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AI 데이터센터…한국, AI 3대 강국 도약 발판 작성일 09-01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SK AI DC 울산 기공식 가보니<br>글로벌 최고 수준 설계…SK 역량 총 집결<br>에너지·통신·반도체 이은 4번째 퀀텀 점프<br>울산 넘어 국가 AI 핵심 인프라 역할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wu1jJYc5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1a1382394efa42a1faf3ab0d4239c4a491cafa6852aa2b1caba2f7b9b58997e" dmcf-pid="Ur7tAiGkH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두겸 울산시장과 최창원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 등 관계자들이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울산’ 기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12005937qlvb.jpg" data-org-width="1280" dmcf-mid="0t5yJ6CnX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12005937qlv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두겸 울산시장과 최창원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 등 관계자들이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울산’ 기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274e0cf0a3f1b017e8e327f9f1c9fcfd905567ec63556e2fcc901aa707b32b" dmcf-pid="u3nxXSf5X6" dmcf-ptype="general">“오늘 우리가 착공하는 ‘SK AI 데이터센터(DC) 울산’은 단순한 건물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디지털 경제의 근간을 세우고 미래를 구축하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p> <p contents-hash="a9b7200ccf3ba71ca24a302dba273ae611beb5c129e3ffaa394ddb6180cd9557" dmcf-pid="70LMZv41H8" dmcf-ptype="general">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지난달 29일 울산에서 열린 SK AI DC 울산 기공식에서 이같이 역설했다.</p> <p contents-hash="3cece6f605c9d92ed7645f86fc13ffad94087d9bedafb2874678bf301034b94a" dmcf-pid="zpoR5T8tH4" dmcf-ptype="general">SK AI DC 울산은 7조원을 투입해 ‘대한민국 AI 인프라 하이웨이’를 구축해 국가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포부가 담긴 결과물이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SK에코플랜트 등 SK그룹 주요 계열사의 역량을 한데 모았다.</p> <p contents-hash="58a34957d4df36026edf0fe5aaa6929f9d9bf0b3fb51f382f67354b569ffe823" dmcf-pid="qUge1y6Ftf" dmcf-ptype="general">SK는 울산을 시작으로 향후 전국에 AI 혁신 거점을 확대해 나간다. 이를 통해 에너지, 통신, 반도체에 이은 또 한 번의 ‘퀀텀 점프’를 이루는 것은 물론,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2fc10aab5177843e918fa9f45a74f9b7367bdd2425db17c097e86319f2d03e4" dmcf-pid="BuadtWP3HV" dmcf-ptype="general">▶국내 최대 규모 AI 전용 DC ‘첫 삽’…글로벌 최고 수준 설계=SK텔레콤과 SK에코플랜트는 지난달 29일 AWS(아마존 웹 서비스), 울산시와 함께 SK AI DC 울산 기공식을 개최했다.</p> <p contents-hash="c81741f5b77c07fcb6f8069a39a851795186ccb2f60b39d37fe02892e9d9a56b" dmcf-pid="b7NJFYQ0t2" dmcf-ptype="general">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AI 연산을 위해 고전력, 냉각, 네트워크 역량을 갖춘 시설이다. 서버랙당 5~10㎾를 소비하는 일반 데이터센터와 달리 AI 데이터센터는 20~40㎾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고집적 GPU를 활용한다. 대규모 전력을 소비하는 고성능 서버를 운용하기 때문에 냉각 용량도 일반 데이터센터의 4~10배 이상이 필요하다.</p> <p contents-hash="ee966fbebd76c0e8b0129265533460367c031356b43d8dbd7394d228bfdf6a2e" dmcf-pid="Kzji3Gxp59" dmcf-ptype="general">SK AI DC 울산은 특히 AI 컴퓨팅 특화 구조㎏·시스템, 초고집적 랙 밀도, 공랭+수랭식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안정적인 네트웍 구축 등에 있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데이터센터다. 축구장 11개에 달하는 연면적 2만평 이상으로, 7조원 이상을 투자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AI 전용 하이퍼스케일(100㎿·메가와트급 이상) 데이터센터다. 6만 장 가량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채울 수 있다. 성능과 효율도 기존 데이터 센터 대비 높은 수준이다. 2027년 말부터 단계적으로 가동을 시작한다.</p> <p contents-hash="29af54b91840f2b55ef63484ff290a515b3c12535fdec199e3ea6b7e215d3da5" dmcf-pid="9qAn0HMUXK" dmcf-ptype="general">▶4번째 ‘퀀텀 점프’ 나선 SK…울산 AI DC, 신 성장동력 ‘발판’ 기대=최태원 회장은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에너지, 정보통신, 반도체에 이은 그룹의 4번째 퀀텀 점프 계기로 보고, 울산 AI DC 사업을 진두지휘해 왔다. 지난 6월에는 최 회장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SK-AWS 울산AI데이터센터 건립 계약’을 체결했다.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사업 확장이 그룹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멤버사 간 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p> <p contents-hash="75413a19922b47db8cb5295c7619128c2c0946507875f4ace27a85552caa44d4" dmcf-pid="2BcLpXRuHb" dmcf-ptype="general">실제로 울산 AI DC는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SK에코플랜트, SK가스, SK케미칼, SK멀티유틸리티, SK하이닉스, SK AX 등 SK그룹 주요 계열사가 참여하는 등 ICT분야와 환경· 에너지 계열사들이 대거 참여, 그룹 역량을 총결집했다.</p> <p contents-hash="a37adde65a4e68101da0ceade7ccb07ba577cc06eec151baa3c868f921bc6fcb" dmcf-pid="VbkoUZe7GB" dmcf-ptype="general">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데이터센터의 설계 및 구축의 키를 잡고, SK에코플랜트는 울산 AI DC의 인프라 구축을 맡았다. 또 AI DC 운영에서 중요 요소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가 책임지고 있다. 대부분의 데이터센터가 한국전력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서버랙 내 서버 구매와 운용만 AWS가 맡아 진행한다.</p> <p contents-hash="c3283c7b33c704e3a0341aa5f6e0d76c112e640d04e9318cfa047f6aefd2d77e" dmcf-pid="ftJPGh2X5q" dmcf-ptype="general">▶지역 신규 일자리 창출…AI 3대 강국으로 도약= SK텔레콤은 울산 AI DC를 AI 인프라 핵심 거점으로 삼고, 향후 전국적으로 AI 인프라를 확장해 나간다. SK AI DC 울산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만들어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실현도 앞당기겠다는 포부다.</p> <p contents-hash="83fe78af1ac95ffef4cea38f7ae5a38cf03abd0d7a93d19b76663902f058b2fe" dmcf-pid="4FiQHlVZXz" dmcf-ptype="general">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SK텔레콤은 이날 행사에서 울산광역시와 AI데이터센터 구축, 고객사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협력은 물론,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향후 GW급 AI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로 확장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p> <p contents-hash="86add52fb060181aa3fea60223276770f84d78c03df5e9aa3d44f70013f22b58" dmcf-pid="83nxXSf5Z7" dmcf-ptype="general">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날 기념사를 통해 “SK AI DC 울산 구축은 지역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구심점이 되는 동시에 국가적 관점에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할 기회”라며 “울산시와 SK가 협력해 온 전략적 기반 위에 ‘AI DC클러스터 구축’이라는 신산업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혜림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선미, ‘BLUE!’ 첫주 활동 성료..긱시크부터 록 무드-러블리까지 09-01 다음 "넥슨 유저 다 모여라"…넥슨, Z세대 겨냥한 숏폼 플랫폼 만들었다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