500cff469dd0fac652a937caa291d86d47764e21a85f191" dmcf-pid="WRXJXDuSZa"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오픈AI·퍼플렉시티 등 인공지능(AI) 스타트업과 언론매체·작가 간 저작권 분쟁이 격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69ba6ffb4cabc9ee593021be98cce5a178a087efc2da426915a4952fe8185c9" dmcf-pid="YnFgFObYYg" dmcf-ptype="general">주요 AI 빅테크·스타트업 기업들이 직면한 저작권 소송은 미국에서만 약 50건에 달한다. 최근엔 일본·유럽으로 번지는 추세다.</p> <p contents-hash="c9d20d1cbfea3e5294bbdcfa60969c8a238fb806511d893b536a6f726aac0500" dmcf-pid="GL3a3IKGto" dmcf-ptype="general">1일 IT 업계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은 뉴스코프가 퍼플렉시티에 제기한 저작권 침해 소송과 관련 관할권 기각 신청과 캘리포니아 이송 요구를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모두 거부했다.</p> <p contents-hash="7a9c99889084e33014f81a8a9689ca5f87949bc2ec2da28942280d7e21e528ed" dmcf-pid="Ho0N0C9H1L" dmcf-ptype="general">월스트리트저널(WSJ) 모회사 다우존스와 뉴욕포스트를 보유한 뉴스코프는 지난해 10월 퍼플렉시티에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캐서린 포크 파일라 판사가 뉴욕남부지법의 관할권을 인정하면서 본격적인 재판에 돌입하게 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cdd08b42ac9ba3f10a853aadf2bb9a3594e4cc1ffe2074dc8cbab7e7224db01" dmcf-pid="Xgpjph2XZ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7647kaim.jpg" data-org-width="860" dmcf-mid="fGtWMUaVH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7647kai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8a25ec410d534051412b73fc95c3e9d93d8fb318d896f5fad2ba4d1e7c43d8d" dmcf-pid="ZaUAUlVZYi" dmcf-ptype="general">퍼플렉시티는 일본서도 다중 소송에 직면했다. 니케이·아사히신문은 지난달 26일 도쿄지방법원에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며 각각 22억 엔(약 209억 원)의 배상을 요구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지난달 초 비슷한 소송을 제기했다.</p> <p contents-hash="384fc2fb3ccf9210f3b6e760163203b825404c4b02f067e43b66699a628b93b9" dmcf-pid="5NucuSf5HJ" dmcf-ptype="general">일본 언론들은 퍼플렉시티가 2024년 6월부터 허가 없이 기사를 복사·저장해왔다고 비판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e9ba9c6f99e22f7b23ddbcd64c3c65fff7e3e07c9f3f47803115eef2a711139" dmcf-pid="1j7k7v41Zd" dmcf-ptype="general">퍼플렉시티는 AI 웹브라우저 '코멧'(Comet)이 기사를 활용하면 언론사에 직접 보상하는 구독형 서비스 '코멧 플러스'(Comet Plus)를 급히 내놓으며 대응에 나섰다. 코멧 플러스는 이용자가 언론사 구독료로 월 5달러를 내면 해당 수익 80%를 배분하는 신규 프로그램이다.</p> <p contents-hash="20333aff9d07ca81c3a5d80d3129a7f479b52e2fb3b238b9166651170567774a" dmcf-pid="tAzEzT8tte" dmcf-ptype="general">2023년 12월 시작된 뉴욕타임스(NYT)와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MS) 간 소송도 진행 중이다. 재판 과정에서 법원이 오픈AI에 사용자가 삭제를 요청한 채팅로그까지 보존하라고 명령하면서 프라이버시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f1e245bcdfaf8d6aff489090d0a175d93e8e53eb6298ee1872ff0ca4e0eee3" dmcf-pid="FcqDqy6Ft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티아 나델라 구글 CEO ⓒ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9359feqi.jpg" data-org-width="1400" dmcf-mid="QCeGe7j45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070119359feq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티아 나델라 구글 CEO ⓒ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a56bf011cac441079fef8472e7f6140329624c563de0ea6dbc289ddd91f1d50" dmcf-pid="3kBwBWP3GM" dmcf-ptype="general">구글도 유럽연합(EU) 내 헝가리 언론사 라이크컴퍼니와 저작권 소송에 돌입했다. 라이크컴퍼니가 구글 아일랜드에 제기한 소송은 올해 4월 부다페스트 지방법원의 결정에 따라 유럽사법재판소(CJEU)에 회부됐다.</p> <p contents-hash="33ac124edd944a40582f8753118d40cb75896aacc8fc7395f4a37bb4e110ea79" dmcf-pid="0EbrbYQ05x" dmcf-ptype="general">EU 저작권법이 CJEU 판정에 어떻게 적용될지 가르는 첫 번째 사건이 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508829cd6ca5371d2eda53f59d941f1cc0a8eadeaa6e303bd5097ca5e256363a" dmcf-pid="p2h4hLXD5Q" dmcf-ptype="general">2023년 7월엔 이용자 8명은 구글이 AI 훈련을 위해 미국인 수억 명 데이터를 무단 수집했다며 최소 50억 달러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시각예술가들이 이미지 생성 AI '이마젠'을 대상으로 제기한 집단소송도 현재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68c70ee0489113aca7f543f28eec0d68f68c39186dced8b2d1234779e17b1579" dmcf-pid="UVl8loZwXP" dmcf-ptype="general">AI 기업들은 '공정이용'(Fair Use) 원칙을 내세우고 있지만 법원의 판단은 엇갈리고 있다.</p> <p contents-hash="5b65de9a8bd7d83d00596fa2e410dfbf5de21e85838683304285c8768a290b7a" dmcf-pid="ufS6Sg5rt6"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법원은 상업적 목적의 데이터 사용이 원저작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하고 있다"며 "각각의 소송 결과는 AI 기업들의 데이터 수집 활동과 관련 주요 판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ccbb5e3b1cebbf7c1a55d109e89332b04f6b675d858ff950d24b5b9925f9729" dmcf-pid="74vPva1mY8"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공정이용<br>공정이용(fair use)은 저작권법에서 저작물의 저작권자 허락 없이도 제한적으로 그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적 개념이다. 미국에선 1976년 저작권법 제107조에 따라 비평·평론·뉴스 보도·교육·연구 등 공익적 목적에 한해 저작물의 일부 사용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기업 때리기만으론 보이스피싱·해킹 못 막는다 [기자수첩-ICT] 09-01 다음 [케데헌이 남긴 과제]⑤"K-콘텐츠 IP, 연관 산업 손잡고 영속성 확보"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