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예산 1조원 시대 열었다···민간 산업 생태계 지원 확대 작성일 09-01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올해 대비 15% 증액된 1조1131억원 예산 편성<br>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예산 119.7% 증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0sOcnHEmO"> <p contents-hash="e9557c7dfaa6e728cc481b5581d9404b4cebdb2711fd4c8c6da6fd0c1336e57c" dmcf-pid="KpOIkLXDIs"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내년에는 달착륙선 개발,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구축 등에 총 1조원이 넘는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자한다.</p> <p contents-hash="e975bf3664817c7d0aac992588f0aefb43a85ffc30f62b4382277dc54ba6b000" dmcf-pid="9UICEoZwEm"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은 내년도 우주청 정부 예산(안)을 올해(9649억원) 대비 15% 증액된 총 1조1131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80b1ff9546916707ed7e6d0847c2ecf2e52ad14370d98923ca2228e6330309" dmcf-pid="2uChDg5rw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Edaily/20250901110317346httd.jpg" data-org-width="658" dmcf-mid="BCkEoMvam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Edaily/20250901110317346htt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e20c1da487f6d764c5eb9ddd8eb5ad3c588ce3119657aa7a7786a9efe3df7ff" dmcf-pid="V7hlwa1mrw" dmcf-ptype="general"> 우주청은 내년 예산을 △우주수송 역량 강화, 신기술 확보 △위성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도전적 탐사로 미래 우주 먹거리 창출 △미래 항공기술 선점, 공급망 안정성 확보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 실용적 외교 등 6대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 </div> <p contents-hash="68114880eb6561f2b7aaf2721432119a53abee7eee3e374f627d8a3d208558b4" dmcf-pid="fzlSrNtsID" dmcf-ptype="general">우선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올해 773억원에서 119.7% 증가한 1698억원을 내년에 투자한다. 사업별로는 뉴스페이스 투자 지원이 올해(35억원) 대비 965억원 증가한 1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이와 함께 우주기술 상용화 실증지원 사업(5억원)과 AI기반 위성정보 활용서비스 확산사업(10억원)이 신규 사업으로 추진된다.우주청 관계자는 “뉴스페이스 투자 지원은 우주펀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내년에 금액을 상향해 전체 운용 규모는 2000억원을 넘는다”며 “기업들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dde953a61132a474bf62a07d9d5ae9aad127ef20d752cd057a61476b3b4fc426" dmcf-pid="4qSvmjFOrE" dmcf-ptype="general">발사체에서는 발사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내년에 누리호 5차 발사를 추진하고,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추진한다. 다만 누리호 예산 자연감소와 차세대발사체 사업계획 변경 절차 추진에 따라 올해(3106억원) 대비 14.9% 줄어든 2642억원이 내년 예산으로 편성됐다.</p> <p contents-hash="debf234c0b3a27277a9fc4a82b7d97d0a0b3d564d77e05c7f76ecb53b15578e5" dmcf-pid="8linQ9wMOk" dmcf-ptype="general">위성 분야에서는 위성관측 기술 확보를 위해 10cm급 초고해상도 위성 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오는 2030년 위성발사를 목표로 한 6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에는 올해(113억원) 보다 40억원 증가한 153억원이 편성됐다. 이와 함께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도 지속 추진한다.</p> <p contents-hash="8ffafead02a13081502ff1ffaba13c69c01733a56421568c28eb51f089125638" dmcf-pid="6SnLx2rRwc" dmcf-ptype="general">오는 2032년 달 착륙을 위한 달탐사 2단계(달착륙선)사업 예산은 올해(450억원)에서 359억원 증가한 809억원을 투자해 우주탐사 연구개발과 국내 산업체의 역량 확보를 지원한다. 우주공간에서 무인 제조와 지구 재진입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우주소형무인제조플랫폼실증사업(30억원)’도 내년에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p> <p contents-hash="53a7bc7549543a5b26aea39642fd4dba06c9fd8c8279f12eca58035297e0df76" dmcf-pid="PvLoMVmemA" dmcf-ptype="general">미래 항공기술과 관련해서는 오는 2030년대 친환경·전기 항공기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비행기(AAV), 민항기 엔진 핵심기술과 초경량·고강도 소재 개발 등에 올해(374억원) 대비 36.8% 증가한 511억원을 투자한다.</p> <p contents-hash="9c3d6781c1649bc70802d5e0d2b5d070d4997f74943e8a307da06de89a4ae87e" dmcf-pid="QTogRfsdDj" dmcf-ptype="general">이 밖에 우주항공 산업과 연구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신흥국의 협력수요와 국내 기업의 역량을 연결해 수출기회 창출과 신시장 개척을 위한 국제 협력에 올해(2348억원) 대비 8.6% 증가한 2549억원을 투자한다.</p> <p contents-hash="553d5a89a62874c90c6a85d2e5b34c61725564b627e07ea4a7bbd04b519ffcba" dmcf-pid="xygae4OJmN" dmcf-ptype="general">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우주항공청 개청이후 전략기술로 도출한 우주수송 역량 강화, 초고해상도 위성 개발, 미래 항공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들을 편성했다”며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 성실하게 임해 새정부 국정과제 이행과 우주항공 강국 도약을 위한 예산이 최종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68e77d3d912defd62b42734a99404070b3f0ab156e09e4c8d64cde9917a589c" dmcf-pid="yxF3Gh2Xsa"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스포츠윤리센터, 오늘부터 한 달간 '폭력행위 신고 기간' 운영 09-01 다음 과기정통부, 내년 기초연구 예산 2.74조…폐지된 기본연구 사업 복원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